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3052 | |
005 | 20230306174253 | |
007 | ta | |
008 | 230306s2022 ulkad b 000a kor | |
020 | ▼a 9788957116630 ▼g 930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070.449331 ▼2 23 |
085 | ▼a 070.449331 ▼2 DDCK | |
090 | ▼a 070.449331 ▼b 2022 | |
245 | 0 0 | ▼a 노동 보도 현황과 개선 방안 연구 / ▼d 박영흠 [외] |
260 | ▼a 서울 : ▼b 한국언론진흥재단, ▼c 2022 | |
300 | ▼a 149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490 | 1 0 | ▼a 연구서 ; ▼v 2022-05 |
500 | ▼a 공저자: 안수찬, 박권일, 강태영 | |
504 | ▼a 참고문헌: p. 144-149 | |
700 | 1 | ▼a 박영흠, ▼e 저 |
700 | 1 | ▼a 안수찬, ▼e 저 |
700 | 1 | ▼a 박권일, ▼e 저 |
700 | 1 | ▼a 강태영, ▼e 저 |
830 | 0 | ▼a 연구서 (한국언론진흥재단) ; ▼v 2022-05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70.449331 2022 | 등록번호 5110575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빅데이터 분석, 뉴스 텍스트 분석, 기자 및 전문가들과의 심층 인터뷰 등 다각도의 분석을 통해 한국 언론이 노동을 다루는 방식을 입체적으로 진단했다. 이를 통해 한국 언론의 노동 보도가 어떻게 변화해 왔으며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관행과 시스템 속에서 뉴스가 생산되는지를 점검했다. 연구는 나아가 노동 보도의 바람직한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 변화를 위한 실천 방안을 제안했다.
노동은 인간의 자아실현과 생계유지를 위한 필수적 수단이며 절대다수의 사회 구성원은 노동자이지만, 한국 사회에서 노동은 강력한 혐오의 대상이 되어 있다. 노동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지우고 일상 속에서 노동자의 권리가 보호받기 위해서는 노동에 무관심하거나 적대적인 언론의 보도가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 뉴스 텍스트 분석, 기자 및 전문가들과의 심층 인터뷰 등 다각도의 분석을 통해 한국 언론이 노동을 다루는 방식을 입체적으로 진단했다. 이를 통해 한국 언론의 노동 보도가 어떻게 변화해 왔으며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관행과 시스템 속에서 뉴스가 생산되는지를 점검했다. 연구는 나아가 노동 보도의 바람직한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 변화를 위한 실천 방안을 제안했다.
정보제공 :

목차
01. 서론: 연구 배경과 목적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의 구성 02. 이론적 논의와 선행 연구 검토 1. 노동의 중요성: 세 차원 2. 노동 보도의 중요성 3. 선행 연구 검토 4. 선행 연구의 시사점 03. 노동 보도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1. 분석 개요 2. 텍스트 임베딩 기반 분석 3. 어휘 언급 빈도 기반 분석 4. 소결 04. ‘이달의 기자상’ 수상 노동 보도 분석 1. 탁월한 기사의 가치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소결 05. 언론인・전문가 심층 인터뷰 분석 1. 노동 보도 현황과 인식 2. 노동 보도의 한계와 쟁점 3. 개선 과제와 방안 4. 소결 06. 결론: 연구 시사점과 제언 1. 연구의 시사점 2. 개선 방향과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