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u2200205 a 4500 | |
001 | 000046143843 | |
005 | 20230316162005 | |
008 | 230315s2016 mau b 001 0 eng c | |
010 | ▼a 2015034224 | |
020 | ▼a 9780674660205 (cloth : alk. paper) | |
035 | ▼a (KERIS)REF000017852735 | |
040 | ▼a MH/DLC ▼b eng ▼c MH ▼e rda ▼d DLC ▼d 211009 | |
042 | ▼a pcc | |
050 | 0 0 | ▼a P107 ▼b .T39 2016 |
082 | 0 0 | ▼a 401 ▼2 23 |
084 | ▼a 401 ▼2 DDCK | |
090 | ▼a 401 ▼b T239L | |
100 | 1 | ▼a Taylor, Charles, ▼d 1931- ▼0 AUTH(211009)73849. |
245 | 1 4 | ▼a The language animal : ▼b the full shape of the human linguistic capacity / ▼c Charles Taylor. |
260 | ▼a Cambridge, Massachusetts : ▼b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c 2016. | |
264 | 1 | ▼a Cambridge, Massachusetts : ▼b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c 2016. |
300 | ▼a x, 352 p. ; ▼c 25 cm. | |
336 | ▼a text ▼2 rdacontent | |
337 | ▼a unmediated ▼2 rdamedia | |
338 | ▼a volume ▼2 rdacarrier | |
504 | ▼a Includes bibliographical references and index. | |
650 | 0 | ▼a Language and languages ▼x Philosophy. |
650 | 0 | ▼a Linguistics ▼x Philosophy. |
650 | 0 | ▼a Cognition.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Western Books/ | Call Number 401 T239L | Accession No. 11187769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찰스 테일러(지은이)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수학하였으며, 현재 캐나다 몬트리올 맥길대의 명예교수로 있다. 그는 현대 도덕철학 및 정치철학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대표적인 사상가들 가운데 하나로, 특히 현대사회의 인문·사회과학적 문제들에 대해 전문가적 견해와 대중적인 지평을 동시에 견지하고 있는 사상가일 뿐만 아니라 자유주의적 공동체주의자로서 정치 운동도 활발하게 벌이고 있다. 찰스 테일러의 학문적 작업은 전반적으로 근대성에 대한 철학적 반성으로 볼 수 있다. 그는 이러한 반성을 통해 하나의 목적론적 체계를 구축하려고 했던 전통적인 철학의 단점과 포스트모던적 상대주의가 봉착하게 되는 허무주의로의 귀결이라는 딜레마를 극복하면서 이것들을 동시에 조화시킬 수 있는 철학을 발전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불안한 현대사회』는 찰스 테일러가 캐나다 방송(CBC)에서 강연한 내용을 책으로 엮은 것으로, 근대성의 병폐에서 기인하는 현대사회의 불안의 원인과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희망적인 대안을 제시한 역작이다. 주요 저서로는 『헤겔』(1975), 『철학 논집』(1985), 『자아의 원천들』(1989), 『헤겔 철학과 현대 사회의 위기』(1979) 등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