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3991 | |
005 | 20230315121424 | |
007 | ta | |
008 | 230315s2022 ggka b 000c kor | |
020 | ▼a 9791158488154 ▼g 93810 | |
035 | ▼a (KERIS)BIB000016533644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82 | 0 4 | ▼a 895.7071 ▼2 23 |
085 | ▼a 897.071 ▼2 DDCK | |
090 | ▼a 897.071 ▼b 2022 | |
110 | ▼a 김종철 교수 고전문학교육 연구실 | |
245 | 0 0 | ▼a 질문으로 풀어내는 고전문학교육 : ▼b 고전문학교육을 위한 열여섯 가지 물음들 / ▼d 김종철 교수 고전문학교육 연구실 지음 |
260 | ▼a 하남 : ▼b 박이정, ▼c 2022 | |
300 | ▼a 482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김종철 교수 고전문학교육 연구실: 김서윤, 김태경, 김혜진, 김효정, 박은진, 서명희, 서보영, 서유경, 이상일, 이영호, 이정찬, 장지혜, 정보미, 조하연, 황윤정, 황혜진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700 | 1 | ▼a 김서윤, ▼e 저 |
700 | 1 | ▼a 김태경, ▼e 저 |
700 | 1 | ▼a 김혜진, ▼g 金惠眞, ▼d 1973-, ▼e 저 ▼0 AUTH(211009)150033 |
700 | 1 | ▼a 김효정, ▼e 저 |
700 | 1 | ▼a 박은진, ▼g 朴恩辰, ▼d 1984-, ▼e 저 ▼0 AUTH(211009)150036 |
700 | 1 | ▼a 서명희, ▼e 저 |
700 | 1 | ▼a 서보영, ▼g 徐保英, ▼d 1979-, ▼e 저 ▼0 AUTH(211009)150031 |
700 | 1 | ▼a 서유경, ▼g 徐庾卿, ▼d 1969-, ▼e 저 ▼0 AUTH(211009)105481 |
700 | 1 | ▼a 이상일, ▼g 李相壹, ▼d 1974-, ▼e 저 ▼0 AUTH(211009)14205 |
700 | 1 | ▼a 이영호, ▼e 저 |
700 | 1 | ▼a 이정찬, ▼g 李正贊, ▼d 1977-, ▼e 저 ▼0 AUTH(211009)15736 |
700 | 1 | ▼a 장지혜, ▼g 張智慧, ▼d 1983-, ▼e 저 ▼0 AUTH(211009)150032 |
700 | 1 | ▼a 정보미, ▼g 鄭寶美, ▼d 1987-, ▼e 저 ▼0 AUTH(211009)150035 |
700 | 1 | ▼a 조하연, ▼g 趙河衍, ▼d 1972-, ▼e 저 ▼0 AUTH(211009)150030 |
700 | 1 | ▼a 황윤정, ▼g 黃允禎, ▼d 1984-, ▼e 저 ▼0 AUTH(211009)150034 |
700 | 1 | ▼a 황혜진, ▼g 黃惠眞, ▼d 1972-, ▼e 저 ▼0 AUTH(211009)15640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97.071 2022 | Accession No. 111877997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6-22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고전문학교육의 이론 및 실천을 고민하는 16명의 연구자들이 함께 쓴 책으로, 고전문학교육의 본질, 방법, 내용, 제재, 전망 등에 관한 16개의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전문학교육이라는 화두를 공유하지만 학문적 지향과 취향은 서로 다른 연구자들이 고전문학교육에 관한 질문을 하나씩 던지고 그 질문에 스스로 답을 했다. 각각의 질문과 답에는 저자들마다의 개성과 도전 정신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고전문학교육의 이론 및 실천을 고민하는 16명의 연구자들이 함께 쓴 책으로, 고전문학교육의 본질, 방법, 내용, 제재, 전망 등에 관한 16개의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전문학교육이라는 화두를 공유하지만 학문적 지향과 취향은 서로 다른 연구자들이 고전문학교육에 관한 질문을 하나씩 던지고 그 질문에 스스로 답을 했다. 그러다 보니 각각의 질문과 답에는 저자들마다의 개성과 도전 정신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각 장은 고전문학교육의 설계와 실천의 국면에서 제기될 법한 질문을 던지고 그에 답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책의 제목이 ‘질문으로 풀어내는 고전문학교육’인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장과 절의 제목은 모두 질문 형식으로 설정되어 있고 본문의 내용은 해당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 가는 과정과 그 성과들로 채워져 있다. 물론 이 책에서 제기한 질문들과 그 대답들이 고전문학교육의 산적한 과제들을 충분히 다루었다고 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다만 우리 저자들은 이 책이 고전문학교육의 학문적・실천적 여정에 작은 보탬이라도 될 수 있길 바랄 뿐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김종철 교수 고전문학교육 연구실(지은이)
김서윤 경상국립대학교 국어교육과 김태경 보성고등학교 김혜진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김효정 LXT AI Inc 박은진 중부대학교 학생성장교양학부 서명희 한남대학교 탈메이지교양·융합대학 서보영 선문대학교 교양학부 서유경 서울시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이상일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어교육과 이영호 계명대학교 국어교육과 이정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장지혜 춘천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정보미 한성대학교 문학문화콘텐츠학과 조하연 아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황윤정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황혜진 건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Table of Contents
머리말
고전문학교육, 왜 할까:
고전문학교육의 본질에 관한 성찰
물음1. 소설교육의 전통이란 무엇이고, 그것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박은진 / 11
고전문학교육, 어떻게 할까:
고전문학교육의 방법에 대한 모색
물음2. 대화하는 고전문학교육을 하면 어떤 성장이 일어날까? 서명희 / 59
물음3. 질문 중심 고전 읽기 수업에서 학생들은 어떻게 성장할까? 장지혜 / 87
물음4. 고전소설 다시쓰기(rewriting)는 어떤 기능을 해 왔으며 교육적 효용은 무엇일까? 서보영 / 129
고전문학교육, 무엇을 할까:
고전문학교육의 언어적 경험에 관한 탐구
물음5. 고전산문으로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길러 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김서윤 / 157
물음6. 고전소설의 갈등 해결 방식을 어떻게 읽어낼 수 있을까? 이상일 / 185
물음7. 고전산문 글쓰기는 작문교육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 이영호 / 201
물음8. 상소문을 쓰기 수업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김태경 / 223
물음9. 설화를 한국어 교육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김혜진 / 241
고전문학교육, 무엇으로 할까:
고전문학교육의 제재에 관한 탐색
물음10. 고전시가 제재는 반드시 원전이어야 할까? 조하연 / 267
물음11. 〈홍길동전〉은 인간의 정신적 성장을 어떻게 보여주나? 김효정 / 291
물음12. 〈사씨남정기〉에서 어떻게 정서를 읽을까? 서유경 / 321
고전문학교육, 어디에서 왔으며 어디로 갈까:
고전문학교육의 궤적과 현황, 그리고 전망
물음13. 설화 교육, 무엇을 가르쳐 왔고, 어떻게 가르칠 수 있을까? 황윤정 / 351
물음14. 근대적 문종(文種) 관념은 어떻게 형성되었을까? 이정찬 / 379
물음15. 고전소설교육에서 문화콘텐츠는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까? 정보미 / 391
물음16. 뇌과학은 문학교육을 변모시킬 수 있을까? 황혜진 / 417
참고문헌_ 457
Information Provided By: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