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여러미주신경이론 : 감정, 애착, 의사소통, 자기조절의 신경생리학적 기초

여러미주신경이론 : 감정, 애착, 의사소통, 자기조절의 신경생리학적 기초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Porges, Stephen W. 강철민, 역
서명 / 저자사항
여러미주신경이론 : 감정, 애착, 의사소통, 자기조절의 신경생리학적 기초 / 스티븐 포지스 지음 ; 강철민 옮김
발행사항
서울 :   하나醫學社,   2022  
형태사항
612 p. ; 23 cm
원표제
The polyvagal theory : neurophysiological foundations of emotions, attachment, communication, and self-regulation
ISBN
9791191658095
서지주기
참고문헌(p. 559-603)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Affective neuroscience Emotions --Physiological aspects Vagus nerve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3551
005 20230313133720
007 ta
008 230310s2022 ulk b 001c kor
020 ▼a 9791191658095 ▼g 03180
035 ▼a (KERIS)BIB000016196927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0 ▼a 612.8 ▼2 23
085 ▼a 612.8 ▼2 DDCK
090 ▼a 612.8 ▼b 2022z2
100 1 ▼a Porges, Stephen W.
245 1 0 ▼a 여러미주신경이론 : ▼b 감정, 애착, 의사소통, 자기조절의 신경생리학적 기초 / ▼d 스티븐 포지스 지음 ; ▼e 강철민 옮김
246 1 9 ▼a The polyvagal theory : ▼b neurophysiological foundations of emotions, attachment, communication, and self-regulation
246 3 9 ▼a Polyvagal theory
260 ▼a 서울 : ▼b 하나醫學社, ▼c 2022
300 ▼a 612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559-603)과 색인수록
650 0 ▼a Affective neuroscience
650 0 ▼a Emotions ▼x Physiological aspects
650 0 ▼a Vagus nerve
700 1 ▼a 강철민, ▼e▼0 AUTH(211009)1337
900 1 0 ▼a 포지스, 스티븐, ▼e
900 1 0 ▼a Kang, Cheol-min,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2.8 2022z2 등록번호 1118778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스티븐 포지스(지은이)

인디애나대학교의 외상 스트레스 연구협력단 설립자이자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의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이며 시카고의 일리노이 주립대학교와 메릴랜드대학교의 명예교수이다. 그는 정신생리학 연구협회장과 행동 및 뇌과학 연합회의 의장을 역임했으며 국립보건원의 연구과학자상을 수상하였다. 그는 여러미주신경이론의 창시자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300편 이상의 과학논문을 발표하였다.

강철민(옮긴이)

인제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백병원에서 전공의 과정을 거친 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였다. 보스턴 정신분석연구소에서 정신분석적 정신치료 펠로우쉽 과정, 뉴잉글랜드 부부치료센터에서 감정중심부부치료과정, 벡인지행동치료연구소에서 불안장애에 대한 인지행동치료 및 마음챙김과정, 하버드 의과대학의 애착과정, 뎁 데이나의 여러미주신경이론에 기초한 조절의 리듬과정을 수료하였다. 역서로 『신경과학으로 설명한 감정중심의 오른뇌 정신치료』(2021), 『한 권으로 읽는 정신분석』(2020), 『정신치료의 신경과학』(2018), 『쉽게 쓴 대인관계 신경생물학 지침서』(2016), 『(EMDR) 눈 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2008), 『정신과 의사들을 위한 임상신경학』(2003)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역자 서문
감사의 글
머리말 ─ 베셀 반 데어 콜크
서론: 왜 여러미주신경이론인가?

제1부|이론적인 원칙들
제1장. 신경감각 ─ 위협과 안전을 발견하기 위한 잠재의식체계
제2장. 방어해야 하는 세상에 적응하기 ─ 포유류가 수정한 우리의 진화유산 여러미주신경이론
제3장. 여러미주신경이론 ─ 자율신경계의 적응적 반응에 대한 새로운 통찰

제2부|초기 발달 동안의 생체행동적 조절
제4장. 미주신경긴장도 ─ 스트레스 취약성에 대한 생리적
제5장. 영아의 육감 ─ 신체과정의 인식과 조절
제6장. 고위험 영아의 생리적 조절 ─ 평가와 잠재적인 중재법에 대한 모델
제7장. 영아의 미주신경 “제동” 조절은 아동행동문제를 예측할 수 있게 해준다 ─ 사회적 행동의 정신생리학적 모델
제8장. 자율신경계의 초기발달은 사회적 행동의 신경적 틀을 제공해 준다

제3부|사회적 의사소통과 관계
제9장. 미주신경긴장도와 감정의 생리적 조절
제10장. 감정 ─ 자율신경계에 대한 신경조절의 진화적 부산물
제11장. 사랑 ─ 포유류 자율신경계에 새로 나타난 특성
제12장. 사회참여와 애착 ─ 계통발생적인 측면
제13장. 여러미주신경 가설 ─ 자율신경조절, 목소리, 듣기를 중재하는 공통적인 기전

제4부|치료적 및 임상적 측면
제14장. 미주신경 ─ 자폐증과 연관된 행동적 및 생리적 양상의 매개체
제15장. 경계인격장애와 감정조절
제16장. 학대력은 자율신경조절과 연관되어 있다
제17장. 음악치료, 외상, 여러미주신경이론

제5부|사회적 행동과 건강
제18장. 정동의 지각과 표현에 있어서 신체와 뇌 사이의 상호영향
제19장. 신경생물학과 진화 ─ 양육의 기전, 매개체, 적응적인 결과

맺음말
저작권
참고문헌
찾아보기


정보제공 : Aladin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