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청소년을 위한 자기연민 : 내면의 비판을 극복하는 마음챙김과 자기연민 기술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Bluth, Karen 서광, 역 나의현, 역 곽영숙, 1954-, 역 원승희, 1965-, 역
Title Statement
청소년을 위한 자기연민 : 내면의 비판을 극복하는 마음챙김과 자기연민 기술 / Karen Bluth 저 ; 서광 [외]공역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2023  
Physical Medium
200 p. ; 23 cm
Varied Title
The self-compassionate teen : mindfulness and compassion skills to conquer your critical inner voice
ISBN
9788999728105
General Note
공역자: 나의현, 곽영숙, 원승희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199-200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Self-esteem in adolescence --Juvenile literature Self-acceptance --Juvenile literature Compassion --Juvenile literature Mindfulness (Psychology) --Juvenile literature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3982
005 20230316132836
007 ta
008 230315s2023 ulk b 000c kor
020 ▼a 9788999728105 ▼g 03180
035 ▼a (KERIS)BIB000016613626
040 ▼a 211029 ▼c 21102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0 ▼a 155.5/191 ▼2 23
085 ▼a 155.5191 ▼2 DDCK
090 ▼a 155.5191 ▼b 2023
100 1 ▼a Bluth, Karen
245 1 0 ▼a 청소년을 위한 자기연민 : ▼b 내면의 비판을 극복하는 마음챙김과 자기연민 기술 / ▼d Karen Bluth 저 ; ▼e 서광 [외]공역
246 1 9 ▼a The self-compassionate teen : ▼b mindfulness and compassion skills to conquer your critical inner voice
246 3 9 ▼a Self-compassionate teen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23
300 ▼a 200 p. ; ▼c 23 cm
500 ▼a 공역자: 나의현, 곽영숙, 원승희
504 ▼a 참고문헌: p. 199-200
650 0 ▼a Self-esteem in adolescence ▼v Juvenile literature
650 0 ▼a Self-acceptance ▼v Juvenile literature
650 0 ▼a Compassion ▼v Juvenile literature
650 0 ▼a Mindfulness (Psychology) ▼v Juvenile literature
700 0 ▼a 서광, ▼e▼0 AUTH(211009)117251
700 1 ▼a 나의현, ▼e▼0 AUTH(211009)103601
700 1 ▼a 곽영숙, ▼d 1954-, ▼e▼0 AUTH(211009)49237
700 1 ▼a 원승희, ▼d 1965-, ▼e▼0 AUTH(211009)145399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155.5191 2023 Accession No. 121262752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5-30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마음챙김 자기연민 프로그램을 청소년의 시선으로 풀어내는 데 정통한 카렌 블루스(Karen Bluth) 박사가 펴낸 책으로, 2021년에 우리나라에서 출간된 『청소년을 위한 자기연민 워크북』(2021)에 그 실용성과 깊이가 한층 더해진 책이다. 전반부에서는 청소년이라면 한 번쯤은 겪었을 법한 경험을 바탕으로 자기연민의 요소들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청소년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연습을 소개하며 자기연민 실천을 시작하게 도와준다. 후반부는 소셜 미디어에서 생기는 어려움이나 신체 이미지 문제 같은 요즘을 살아가는 청소년들이 흔히 맞닥뜨리는 괴로움들을 자기연민을 통해 엉켜 있던 실타래 같은 상태로부터 풀어내고, 그 속에 숨겨져 있던 진정으로 원하는 삶의 모습으로 아름답게 엮어 내는 방법이 담겨 있다.

끊임없이 내면에서 들려오는 비판의 목소리
청소년기의 괴로운 마음을 진정시키는 하나의 기술 자기연민!
내면의 비판아, 비켜 주겠니? 자기연민아, 반가워!


“저에게 초를 치는 건 결국 저 자신이에요.” 치료를 찾아왔던 한 청소년이 시무룩한 표정으로 꺼냈던 이 말에는 많은 청소년 여러분의 고민이, 나아가 인간으로 살아가는 우리 대부분이 겪고 있는 어려움이 담겨 있었다. 학교, 부모님, 또래로부터 받는 압력만으로도 여러분의 마음에는 생채기가 끊이질 않는데, 내면의 비판은 마치 그 상처에 소금을 뿌리듯 아플 자격도 없다고 여러분을 몰아세우곤 한다. 게다가 24시간 끊임없이 흘러가는 온라인 세상은 내가 누구인지, 진정으로 무엇을 원하는지 고요하고 차분하게 들여다볼 시간마저 허락해 주지 않는다. 어른들은 지금을 살아가는 젊은 세대를 ‘풍요로운’ 세대라고 부르지만, 어쩌면 청소년들은 자신의 마음을 표현할 힘마저 겨우 붙든 채 하루하루를 버텨내고 있을지도 모른다. 자신을 사랑하라는 말은 허무하거나 꿈같은 소리처럼 느껴질 뿐일 것이다.
『청소년을 위한 자기연민』은 마음챙김 자기연민 프로그램을 청소년의 시선으로 풀어내는 데 정통한 카렌 블루스(Karen Bluth) 박사가 펴낸 책으로, 2021년에 우리나라에서 출간된 『청소년을 위한 자기연민 워크북』(2021)에 그 실용성과 깊이가 한층 더해진 책이다. 이 책의 전반부에서는 청소년이라면 한 번쯤은 겪었을 법한 경험을 바탕으로 자기연민의 요소들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청소년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연습을 소개하며 자기연민 실천을 시작하게 도와준다. 책 후반부는 소셜 미디어에서 생기는 어려움이나 신체 이미지 문제 같은 요즘을 살아가는 청소년들이 흔히 맞닥뜨리는 괴로움들을 자기연민을 통해 엉켜 있던 실타래 같은 상태로부터 풀어내고, 그 속에 숨겨져 있던 진정으로 원하는 삶의 모습으로 아름답게 엮어 내는 방법이 담겨 있다.
우리에게 일어나는 일을 통제할 수는 없지만, 우리가 겪는 힘겨움 속에서 우리 자신을 어떻게 대할지는 우리가 선택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우리 자신을 비판하며 차갑게 대하는 대신 친절하고 따뜻하게 대할 수 있다. 자기연민은 우리가 삶의 불완전함에 대처하고, 인간으로서의 불완전함을 수용하는 데 도움이 되는 안정적인 자원을 제공한다. 모든 사람이 각자 자신만의 방식으로 힘겨워하고 있다는 걸 떠올리며 돌봄과 연결의 감각으로 자신의 고통에 다가갈 수 있다. 온 세상이 무너지는 것 같고 아무것도 제대로 할 수 없다고 느껴지는 끔찍한 날에도, 여러분 내면에는 헌신적인 친구가 자리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며 여전히 자기연민에 의지할 수가 있다. 자기연민을 잘 전하는 사람은 스트레스, 불안, 우울을 더 적게 경험하고, 삶을 더 행복하게 느끼고 만족스러워하며, 도전을 마주했을 때 더 강해지고 회복탄력성 또한 뛰어나다. 게다가 다른 사람들에게 더 많이 베풀고, 동기와 책임감이 크며, 신체적으로 건강하고, 자신을 더욱 잘 돌본다.
외부에서 일어나는 숨 가쁜 변화와 내면에서 소리치는 가혹한 비판으로 괴로워하는 청소년, 또한 그들을 돌보고 돕기 위해 애쓰고 있는 부모님, 선생님, 치료자들에게 이 책이 자신과 다른 이들에게 함께 친절해지며 서로 연결되어 살아갈 수 있는 작은 실마리가 되어 주길 바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카렌 블루스(지은이)

테네시 대학교에서 아동과 가족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부설 프랭크 포터 그레이엄 아동발달연구소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겸 연구자로 활동 중이다. 청소년의 안녕을 증진하는 데 있어 마음챙김과 자기연민의 역할을 주로 연구한다. 크리스틴 네프 박사와 크리스토퍼 거머 박사의 마음챙김 자기연민 프로그램을 청소년에게 맞추어 개작한 ‘나 자신과 친구 되기(Making Friends with Yourself: MFY)’ 프로그램의 공동 개발자이기도 하다.

서광(옮긴이)

대학과 대학원에서 심리학을 공부하고, 이후 미국에서 종교심리학 석사 학위와 자아초월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불교심리학과 명상심리상담, 자아초월심리치료 관련 강의와 워크숍 및 집단 프로그램 등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MSC 지도자훈련가(Teacher Trainer)로서 마음챙김 자기연민(Mindful Self-Compassion: MSC) 프로그램을 한국에 도입하여 MSC 지도자 양성에 힘쓰고 있다. 『단단한 마음공부』(학지사, 2019), 『나를 치유하는 마음 여행: 진아(眞我) 만나기 워크북』(불광출판사, 2011), 『돌이키는 힘: 치유하는 금강경 읽기』(모과나무, 2016) 등 다수의 저서와 역서가 있다.

곽영숙(옮긴이)

1978년 2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졸업. 1982년 3월 서울대하굑 대학원 의과대학 의학과 석사학위 취득(정신과학 전공). 1985년 8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과대학 의학과 박사학위 취득(정신과학 전공). 지은 책으로는 <행동장애 어린이를 돕는 기술>이 있다.

나의현(옮긴이)

국립정신건강센터 전공의 수련,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강사 과정을 마친 후 전라북도마음사랑병원에서 중독치료센터장을 하였고, 인천광역시교육청 마음건강치료전문의와 인천참사랑병원 킬리안 공감학교(치유형 대안학교) 교감을 지내며 행위 중독과 청소년 자해 행동을 비롯한 다양한 행동 문제 치료에 관심을 두고 활동해왔다. 현재 예수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과장으로 근무하며 3동향 인지행동치료를 임상 현장 및 연구에 적용하고 있다. 대표 역서로는 『자해 청소년을 위한 마음챙김 워크북』, 『치료관계의 혁신, 기능분석정신치료』, 『심리치료에서 자기를 다루는 법』이 있으며, 대한정서인지행동의학회 국제이사, 한국중독정신의학회 간행간사 및 맥락행동과학회 정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원승희(옮긴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의학박사 현 경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대한명상의학회 부회장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역자 서문
추천의 글
서문
시작하는 글: 내면의 비판아, 비켜 주겠니? 자기연민아, 반가워!

01 마음챙김, 자신의 진실한 목소리를 듣는 방법
우리가 주의를 기울일 때 일어나는 일
우리의 마음이 하는 일
방황하는 마음이 문제인 이유
해결책: 나의 진실한 목소리 듣기
마무리

02 보편적 인간경험, 우리는 혼자가 아니에요!
보편적 인간경험이란
보편적 인간경험이 중요한 이유
우리 모두가 지니고 있는 핵심 가치
마무리

03 자기친절, 좋은 친구를 대하듯 나 자신을 대하기
내면의 비판 다루기
우리 자신의 진실한 목소리로 수행하기
내가 이미 실천하고 있는 자기친절 행동
마무리

04 소소한 것들에서 경이로움 발견하기
경이로움과 부적 편향
경이로움을 발견하는 방법
마무리

05 학교 스트레스가 나를 넘어뜨리지 못하게 하기
다른 사람들로부터 받는 압력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더라도 최선을 다하기
실패에 대한 두려움
마무리

06 소셜 미디어: 비교를 멈추는 법
“비교는 기쁨을 훔치는 도둑이다.”-시어도어 루스벨트
소속되고 싶다는 욕구
핸드폰에서 벗어나기…… 아주 잠깐만이라도
소셜 미디어에 조종당하기 전에 내가 먼저 조절하기
자신에게 친절하게 대하기
마무리

07 힘겨운 관계 다루기
청소년기의 뇌에서 일어나는 변화
분노와 화 다루기
부모님과의 관계
마무리

08 자기 이미지와 화해하기
해로운 남성성
자신을 포용하기
내 몸에 대한 저항
내면의 비판, 또 만났구나!
마무리

09 나의 LGBTQIA+ 정체성 다루기
부정적 핵심 신념
부정적 핵심 신념을 그만 믿고 싶다면
마무리

맺는 글
참고문헌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Vygotskiĭ, L. S (2023)
Marmion, Jean-François (2022)
여태철 (2023)
최경숙 (2023)
박창호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