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ESG시대의 지속가능경영) 기업시민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송호근, 宋虎根, 1955-, 저 김태영, 저 신현상, 저 김기현, 저 김경묵, 저 손영우, 저 박경서, 저 한종수, 저 김용진, 저 손예령, 저 신호창, 저 윤수진, 저 윤정구, 저 천성현, 저 김용근, 저
서명 / 저자사항
(ESG시대의 지속가능경영) 기업시민 / 송호근 [외] 지음
발행사항
화성 :   plan b design,   2023  
형태사항
384 p. : 삽화, 도표 ; 24 cm
ISBN
9791168320451
일반주기
공저자: 김태영, 신현상, 김기현, 김경묵, 손영우, 박경서, 한종수, 김용진, 손예령, 신호창, 윤수진, 윤정구, 천성현, 김용근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54-384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3638
005 20230314172204
007 ta
008 230313s2023 ggkad b 000c kor
020 ▼a 9791168320451 ▼g 93320
035 ▼a (KERIS)BIB000016674382
040 ▼a 211048 ▼c 211048 ▼d 211009
082 0 4 ▼a 658.408 ▼2 23
085 ▼a 658.408 ▼2 DDCK
090 ▼a 658.408 ▼b 2023z3
245 2 0 ▼a (ESG시대의 지속가능경영) 기업시민 / ▼d 송호근 [외] 지음
260 ▼a 화성 : ▼b plan b design, ▼c 2023
300 ▼a 384 p. : ▼b 삽화, 도표 ; ▼c 24 cm
500 ▼a 공저자: 김태영, 신현상, 김기현, 김경묵, 손영우, 박경서, 한종수, 김용진, 손예령, 신호창, 윤수진, 윤정구, 천성현, 김용근
504 ▼a 참고문헌: p. 354-384
700 1 ▼a 송호근, ▼g 宋虎根, ▼d 1955-, ▼e
700 1 ▼a 김태영, ▼e
700 1 ▼a 신현상, ▼e
700 1 ▼a 김기현, ▼e
700 1 ▼a 김경묵, ▼e
700 1 ▼a 손영우, ▼e
700 1 ▼a 박경서, ▼e
700 1 ▼a 한종수, ▼e
700 1 ▼a 김용진, ▼e
700 1 ▼a 손예령, ▼e
700 1 ▼a 신호창, ▼e
700 1 ▼a 윤수진, ▼e
700 1 ▼a 윤정구, ▼e
700 1 ▼a 천성현, ▼e
700 1 ▼a 김용근,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58.408 2023z3 등록번호 11187787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오늘날 우리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기후변화, 환경오염, 빈부격차, 양극화 등의 사회문제는 일부 관계자들만의 노력으로는 해결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회 구성원들에게 희망으로 다가온 것이 바로 기업시민(Corporate Citizenship)이다.

『ESG시대의 지속가능경영 기업시민』은 기업의 지속가능성, ESG 이슈 대응에 관심 있는 이들이라면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전략, 마케팅, 재무, 회계, 커뮤니케이션, 사회공헌 등 기업시민 경영과 관련된 12개의 주제를 담고 있다. 각 챕터는 [Intro] - [본문] - [Wrap-up] - [사례 연구] - [토의 아젠다]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Intro’에서는 동기유발을 위하여 기사나 뉴스, 사례 등 주제와 관련된 최신 트렌드를 소개했다. ‘Wrap-up’에서는 본문에서 논의된 내용을 요약하였고, ‘사례 연구’에서는 각 주제와 관련된 우수 사례를 소개했다. ‘토의 아젠다’에서는 본문에서 논의된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 2~4개의 토의 주제를 제시하였다.

포스코, 애플, 아마존 등 글로벌 기업들은 인류가 직면한 현재의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기업시민을 자청하고 나섰다. 이 책이 한국 사회에 기업시민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한 곳이라도 더 많은 기업들이 그 길에 동참하는 데 힘을 보태 주기를 기대해 본다.

고객, 구성원, 파트너사, 지역사회, 주주 등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기업시민’의 모든 것!


오늘날 우리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기후변화, 환경오염, 빈부격차, 양극화 등의 사회문제는 일부 관계자들만의 노력으로는 해결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회 구성원들에게 희망으로 다가온 것이 바로 기업시민(Corporate Citizenship)이다.
책 『ESG시대의 지속가능경영 기업시민』은 기업의 지속가능성, ESG 이슈 대응에 관심 있는 이들이라면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전략, 마케팅, 재무, 회계, 커뮤니케이션, 사회공헌 등 기업시민 경영과 관련된 12개의 주제를 담고 있다. 각 챕터는 [Intro] - [본문] - [Wrap-up] - [사례 연구] - [토의 아젠다]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Intro’에서는 동기유발을 위하여 기사나 뉴스, 사례 등 주제와 관련된 최신 트렌드를 소개했다. ‘Wrap-up’에서는 본문에서 논의된 내용을 요약하였고, ‘사례 연구’에서는 각 주제와 관련된 우수 사례를 소개했다. ‘토의 아젠다’에서는 본문에서 논의된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 2~4개의 토의 주제를 제시하였다.
포스코, 애플, 아마존 등 글로벌 기업들은 인류가 직면한 현재의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기업시민을 자청하고 나섰다. 이 책이 한국 사회에 기업시민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한 곳이라도 더 많은 기업들이 그 길에 동참하는 데 힘을 보태 주기를 기대해 본다.

‘공존’을 향한 기업의 ‘혁신’

‘기업시민’ 개념은 기존의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기업의 사회적 책임), CSV(Creating Shared Value, 공유가치창출)를 포함해 더 넓고 자율적인 가치를 지향하며, CEO와 임원뿐만 아니라 직원에 이르기까지 자발적으로 인지하고 동참하는 가치 창출 기업 행위를 말한다.
투자자뿐만 아니라 소비자들도 이제는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를 중시하기에 이르렀다. 기업의 투자 기준도 ‘돈 잘 버는 기업’에서 ‘착한 기업’,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 그리고 ‘살아남을 기업’으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화답하는 개념이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다. 기업시민 개념은 비즈니스 모델을 사회적 가치로 연결하는 핵심 개념이자 ESG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미국 블랙록(BlackRock)의 CEO 래리 핑크(Larry Fink)는 투자 결정 과정에서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성을 핵심 지표로 삼겠다고 밝혔으며, 다른 글로벌 자산운용사들 역시 단기적인 재무적 가치가 아니라 비재무적 가치를 강조하며 ESG 이슈를 소홀히 하는 기업에는 투자하지 않는다고 천명하기도 하였다. 이제 ESG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다.
오늘날 기업은 과거보다 훨씬 거대화되었고, 업業의 다양화로 사회 전반에 대한 영향력이 점점 커지고 있다. 기업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다면적 요구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기업에 보내는 절박한 구조 요청이라 볼 수 있다.
이 책은 기업의 지속가능성, ESG 이슈 대응에 관심 있는 이들이라면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전략, 마케팅, 재무, 회계, 커뮤니케이션, 사회공헌 등 기업시민 경영과 관련된 12개의 주제를 담았다. 기업시민경영의 이론적, 실천적 연구인 이 책이 인류가 직면한 현안과 위기 해결에 서로 동참할 의지를 확산하고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문명사적 가치를 증진하는 데에 좋은 지침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프롤로그」 중 일부 발췌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신호창(지은이)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다.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오하이오대학교 저널리즘스쿨에서 공중관계(Public Relations)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 최초의 공중관계학 박사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한국홍보학회 회장, 한국PR협회 부회장, 국제커뮤니케이션학회(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공중관계 부문(Public Relations Division) 회장을 역임했다. 2005년에는 커뮤니케이션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정부로부터 홍조근정훈장을 받았다. 저서로 《전략적 커뮤니케이션》(2015), 《마케팅 PR 전략과 사례》(2014), 《사내 커뮤니케이션》(2013), 《정책 PR》(2011), 《PR 전략론》(2000), 《피할 수 없는 PR》(1995)가 있다. 연구 논문으로 “마케팅 프로그램 전략 개발”(1996), “발전적 행정PR체계”(1999. 2012), “언론관계와 PR윤리” (1997, 2007), “해외홍보전략”((2000, 2004, 2008 & 2012), “개혁을 성공시키기 위한 PR 전략”(1998), “사내 커뮤니케이션 진단”(2003, 2011 & 2013), “사내 커뮤니케이션과 구성원 열의”(2015), “Perceived stigma of alcohol dependency: Comparative influence on patients and family members”(2015), “An Ego Network Analysis of How the Korean Media Covered the Announcement of China’s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in November 2013”(2017) 등이 있다.

윤정구(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의 인사조직전략 교수로 미국 University of Iowa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20년간 미국 코넬대학교 조직행동론학과 겸임교수로 집단동학연구를 수행해왔다. (사)대한리더십학회 회장, (사)한국조직경영개발학회 회장, (사)한국공정거래학회 부회장, 국회 인재육성포럼 자문교수, 정부의 성별영향평가 위원으로 봉사했다. 대표적인 국내 저서로 『100년 기업의 변화경영』 『진성리더십』 『황금수도꼭지: 목적경영의 비밀』 『진정성이란 무엇인가』 『기업시민의 길』 『여성은 전략적 파트너인가』 등이 있으며 영문 저서로는 미국 러셀 세이지 재단에서 출간한 『Social Commitments in a Depersonalized World』와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출간한 『Order on the Edge of Chaos』가 있다. 여성 리더십 파이프라인 변화경영, 진성리더십, ESG와 Good 거버넌스, 문화 및 조직설계에 관한 연구와 자문을 하고 있다.

박경서(지은이)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졸업(학사)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경영대학원 졸업(M.B.A.)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경영대학원 졸업(Ph.D. in Finance)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및 연구 위원장 현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기업경영연구원 원장 한국증권선물거래소 코스닥시장 공시위원회 위원장 금융위원회 금융발전심의위원회  은행분과 위원장 금융위원회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매각소위원회 위원장 한국기업지배구조원장 저 서 Transition to Universal Banking: Korean Experience, Irwin/Professional, New York, U.S.A. Corporate Culture of Korean Banks, in ‘Banking Cultures of the World’, Fritz Knapp Verlag, Frankfurt, Germany. Bank-led Corporate Restructuring, in ‘Economic Crisis and Corporate Restructuring in Korea’, Cambridge Press, UK. 주요 논문 “금융지주회사제도에 관한 연구,” KDI “은행의 예금보험제도 도입방안,” 한국금융연구원 “미완의 개혁: 금융 - 기업구조조정,” 삼성경제연구소 “Corporate Governance and Firm Value: Evidence from the Korean Financial Crisis,” Journal of Financial Economics “Traders’ Choice between Limit and Market Orders: Evidence from NYSE,” Journal of Financial Markets

신현상(지은이)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학사 미국 UCLA 대학교 경영학 박사 현 한양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현 한양대학교 국제부처장

송호근(지은이)

한림대 도헌학술원 원장

김태영(지은이)

성균관대 경영전문대학원 교수

김기현(지은이)

고려대 경영대학 연구교수

김경묵(지은이)

덕성여대 글로벌융합대학 경영학전공 교수

손영우(지은이)

포스텍 인공지능대학원 교수

한종수(지은이)

이화여대 경영대학 교수

김용진(지은이)

서강대 경영대학 교수

손예령(지은이)

포스텍 기업시민연구소 연구조교수

윤수진(지은이)

서울여대 교양대학 교수

천성현(지은이)

포스코홀딩스 ESG팀장

김용근(지은이)

포스텍 기업시민연구소 부소장

정보제공 : Aladin

목차

| 권두언 | 4
1 송호근 | 프롤로그 | 공존을 향한 기업의 혁신 10

PART 1 본원 활동
2 김태영 | 전략 | ESG경영전략과 기업시민 20
3 신현상, 김기현 | 마케팅 | 기업시민정신과 마케팅 51
4 김경묵 | 구매 | 기업시민 이념 실천 관행으로서 지속가능한 공급사슬관리 77
5 손영우 | R&D/신성장 | 새로운 가치창출과 기업시민 산업생태계 107

PART 2 지원 활동 : 자본·기술
6 박경서 | 재무 | ESG경영의 재무와 기업지배구조 130
7 한종수 | 회계 | 비재무정보의 측정과 보고 166
8 김용진 | 디지털 |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과 ESG 실행 195
9 손예령 | 환경/안전보건 | 기업시민 기반의 환경 및 안전보건 이슈 대응 224

PART 3 지원 활동 : 사람·문화
10 신호창 | 커뮤니케이션 | ‘기업시민’과 성과 사이에는 커뮤니케이션이 있다 270
11 윤수진 | 사회공헌 | 기업 사회공헌 활동의 변화:
‘선행의 실천’에서 ‘변화의 공동창조’로 295
12 윤정구 | 조직문화 | 기업시민 기반의 기업문화 설계: 전문가의 놀이터 315
13 천성현, 김용근 | HR/리더십 | 지속가능한 HR과 리더십 336

14 윌리엄 P. 바넷 | 에필로그 | 붉은 여왕 효과를 통해 살펴본 포스코의 경쟁력 350

| 참고문헌 | 354

관련분야 신착자료

Jacobs, F. Robert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