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세계를 이끈 경제사상 강의 : 경제학의 탄생 기원과 22개 학파로 보는 300년 경제학사 통찰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민주
서명 / 저자사항
세계를 이끈 경제사상 강의 : 경제학의 탄생 기원과 22개 학파로 보는 300년 경제학사 통찰 / 김민주 지음
발행사항
서울 :   PARK&JEONG,   2023  
형태사항
716 p. : 삽화 ; 23 cm
ISBN
9791192663074
일반주기
부록: 연도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학파별 주요 경제학자  
서지주기
참고문헌: p. 695-716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2831
005 20230302160231
007 ta
008 230302s2023 ulka b 000a kor
020 ▼a 9791192663074 ▼g 0332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30.15 ▼2 23
085 ▼a 330.15 ▼2 DDCK
090 ▼a 330.15 ▼b 2023
100 1 ▼a 김민주
245 1 0 ▼a 세계를 이끈 경제사상 강의 : ▼b 경제학의 탄생 기원과 22개 학파로 보는 300년 경제학사 통찰 / ▼d 김민주 지음
246 1 1 ▼a The economic thought
246 3 1 ▼a Economic thought
260 ▼a 서울 : ▼b PARK&JEONG, ▼c 2023
300 ▼a 716 p. : ▼b 삽화 ; ▼c 23 cm
500 ▼a 부록: 연도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학파별 주요 경제학자
504 ▼a 참고문헌: p. 695-716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0.15 2023 등록번호 111877319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12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유튜브 채널 <정윤희의 책문화TV>에서 20회에 걸쳐 방송했던 시리즈 ‘민주쌤의 신나는 경제학수업’이 책으로 출간됐다. 《세계를 이끈 경제사상 강의》는 방송에서 소개한 경제사상뿐만 아니라 경제학, 사회학, 정치학, 철학, 역사학 등 인접 학문을 넘나들면서 폭넓고 깊이 있는 경제사상을 집대성했다.

저자 김민주는 이 책을 조지프 슘페터(Joseph A. Schumpeter)에게 바친다고 고백한다. 슘페터는 이론경제학자에 머물지 않고 정부와 금융 분야에서 현장 경험을 거쳐, 경제, 정치, 사회를 아우르는 폭넓은 지식과 탁견을 지닌 경제학자이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경제학이 탄생한 근세 18세기부터 21세기 현재까지 300년 동안의 경제학 역사를 폭넓게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세계를 이끈 경제사상 강의》
유튜브에서 입소문 난 ‘민주쌤의 신나는 경제학수업’이 책으로 출판!
300년 세계 경제사를 집대성한 역작!


유튜브 채널 <정윤희의 책문화TV>에서 20회에 걸쳐 방송했던 시리즈 ‘민주쌤의 신나는 경제학수업’이 책으로 출간됐다. 《세계를 이끈 경제사상 강의》는 방송에서 소개한 경제사상뿐만 아니라 경제학, 사회학, 정치학, 철학, 역사학 등 인접 학문을 넘나들면서 폭넓고 깊이 있는 경제사상을 집대성했다. 저자 김민주는 이 책을 조지프 슘페터(Joseph A. Schumpeter)에게 바친다고 고백한다. 슘페터는 이론경제학자에 머물지 않고 정부와 금융 분야에서 현장 경험을 거쳐, 경제, 정치, 사회를 아우르는 폭넓은 지식과 탁견을 지닌 경제학자이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경제학이 탄생한 근세 18세기부터 21세기 현재까지 300년 동안의 경제학 역사를 폭넓게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18세기 중상학파부터 21세기 노벨경제학상 수상자까지,
22개 학파로 보는 세계를 이끈 경제학 이론 탄생과 역사


경제 현실은 수시로 변한다. 뉴스를 보면 주가, 이자율, 실업률, 환율, 부동산 가격, 소비자 물가, 수출, 수입, 소비지출, 부도율, 기업투자, GDP 수치가 계속 나온다. 이런 경제 현실에 따라 정부 정책과 기업전략, 그리고 소비자 행동이 바뀌곤 한다. 현실과 정책을 넓고 깊게 들여다보고 경제학자들은 이론을 만든다. 시간이 지나면 검증된 이론들만 살아남고 이런 이론들이 합쳐져 학설이 만들어진다. 그리고 오랜 시간이 지나면 여러 학설들이 모여 거대한 흐름인 사상으로 합류한다.

경제학 역사를 살펴보면 맨체스터학파, 로잔학파, 비엔나학파, 살라망카학파, 케임브리지학파, 시카고학파, 위스콘신학파, 카네기학파, 스톡홀름학파, 스코틀랜드학파, 케인스학파, 마르크스학파, 슘페터학파, 페이비언학파, 조지학파가, 중상학파, 중농학파, 자유방임학파, 공리학파, 아나키즘학파, 유토피아학파, 역사학파, 제도학파, 통화학파, 신고전학파, 신제도학파, 새케인스학파, 신리카도학파 등 많은 학파들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세계를 이끈 경제사상 강의》에서는 경제사상 전체에 대한 개요뿐만 아니라 경제학파를 이념 관점에서 자유주의, 합리주의, 개입주의, 그리고 사회주의, 진화주의, 행동주의까지 크게 여섯 갈래로 나누어, 근세, 근대, 현대 시기에 걸쳐 22개 학파를 소개한다.

1부 근세 18세기에서는 절대국가 시대 부국강병을 위한 중상학파, 특혜·규제 일색의 중상주의에 반기를 든 자유방임학파, 프랑스에 이어 계몽운동을 꽃피운 스코틀랜드학파, 목가적 공동체만을 꿈꾸지 않았던 유토피아학파를 소개한다.

2부 근대 19세기에서는 경제 현상을 이론으로 만들기 시작한 고전학파, 독일이 야심차게 주도한 역사학파, 개인 쾌락과 다수 행복을 중시한 공리학파, 자본주의 국가에 결정타를 먹인 마르크스학파, 주류경제학의 기원 신고전학파, 무정부주의와 동의어가 아닌 아나키즘학파, 점진적 사회주의를 정착시킨 페이비언학파, 토지를 경제 왜곡의 근원으로 본 조지학파, 극단적 자유주의를 외친 오스트리아학파를 소개한다.

3부 현대 20세기에서는 미국 자본주의 사회를 신랄하게 비판한 제도학파, 거시경제학의 선구자 스톡홀름학파, 자본주의 붕괴를 막은 케인스학파, 케인스학파를 무너뜨린 시카고학파, 주류경제학으로 제도를 새롭게 해석한 신제도학파, 이기적 공직자를 전제로 한 공공선택학파, 혁신 없이는 자본주의가 소멸된다는 슘페터학파, 심리학과 경제학의 유쾌한 만남 행동경제학파, 현대 마케팅학을 정립한 코틀러학파를 소개한다.

마지막 4부 동시대 21세기에서는 살아있는 경제학자들이 갈망하는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한국은 선진국인가, 향후 등장할 학파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민주(지은이)

“사상이란 많은 아이디어들의 도도한 흐름이다. 어떤 아이디어는 생겼다 활짝 피기도 전에 이내 사라지기도 하고 다른 아이디어는 세상을 풍미하고서 용케도 아직까지 살아남아 있다. 이 책에 담긴 경제사상 강의에서는 생명력이 끈질긴 경제학 아이디어들을 소개한다. 모두 22개로 집약했다.” - 저자 김민주 저자 김민주는 경제사, 경제법칙, 경영이론을 비롯해 그동안 경제경영의 여러 분야를 섭렵해 오고 있다. “예전부터 경제사상 책을 쓰고 싶었다”고 고백하는 그는 지금까지 쌓아온 경제사상의 모든 지식을 이 책에 총정리해 담았다. 서울대학교와 시카고대학교에서 경제학문을, 한국은행과 SK그룹에서 경제현장을 배웠고, 리드앤리더와 컬쳐클럽 대표로서 많은 매체에 글을 기고하며 책을 다수 냈다. 《김민주의 트렌드로 읽는 세계사》, 《경제 법칙 101》, 《자본주의 이야기》, 《나는 도서관에서 교양을 읽는다》를 썼고, 《성장의 문화》, 《노벨 경제학 강의》, 《지식경제학 미스터리》를 옮겼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프롤로그 저자의 말ㆍ004
1강 경제학파로 보는 경제사상 개요 ㆍ016

[1부] 근세 18세기
2강 절대국가 시대 부국강병을 위한 중상학파 ㆍ034
3강 특혜, 규제 일색의 중상주의에 반기를 든 자유방임학파 ㆍ066
4강 프랑스에 이어 계몽운동을 꽃피운 스코틀랜드학파 ㆍ094
5강 목가적 공동체만을 꿈꾸지 않았던 유토피아학파 ㆍ122

[2부] 근대 19세기
6강 경제 현상을 이론으로 만들기 시작한 고전학파 ㆍ150
7강 독일이 야심차게 주도한 역사학파 ㆍ174
8강 개인 쾌락과 다수 행복을 중시한 공리학파 ㆍ214
9강 자본주의 국가에 결정타를 먹인 마르크스학파 ㆍ238
10강 주류경제학의 기원 신고전학파 ㆍ252
11강 무정부주의와 동의어가 아닌 아나키즘학파 ㆍ280
12강 점진적 사회주의를 정착시킨 페이비언학파 ㆍ306
13강 토지를 경제 왜곡의 근원으로 본 조지학파 ㆍ332
14강 극단적 자유주의를 외친 오스트리아학파 ㆍ342

[3부] 현대 20세기
15강 미국 자본주의 사회를 신랄하게 비판한 제도학파 ㆍ372
16강 거시경제학의 선구자, 스톡홀름학파 ㆍ400
17강 자본주의 붕괴를 막은 케인스학파 ㆍ432
18강 케인스학파를 무너뜨린 시카고학파 ㆍ460
19강 주류경제학으로 제도를 새롭게 해석한 신제도학파 ㆍ486
20강 이기적 공직자를 전제로 한 공공선택학파 ㆍ510
21강 혁신 없이는 자본주의가 소멸된다는 슘페터학파 ㆍ532
22강 심리학과 경제학의 유쾌한 만남, 행동경제학파 ㆍ560
23강 현대 마케팅학을 정립한 코틀러학파 ㆍ588

[4부] 동시대 21세기
24강 살아있는 경제학자들이 갈망하는 노벨경제학상 ㆍ608
25강 한국은 과연 진정한 선진국인가? ㆍ632

에필로그 ㆍ 666

부록
연도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ㆍ674
학파별 주요 경제학자 ㆍ682
참고문헌 ㆍ695

관련분야 신착자료

한국. 국회. 예산정책처. 경제분석국. 산업자원분석과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