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3916 | |
005 | 20230315151830 | |
007 | ta | |
008 | 230315m20239999ulk 001a kor | |
020 | ▼a 9791166841668 (v.1) ▼g 9336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46.519 ▼2 23 |
085 | ▼a 346.53 ▼2 DDCK | |
090 | ▼a 346.53 ▼b 2023z2 | |
100 | 1 | ▼a 이병준, ▼g 李丙儁, ▼d 1970- ▼0 AUTH(211009)27064 |
245 | 1 0 | ▼a 민법사례연습 : ▼b 사례와 해설 = ▼x Case and commentary / ▼d 이병준, ▼e 황원재, ▼e 정신동 |
250 | ▼a 제8판 | |
260 | ▼a 서울 : ▼b 세창출판사, ▼c 2023- | |
300 | ▼a 책 ; ▼c 23 cm | |
500 | ▼a 색인수록 | |
505 | 1 0 | ▼n 1. ▼t 민법총칙 ▼g (ix, 262 p.) |
700 | 1 | ▼a 황원재, ▼g 黃元載, ▼d 1977-, ▼e 저 ▼0 AUTH(211009)146177 |
700 | 1 | ▼a 정신동, ▼e 저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 청구기호 346.53 2023z2 1 | 등록번호 111877942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5-19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강릉원주대학교의 정신동 교수가 공동 저자로 참여하여 새로운 사례의 개발과 검토에 도움을 주었다. 부정확하여 오해를 불러 오던 여러 표현들을 수정하고, 각주를 통해 새로운 판례의 경향도 소개하였다. 지나치게 이론적이어서 민법의 핵심 개념과 이론을 사례에 적용하고 연습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 사례들은 현실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사례로 변경하려고 노력하였다.
‘민법사례연습 I’ [민법총칙] 제8판에는 여러 가지 변화가 있습니다. 우선, 강릉원주대학교의 정신동 교수가 공동 저자로 참여하여 새로운 사례의 개발과 검토에 도움을 주었습니다. 부정확하여 오해를 불러 오던 여러 표현들을 수정하고, 각주를 통해 새로운 판례의 경향도 소개하였습니다. 지나치게 이론적이어서 민법의 핵심 개념과 이론을 사례에 적용하고 연습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 사례들은 현실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사례로 변경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이러한 노력 때문에 2004년 3월 초판이 발행된 ‘민법사례연습 I’ [민법총칙]은 민법을 공부하는 다양한 독자들에게 사랑받아 왔다고 생각합니다. 민법의 기초적인 내용들부터 심화 이론 및 판례까지 다양한 내용을 핵심 개념과 이론을 통해 쉽게 이해하고 다가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민법사례연습’의 기본 취지이고, 이번 개정판에도 이러한 노력은 계속되었다고 자부합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이병준(지은이)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동 대학원 졸업(법학석사) 독일 Tubingen 대학교 법과대학(법학박사) 부산대학교 법과대학,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대법원 재판연구관, 법무부 민법개정위원 현재: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E-mail: leebgb@korea.ac.kr
황원재(지은이)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동 대학원 졸업(법학석사) 독일 Osnabruck 대학교 법과대학(법학박사) 현재: 계명대학교 법학과 조교수 E-mail: hwonjae@gmail.com
정신동(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법과대학, 고려대학교 대학원 졸업(법학석사) 독일 Tubingen 대학교 법과대학(법학박사) 현재: 강릉원주대학교 법학과 조교수 E-mail: jungrecht@gmail.com

목차
사례풀이방법의 기초원리 3 이 책의 학습방법 12 제1장 권리의 주체 Ⅰ. 자연인의 권리능력 15 1. 권리능력의 의미 15 2. 태아의 권리능력 17 3. 태아의 수증능력 20 4. 사망자의 법적 지위 23 Ⅱ. 자연인의 행위능력 26 5. 미성년자가 체결한 매매계약 26 6. 미성년자가 체결한 증여계약 29 7. 포괄적 동의 32 8. 재산의 범위를 정한 처분이 허락된 재산 35 9. 피한정후견인의 법률행위의 취소 39 10. 피성년후견인의 법률행위로 인한 취소와 무효의 경합 41 11. 제한능력자의 상대방의 확답을 촉구할 권리 44 12. 제한능력자의 속임수 46 Ⅲ. 부재와 실종 49 13. 부재자의 재산관리 49 14. 실종선고와 그 취소 51 Ⅳ. 법 인 55 15. 법인의 권리능력과 행위능력 55 16. 권리능력 없는 사단 58 17. 분열된 교회와 교회재산의 귀속관계 61 18. 재단법인의 설립과 출연재산의 귀속시기 63 19. 법인의 불법행위책임 66 20. 이사의 대표권 제한 68 21. 청산법인의 재산귀속 70 제2장 권리의 객체 22. 부동산과 동산 72 23. 주물과 종물 74 24. 원물과 과실 76 제3장 권리의 변동-법률행위 Ⅰ. 법률행위의 개념과 종류 78 25. 법률행위와 사실행위 78 26. 준법률행위 81 Ⅱ. 의사표시의 구성요소 83 27. 묵시적인 표시행위 83 28. 행위의사 85 29. 표시의사 87 Ⅲ. 의사표시의 효력발생 89 30. 상대방 없는 의사표시의 통지 89 31. 상대방 있는 의사표시의 통지와 일탈된 법률행위 91 32. 격지자 사이의 의사표시의 도달 94 33. 대화자 사이의 의사표시의 도달 96 34. 전달자를 통한 의사표시의 도달 99 Ⅳ. 법률행위의 해석 101 35. 상대방 있는 의사표시의 해석(객관적 해석) 101 36. 잘못된 문구와 의사표시의 해석(오표시무해의 원칙) 104 37. 유언의 해석(주관적 해석) 107 38. 계약의 보충해석 110 39. 예문해석 112 Ⅴ. 법률행위의 내용 114 40. 법률행위의 내용의 확정성 114 41. 효력규정과 단속규정 116 42. 강행법규의 위반으로 인한 무효 118 43.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 위반으로 인한 무효 121 44. 이중매매 123 45. 동기의 불법 126 46. 불공정한 법률행위와 제103조 128 47. 불공정한 법률행위와 그 효과 131 Ⅵ. 의사표시의 불일치, 하자 133 48. 진의 아닌 의사표시 133 49. 통정한 허위표시와 은닉행위 135 50. 통정한 허위표시의 효력 137 51. 통정한 허위표시와 선의의 제3자 보호 140 52. 동기의 착오 143 53. 쌍방에 공통하는 동기의 착오 146 54. 내용상의 착오, 물건 성상의 착오 148 55. 계산의 착오 151 56. 표시기관의 착오 153 57. 착오로 인한 의사표시의 취소와 표의자의 중대한 과실 155 58. 착오로 인한 의사표시의 취소와 손해배상 158 59. 사기로 인한 의사표시의 취소 161 60. 제3자를 위한 계약과 사기로 인한 의사표시 164 61.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 166 Ⅶ. 법률행위의 대리 168 62. 대리의 요건과 효력 168 63. 직접대리와 간접대리 171 64. 대리인과 사자 173 65. 타인의 이름으로 하는 법률행위 175 66. 대리행위의 하자 178 67. 대리권과 기초적 내부관계 180 68. 착오로 인한 수권행위의 하자 183 69. 사기로 인한 수권행위의 하자 186 70. 대리권의 범위 189 71. 자기계약과 쌍방대리 191 72. 대리권의 남용 194 73. 복대리 197 74. 대리인의 복대리인에 대한 선임・감독의 책임 199 75. 대리권수여의 표시에 의한 표현대리 201 76. 백지위임장과 표현대리 203 77. 권한을 넘은 표현대리와 일상가사대리 205 78. 무권대리와 표현대리 207 79. 무권대리행위의 추인 210 80. 무권대리와 상속 212 Ⅷ. 법률행위의 무효와 취소 214 81. 물권행위의 취소와 무효 214 82. 일부무효 217 83. 무효행위의 전환 219 84. 유동적 무효 221 85. 무효행위의 추인 223 86. 무권리자에 의한 처분행위의 추인 225 87. 일부의 취소 227 88. 법정추인 229 Ⅸ. 조건과 기한 231 89. 정지조건과 해제조건 231 90. 수의조건과 불법조건 233 91. 기한의 이익과 그 포기 235 Ⅹ. 소멸시효 237 92. 소멸시효 완성의 효과 237 93. 소멸시효의 정지와 중단 240 94. 재판상의 청구와 소멸시효의 중단 243 95. 소멸시효 완성의 원용권자 246 96. 제척기간 248 제4장 권리의 행사와 의무의 이행 97. 권리남용 250 98. 실효의 원칙 253 99. 모순행위금지의 원칙 255 100. 사정변경의 원칙 257 ▨ 찾아보기 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