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병자호란과 김화 백전전투

Material type
단행본
Corporate Author
태봉학회
Title Statement
병자호란과 김화 백전전투 = The Manchu's invasion of Joseon in 1636 the battle of Gimhwa Baekjeon / 태봉학회, 국방문화재연구원, 철원군 엮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주류성,   2022  
Physical Medium
316 p. : 삽화 ; 22 cm
Series Statement
태봉학회 총서 ;4
기타표제
한자표제: 丙子胡亂 金化栢田戰鬪
ISBN
9788962464955 9788962464153 (세트)
General Note
부록: 태봉학회 활동 및 철원군의 역사·문화 관련 동향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8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3485
005 20230403143924
007 ta
008 230310s2022 ulka b 000c kor
020 ▼a 9788962464955 ▼g 94910
020 1 ▼a 9788962464153 (세트)
035 ▼a (KERIS)BIB000016650331
040 ▼a 211029 ▼c 211029 ▼d 211009
082 0 4 ▼a 951.902 ▼2 23
085 ▼a 953.0557 ▼2 DDCK
090 ▼a 953.0557 ▼b 2022z3
110 ▼a 태봉학회
245 1 0 ▼a 병자호란과 김화 백전전투 = ▼x The Manchu's invasion of Joseon in 1636 the battle of Gimhwa Baekjeon / ▼d 태봉학회, ▼e 국방문화재연구원, ▼e 철원군 엮음
246 3 1 ▼a Manchu's invasion of Joseon in 1636 the battle of Gimhwa Baekjeon
246 1 ▼i 한자표제: ▼a 丙子胡亂 金化栢田戰鬪
260 ▼a 서울 : ▼b 주류성, ▼c 2022
300 ▼a 316 p. : ▼b 삽화 ; ▼c 22 cm
490 1 0 ▼a 태봉학회 총서 ; ▼v 4
500 ▼a 부록: 태봉학회 활동 및 철원군의 역사·문화 관련 동향
504 ▼a 참고문헌: p. 8
710 ▼a 국방문화재연구원, ▼e
710 ▼a 철원군, ▼e▼0 AUTH(211009)144874
830 0 ▼a 태봉학회 총서 ; ▼v 4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953.0557 2022z3 Accession No. 11187737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태봉을 비롯하여 후삼국의 역사를 전공하는 연구자는 그리 많지 않다. 태봉을 주제로 하는 학회지의 발간은 아직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태봉학회에서는 태봉과 철원 지역의 역사, 문화에 대한 기왕의 논고, 자료 등을 모아 총서를 간행하기로 하였다. 관련 글들이나 자료들은 오랜 기간에 걸쳐 드문드문 발표되어왔고,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는 것들을 정리하여 묶었다. 그동안 태봉학회 총서는 제1권 ‘태봉 철원도성 연구’. 제2권 ‘6. 25 전쟁과 철원’, 제3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의 성립’이 간행되었다.

태봉학회는 총서 제4권에서 김화 백전전투를 다루기로 하였다. 철원군과 (재)국방문화재연구원은 2012년 11월에 「철원 김화 백전대첩을 아는가」라는 주제로 제1회 병자호란 김화 백전대첩 기념 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또 2013년 10월에는 「김화 백전대첩 승리의 비밀을 풀다」를 주제로 하여 제2회 학술대회를 열었다. 두 번의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원고들을 입수하여 그 가운데 몇 편을 추렸다. 여기에 병자호란 전반을 이해하는 데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논문들을 더하였다. 책의 말미에는 2022년 태봉학회의 활동과 철원군의 역사·문화 관련 동향을 소개하는 글을 실었다.

병자호란 중 조선군이 거둔 몇 안 되는 승전 중 하나인 ‘김화 백전전투’의 비밀을 풀다

16~17세기 동아시아 3국은 큰 변동을 겪었다. 그 직접적인 계기는 임진왜란(1592~1598)이었다. 조선 침공의 실패로 도요토미 히데요시 정권은 붕괴하고, 에도막부가 성립하였다. 대규모 구원병을 파견하였던 명은 그 몰락의 속도가 빨라졌다. 인적, 물적으로 큰 피해를 본 조선 왕조는 새로운 지배 질서를 모색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하지만 왜란으로 인한 혼란을 미처 수습하기도 전에 두 차례의 호란을 겪게 되었다.

명의 국력이 쇠약해진 틈을 이용하여 만주의 여진족은 후금을 건국하고, 명과 패권을 다투기에 이르렀다. 후금과 그 후신인 청은 배후의 조선이 친명정책을 추구하는 것을 우려하였다. 그리하여 1627년과 1636년 두 차례 조선을 침입하였다.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이 그것이다. 정묘호란은 양국 간의 화의로 종결되었다. 하지만 병자호란은 1637년 1월 30일 인조가 청 태종에게 항복함으로써 끝났다.

1636년 12월 14일 한양 인근에 도착한 청군의 선봉대는 강화도로 가는 길목을 차단하는 한편 인조가 피신한 남한산성을 포위하였다. 이어 청 태종이 대군을 거느리고 남하하여 합세하였다. 남한산성에 고립된 조선 조정은 각도의 근왕병이 구원해줄 것을 기대하였다. 하지만 이들 대부분은 청군에 의해 격퇴되고 말았다. 김준룡 휘하의 전라도 근왕병이 경기도 용인 광교산에서 청군을 무찔렀지만 곧 해산하였다. 유림이 지휘하던 평안도 근왕병은 강원도 김화의 백전(栢田)에서 크게 승리하였다. 인조가 곧 항복함으로써 이들은 근왕병으로서의 임무를 다할 수 없었지만, 이 승리는 병자호란 중 조선군이 거둔 몇 안 되는 승전 중 하나였다.

∎ 지은이

조성을 (아주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韓明基 (명지대학교 사학과 교수)
이종호 (건양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강성문 (전 육군사관학교 사학과 교수)
노영구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
柳承宙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 명예교수)
권순진 (수도문물연구원 실장)
柳在春 (강원대학교 사학과 교수)
이 재 (국방문화재연구원 원장)
김영규 (태봉학회 사무국장·철원역사문화연구소 소장)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총서를 펴내며
수록 논문의 출처

제1부. 병자호란의 제문제
병자호란 연구의 제문제
- 조성을 (아주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明淸交替 시기 朝中關係의 추이
- 韓明基 (명지대학교 사학과 교수)

병자호란의 開戰원인과 朝·淸의 군사전략 비교연구
- 이종호 (건양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朝鮮 政府의 捕虜 送還 노력
- 강성문 (전 육군사관학교 사학과 교수)

제2부. 김화 백전전투
17세기 전반기 조선의 대북방 방어전략과 평안도 국방체제
- 노영구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

丙子胡亂의 戰況과 金化戰鬪 一考
- 柳承宙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 명예교수)

丙子胡亂 金化 栢田戰鬪 考察
- 권순진 (수도문물연구원 실장)

戰骨塚의 조성 경위와 위치 比定
- 柳在春 (강원대학교 사학과 교수)

김화 백전대첩(栢田大捷) 유적의 현황과 보존대책
- 이 재 (국방문화재연구원 원장)

부록
태봉학회 활동 및 철원군의 역사·문화 관련 동향
- 김영규 (태봉학회 사무국장·철원역사문화연구소 소장)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