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사회학 : 비판적 시선

사회학 : 비판적 시선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정태석, 저 지주형, 저 엄한지, 저 조은주, 저 유팔무, 저
단체저자명
비판사회학회, 감수
서명 / 저자사항
사회학 : 비판적 시선 = Sociology : a critical perspective / 정태석 [외]지음
발행사항
파주 :   한울아카데미 :   한울엠플러스,   2023  
형태사항
763 p. : 삽화, 도표 ; 23 cm
총서사항
한울아카데미 ;2428
ISBN
9788946074293
일반주기
공저자: 지주형, 엄한진, 조은주, 유팔무  
감수: 비판사회학회  
서지주기
참고문헌(p. 730-746)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3975
005 20230320112851
007 ta
008 230315s2023 ggkad b 001c kor
020 ▼a 9788946074293 ▼g 03300
035 ▼a (KERIS)BIB000016672205
040 ▼a 244009 ▼c 244009 ▼d 211009
082 0 4 ▼a 301 ▼2 23
085 ▼a 301 ▼2 DDCK
090 ▼a 301 ▼b 2023z1
245 0 0 ▼a 사회학 : ▼b 비판적 시선 = ▼x Sociology : a critical perspective / ▼d 정태석 [외]지음
260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 ▼b 한울엠플러스, ▼c 2023
300 ▼a 763 p. : ▼b 삽화, 도표 ; ▼c 23 cm
490 1 0 ▼a 한울아카데미 ; ▼v 2428
500 ▼a 공저자: 지주형, 엄한진, 조은주, 유팔무
500 ▼a 감수: 비판사회학회
504 ▼a 참고문헌(p. 730-746)과 색인수록
700 1 ▼a 정태석, ▼e
700 1 ▼a 지주형, ▼e
700 1 ▼a 엄한지, ▼e
700 1 ▼a 조은주, ▼e
700 1 ▼a 유팔무, ▼e
710 ▼a 비판사회학회, ▼e 감수
830 0 ▼a 한울아카데미 ; ▼v 2428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 2023z1 등록번호 11187798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스테디셀러 사회학 입문서 『사회학』
『사회학: 비판적 사회읽기』를 잇는
2023년 신판 『사회학: 비판적 시선』 출간!

이 책은 꾸준히 사랑받아 온 사회학 입문서로서 2004년 출간된 『사회학』, 2012년 개정판인 『사회학: 비판적 사회읽기』를 잇는 신판이다. 학부생부터 일반인들에게 이르기까지 사회학 전반을 누구나 쉽고 흥미롭게 접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 책은 개인적 차원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사회 현실과 사람들의 삶을 체계적이고 구조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쟁점과 현상을 소개하고 있다.

새로이 출간된 『사회학: 비판적 시선』은 구판에 비해 구성을 약간 바꾸면서 내용을 명료화했고, 최근 사회변동의 이해를 돕는 새로운 내용들을 담았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사회학의 기본 개념과 문제의식을 숙지하고, 오늘날 사람들이 영위하는 일상생활과 문화에 대해, 현대 사회의 핵심 체제인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에 대해, 나날이 복잡해지는 사회문제와 사회운동에 대해, 급속히 변화하는 세계와 사회학의 최신 쟁점들에 대해 더욱 더 폭넓은 이해를 갖추게 될 것이다.

사회학의 기초 개념들을 충실히 소개함으로써 종합적 학문으로서의 사회학 이해

사회학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이해하면서 왜 그렇게 살아왔고 또 살아가게 되는지를 설명하려는 학문이다. 개인들의 삶은 그들이 직간접적으로 맺고 있는 사회관계들의 영향을 받으며, 사회관계들은 개인들이 의도적·비의도적으로 하는 행위들의 영향을 받는다. 그리하여 사회학은, 개인들이 잘 모르고 살아가지만 그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회관계들의 구조와 작동방식을 해명함으로써 개인들의 삶과 사회관계의 모습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려 한다. 사회학 개론서는 이러한 사회학적 사고, 사회학적 상상력이 지닌 사고의 논리와 이를 위해 동원하는 사회학의 기초 개념들에 대한 충실한 소개를 담아야 한다. 사회학의 태동기부터 2020년대 현재까지의 성취와 연구 성과들을 개론서 수준에 맞게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있는 이 책은 개인의 심리에서부터 세계화의 양상까지 다양한 주제를 포괄하고 있다. 이 책은 사회학의 이론들과 개념들을 통해 개인적인 차원에서는 파악하기 어려운 구체적인 사회 현실과 주변의 삶을 체계적이고 구조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종합 개론서이다.

사회학적 상상력을 길러주고 현실적·시대적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게 하는 교양서

대부분의 사회학 개론서는 주로 대학 강의용이나 수험용 교재에 그치고 있으며, 거대 담론에 대한 추상적인 서술로 채워져 있는 경우가 많다. 이 책 『사회학: 비판적 시선』은 사회학 개론서의 역할에 충실하면서도 강단용 사회학 교재를 벗어나 시대적 질문에 대한 대답의 윤곽을 찾을 수 있는 대중적 교양서의 성격을 최대한 갖추려 시도하고 있다. 또한 이 책은 독자들의 사회학적 상상력, 즉 개인의 문제로 여겨지는 것들이 사회구조적 변동과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환경과 조건 속에서 이러한 연관성을 찾아가는 능력을 자극하고 확장하여, 독자들이 시민으로서 사회문제에 관한 공적 관심을 확대하고 또 공동체적 문제 해결을 추구하게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당장의 사회현실을 넘어 장기적인 사회변동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는 시각과 지식을 독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비판적이고 진보적인 관점에서 사회현상을 객관적으로 이해한 집필서

비판사회학회에서 새로 펴내는 이 책 『사회학: 비판적 시선』은 구판 『사회학: 비판적 사회읽기』를 수정·보완하는 개정판 수준을 뛰어넘어 완전히 새로운 책으로 출간되었다. 그리하여 현재의 변화된 사회 현실을 적실성 있게 반영하고, 사회학의 비판적 시각들을 구체적으로 전달하고자 했다. 이 책은 대체로 비판적이고 진보적인 시각에서 사회현상을 설명하면서도 사회현상을 객관적이고 균형감 있게 이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사회의 다양한 불평등과 차별을 해소하고 사회정의와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려는 실천적인 관심 속에서 사회 현실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하는 방식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그동안 사회학 분야에서는 비판적이고 진보적인 틀을 유연하게 그리고 개방적으로 변화시키려는 노력이 꾸준히 지속되어 왔는데, 이러한 연구 성과들이 이 책의 내용 구석구석에 스며들어 있다.

사회학적 사고를 연장하기 위한 다양한 읽기 자료 수록
2020년대 초까지의 최신 자료 및 사례 업데이트
한국 사회에 대한 분석과 통찰을 포함해 사회학의 시급한 당면 과제에 부응하다


이 책은 단순히 강의를 위해 사용되는 사회학 교재의 틀을 넘어서 다양한 사회현상과 사회 현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대중서로 읽힐 수 있도록 풍부한 사례, 통계자료, 도표, 그림 등을 제시하며 더 쉽고 명료한 이해를 돕고 있다. 또한 다양한 읽기 자료를 수록하여 독자들의 개별 학습 및 집단 토론을 지원한다.
새롭게 발간되는 신판답게 이 책은 현대 사회의 최신 이슈들, 즉 기후 변화에 대한 지구적 대응 속에서 진행되는 생태 전환과 에너지 전환, 인공지능 등 과학기술의 발전과 산업구조 변동 속에서 나타나는 디지털 전환과 산업 전환, 정보통신기술 또는 네트워크기술의 발달에 따른 플랫폼 자본주의와 플랫폼 노동의 확대, 저출산과 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 등 새로운 사회변동의 양상들에 대한 사회학적 해석과 설명을 제공하고 있으며, 바람직한 미래를 위한 실천적 대응방안을 모색한다.
그동안 비판사회학회에서 펴낸 사회학 개론서들은 외국 학자들이 집필한 개론서가 주류를 이뤄온 사회학 학술 시장에서 그 대체서로 인정받아 왔다. 새 책 역시 한국 사회 현실에 관한 내용을 풍부하게 담고 있어 독자들에게 이러한 선례를 이어가는 유용한 사회학 개론서로 인정받을 것으로 기대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유팔무(지은이)

2018년 현재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받고,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교(Freie Universita?t Berlin)에서 ‘이데올로기와 계급관계’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앙일보≫ 기자, ≪월간 말≫ 편집위원, ≪경제와 사회≫ 편집주간, 산업사회학회 회장, ≪동향과 전망≫ 편집위원장, 춘천시민연대 공동대표, 한국사회민주주의연구회 연구소장, 강원시민사회연대회의 공동대표, 사회민주주의정책연구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작으로는 『현대정치경제학』(옮김, 1990), 『춘천리포트』(1, 2, 4권, 공저, 1991, 1999, 2009), 『시민사회와 시민운동』(1, 2권, 공편, 1995, 2000), 『사회민주주의 선언』(공저, 2001), 『한국의 시민사회와 새로운 진보』(2004), 『중산층의 몰락과 계급 양극화』(공저, 2005) 『식탁 위의 복지국가: 유팔무 교수의 60분 다이얼로그』(공저, 2013) 등이 있다.

정태석(지은이)

전북대학교 일반사회교육과 교수 사회학자로서 사회학 이론, 시민사회, 사회운동, 환경문제 등을 연구해왔고, 최근에는 ‘파편사회’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비판사회학회의 학술지 《경제와사회》 편집위원, 참여연대 부설 참여사회연구소 부소장, 환경운동연합 정책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인의 에너지, 평등주의』, 『행복의 사회학』, 『시민사회의 다원적 적대들과 민주주의』, 『사회이론의 구성』,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능력주의와 공정의 딜레마」, 「다원화된 민주주의 사회와 지식인론의 성찰: 경합하는 공공적 지식인」, 「시민자격의 역사적 발달과 세계화 및 위험사회에서의 그 함의」, 「한국 비판사회이론의 흐름과 쟁점」 등 다수가 있다.

지주형(지은이)

경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영국 랭카스터대학교에서 사회학과 정치경제학을 공부하고〈위기에서 배우기: 한국의 정치경제, 시공간성, 위기관리, 1961~2002년〉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7년 영국에서 공부를 시작한 직후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IMF 위기와 한국 사회의 변화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후 한국의 자본주의와 국가 및 지구 정치경제에 대한 연구를 계속해왔다. 연세대학교 국가관리연구원 연구교수를 거쳐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연구교수, (재)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자문위원, 랭카스터대학교 문화정치경제연구센터 객원연구원 등을 지냈다. 지은 책으로《지구화 시대의 국가와 탈국가》(공저),《한국대통령 통치사료집 VII―박정희(4)》(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정체성 싸움》,《일본경제 들여다보기》,《프루스트를 좋아하세요》,《인문학 스터디》(공역) 등이 있다.

엄한진(지은이)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8대학에서 정치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선임연구원, 성균관대학교 서베이리서치센터 연구교수, 춘천시민연대 공동대표 등을 역임했다. 현재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있다.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의 정치사회학과 전 지구에 만연해져버린 ‘증오현상’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이민 2세대 개념을 통해서 본 한국의 이주배경 청소년 문제」, 「예외주의에 갇힌 중동의 소수자담론」, 「‘아랍의 봄’ 이후 중동의 혁명과 반혁명」, 「한국과 아랍의 정체성 논의 비교」, 「한국사회 인종주의의 주요 양상과 특징」, 「동질화에 대한 반발로서의 극단주의 현상: IS와 유럽 극우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구가 바라본 오리엔트, 오리엔트가 바라본 서구」 등이 있으며, 주요 저서로 『프랑스의 이민문제』, 『이슬람주의』, 『다문화사회론』, 『아랍의 봄, 그 후 10년의 흐름』(공저), 『아랍의 봄: 인문학과 사회의 교차적 진화』(공저), 『사회적 가치와 사회혁신』(공저) 등이 있다.

조은주(지은이)

전북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생산과 재생산의 정치에 주목하면서 통치성의 맥락에서 가족 및 인구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비판사회학회 연구위원장, 한국사회학회 총무이사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가족과 통치: 인구는 어떻게 정치의 문제가 되었나』(2018), 『사회과학 지식의 담론사』(공저, 2019), 『경제학들의 귀환』(공저, 2022), 논문으로 「인구통계와 국가형성」(2014), 「발전국가와 젠더: 통치의 성별화, 성별화된 주체화」(2021), “Making the ‘Modern’ Family: The Discourse of Sexuality in the Family Planning Program in South Korea”(2016) 등이 있다.

비판사회학회(감수)

1984년 설립된 학회로 한국 사회과학의 비판적 혁신과 진보적 연구를 통한 사회변화를 표방하여 ‘한국산업사회연구회(산사연)’라는 이름으로 창립되었다. 창립 당시 사회학 외에도 경제학과 정치학 분야의 진보적인 사회과학 연구자들이 대거 참여했다. 1996년 ‘한국산업사회학회(산사학)’로 개칭했고, 2007년에는 ‘비판사회학회’로 다시 개칭했다. 사무실은 서울 마포구 동교동에 위치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제1부 사회학의 문제의식과 기본 개념
01 사회학의 관심과 사회학적 상상력
02 사회학의 형성과 발달
03 사회구조와 사회변동

제2부 문화와 일상생활
04 사회화와 상호작용
05 사회집단과 사회조직
06 대중문화와 일상생활
07 젠더와 섹슈얼리티, 가족

제3부 자본주의와 정치
08 자본주의의 원리와 역사적 변동
09 일과 노동세계
10 사회불평등과 계급·계층
11 국가, 시민사회, 민주주의

제4부 사회문제와 사회운동
12 일탈행동과 범죄
13 인구, 도시, 지역
14 사회복지와 삶의 질
15 집합행동과 사회운동

제5부 변화하는 세계와 일상
16 매체와 지식정보
17 세계화와 정체성
18 과학기술, 위험, 환경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