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4114 | |
005 | 20230419103330 | |
007 | ta | |
008 | 230315s2021 ulkad 001c kor | |
020 | ▼a 9788931589702 ▼g 03510 | |
020 | 1 | ▼a 9788931589771 (세트) |
035 | ▼a (KERIS)BIB000015959941 | |
040 | ▼a 211021 ▼c 211021 ▼d 211009 | |
041 | 1 | ▼a kor ▼h jpn |
082 | 0 4 | ▼a 613 ▼2 23 |
085 | ▼a 612 ▼2 DDCK | |
090 | ▼a 612 ▼b 2021z1 ▼c 5 | |
245 | 0 0 | ▼a 생리학의 기본 / ▼d 나카시마 마사미 감수 ; ▼e 김정아 옮김 |
246 | 1 9 | ▼a (運動・からだ図解) 生理学の基本 : ▼b オールカラー ▼g (新版) |
260 | ▼a 서울 : ▼b BM성안당, ▼c 2021 | |
300 | ▼a 239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2 cm | |
490 | 1 0 | ▼a 그림으로 이해하는 인체 이야기 ; ▼v 05 |
500 | ▼a 찾아보기: p. 234-239 | |
546 | ▼a 일본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
650 | 0 | ▼a 인체 생리학[人體生理學] |
650 | 0 | ▼a 인체 해부학[人體解剖學] |
650 | 0 | ▼a 해부 생리학[解剖生理學] |
653 | ▼a 생리학 | |
700 | 1 | ▼a 中島雅美, ▼d 1956-, ▼e 감수 |
700 | 1 | ▼a 윤관현, ▼g 尹官鉉, ▼d 1970-, ▼e 감역 |
700 | 1 | ▼a 김정아, ▼e 역 |
830 | 0 | ▼a 그림으로 이해하는 인체 이야기 ; ▼v 05 |
900 | 1 | ▼a 나카시마 마사미, ▼d 1956-, ▼e 감수 |
900 | 1 0 | ▼a 중도아미, ▼d 1956-, ▼e 감수 |
900 | 1 0 | ▼a 나카시마 마사미, ▼d 1956-, ▼e 감수 |
900 | 1 0 | ▼a Nakashima, Masami, ▼d 1956-, ▼e 감수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612 2021z1 5 | Accession No. 13105723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기본 개념을 간략하게 해설하고, 그 해설을 이미지화한 일러스트와 각종 자료를 펼침면으로 구성하여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의료인, 스포츠인은 물론 일반인도 알아 두면 유용한 재미있는 인체 관련 지식을 총망라하여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책을 통해 인간의 신체와 생리학에 대해 흥미를 갖는 계기가 될 것이다.
순환기, 체액·혈액, 호흡기, 내분비 등 생명 유지를 위한 활동을 도해로 이해하다!!
인간의 신체를 배우는 데 해부학과 생리학은 떼려야 뗄 수 없다. 해부학은 인간의 신체 구조와 그 명칭을, 생리학은 그 구조 각 부분의 작용을 배우는 학문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심장으로 생각해 보면, 그 구조가 어떠한 부품으로 되어 있으며, 명칭은 무엇인지에 대한 것을 아는 것이 해부학이고, 그 부품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배우는 것이 생리학이다.
이 책은 기본 개념을 간략하게 해설하고, 그 해설을 이미지화한 일러스트와 각종 자료를 펼침면으로 구성하여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의료인, 스포츠인은 물론 일반인도 알아 두면 유용한 재미있는 인체 관련 지식을 총망라하여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 책을 통해 인간의 신체와 생리학에 대해 흥미를 갖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나카시마 마사미(지은이)
1956년 후쿠오카현 출생. 1978년 규슈 리허빌리테이션 대학교를 졸업하고 후쿠오카대학병원 리허빌리테이션과 등에 근무하였다. 1983년 니시니혼(西日本) 리허빌리테이션 학원 전문강사, 1992년 동 학원 교무과장에 취임하였다. 1996년 방송대학 교양학부에 입학해 ‘발달과 교육’을 전공하고 2000년에 졸업하였다. 2012년 3월부터 국가시험예비학교 리허빌리 아카데미 원장, PTOT 교육학습연구소 소장에 취임해 같은 해 7월부터 규슈 의료스포츠전문학교 교육에 참여했다. 저서로는 《PT·OT 기초부터 배우는 생리학 노트(이시야쿠출판)》 등 다수가 있다.
김정아(옮긴이)
동국대학교 일어일문학과를 졸업하고 출판사에서 교과서, 단행본, 잡지 편집, 취재, 번역 등의 업무를 맡았다. 현재 전문 번역가로 프리랜서 활동 중이다. ㈜금성교과서 기획실에서 교과서 및 참고서 기획, 교정, 교열 및 편집, 일본어 참고서 번역 업무, ㈜첨단에서 [월간 자동화기술], [월간 금형 기술] 편집장으로 다년간 활약했다. 주요 역서로는 《만화로 쉽게 배우는 머신러닝》, 《잠 못들 정도로 재미있는 이야기-우주》, 《기계설계제도편람》 등 다수가 있다.
윤관현(감수)
·인천가톨릭대학교 교수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생물학교실 겸임교수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겸임교수 ·한양대학교 대학원 해부/세포생물학 이학박사

Table of Contents
들어가며
이 책을 보는 방법
제1부 생리학의 기초지식
생리학이란 무엇인가
호메오스타시스란
성장·발달과 노화
COLUMN ① 운동을 통해 생리학을 추구하는 운동생리학
제2부 생리의 기본과 구조
■ 세포
세포의 생리
세포막의 물질 수송
DNA와 단백질의 합성
세포분열의 구조
■ 운동기
뼈의 작용
뼈의 성장과 대사
관절의 구조와 작용
뼈대근육의 구조와 수축의 구조
근육수축의 종류
운동의 명령 전달과 근육수축
근육과 힘줄의 센서
근육수축의 에너지
피부와 부속기의 작용
■ 신경계
신경계란
뉴런과 신경의 흥분
연접(시냅스)의 정보 전달
대뇌겉질의 기능성국재
대뇌변연계와 대뇌기저핵의 작용
기억의 생리
서카디안 리듬과 수면
사이뇌의 작용
뇌줄기 ① 중간뇌, 다리뇌의 작용
뇌줄기 ② 숨뇌의 작용
소뇌의 작용
척수의 작용
척수반사의 구조
뇌척수막과 뇌척수액
뇌신경의 작용
척수신경과 더마톰
자율신경계의 개요
자율신경계-교감신경
자율신경계-부교감신경
대뇌의 영역들의 연결
체성감각의 정보를 전달하는 상행성 전도로
운동의 명령을 전달하는 하행성 전도로
■ 감각기
감각의 종류
피부감각
심부감각
내장감각
후각
시각
청각
평형감각
미각
■ 순환기
순환이란-온몸순환과 허파순환
심장의 구조와 심장동맥
심장의 자극전도계통과 심전도
심장주기
심장박동수-심장박출량과 그 조정
동맥과 혈류
모세혈관의 작용
정맥의 환류 구조
혈압과 그 조절
림프계의 작용
태아의 혈액순환
■ 체액·혈액
체액의 조성과 수분 출납
체액의 산염기 평형
혈액의 성분과 작용
조혈의 구조
적혈구의 작용과 수명
지혈의 구조
백혈구의 종류와 포식 작용
체액면역과 면역글로불린
세포면역의 구조
가슴샘과 지라의 작용
■ 호흡기계
호흡이란
기도의 구조와 작용
호흡운동
허파꽈리의 구조와 가스 교환의 구조
혈액 중의 가스 분압
허파 기능
호흡의 조절
발성의 구조
■ 소화기계
저작과 구강 내 소화
삼킴의 구조
소화관의 운동
위의 소화
쓸개와 쓸개즙
이자와 이자액
작은창자의 소화와 흡수
각 영양소의 흡수
소화관의 면역 기능
큰창자의 작용
배변의 메커니즘
간의 작용
■ 영양과 대사
영양소란
에너지 대사
당질의 대사
단백질의 대사
지질의 대사
체온의 발생과 조절
■ 콩팥·비뇨기
콩팥의 구조와 작용
네프론과 소변의 생성
요관과 방광의 기능
배뇨의 메커니즘
소변량을 조절하는 구조
■ 내분비
내분비란 무엇인가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의 작용
갑상샘의 작용
부갑상샘의 작용
부신의 작용
이자의 내분비 기능
소화관 호르몬
난소의 작용
고환의 작용
■ 생식
여성의 월경 주기
남성의 생식 기능
수정과 임신의 성립
찾아보기
Information Provided By: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