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2788 | |
005 | 20230303101008 | |
007 | ta | |
008 | 230302s2023 ggkad b 000a kor | |
020 | ▼a 9791157785858 ▼g 0332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658.408 ▼2 23 |
085 | ▼a 658.408 ▼2 DDCK | |
090 | ▼a 658.408 ▼b 2023z1 | |
100 | 1 | ▼a 김현식 |
245 | 1 0 | ▼a 직원 중심의 ESG 경영 / ▼d 김현식 지음 |
260 | ▼a 고양 : ▼b 맑은샘, ▼c 2023 | |
300 | ▼a 207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500 | ▼a PSC 문화 ; Sustainable People, Sustainable Company | |
504 | ▼a 참고문헌: p. 206-207 |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58.408 2023z1 | Accession No. 111877295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6-12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기업의 당면과제인 기후변화 대응뿐 아니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기대를 충족하는 과정에서 ‘직원’의 중요성에 주목하면서 기업이 ESG경영 관점에서 직원 만족을 실현하고 미래의 ESG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5가지의 단계별 실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직원과 노동조합 그리고 기업의 공통분모로서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에 주목하기를 제안하고 있다.
지난 2020년 이후 한국 기업의 경영 과정에서 ‘ESG경영’은 이제 일반명사가 되었다고 할 만큼 그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동시에, 환경・사회・지배구조 영역에서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이해관계자들의 기대를 충족시키는 경영 활동인 ESG경영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전세계적인 이슈인 ‘기후변화 대응’을 중심으로 한 환경 영역이 가장 주목 받는 것 또한 지금의 현실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기업의 당면과제인 기후변화 대응뿐 아니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기대를 충족하는 과정에서 ‘직원’의 중요성에 주목하면서 기업이 ESG경영 관점에서 직원 만족을 실현하고 미래의 ESG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5가지의 단계별 실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직원과 노동조합 그리고 기업의 공통분모로서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에 주목하기를 제안하고 있다. 기업이 지속 가능하게 성장 발전하기 위하여 도입하고 실행하는 경영 활동이 ESG경영이듯이, 직원들의 지속 가능한 행복을 지원하는 기업의 차별화된 HR활동과 노동조합의 지속적인 성장 발전을 위한 노사ESG 활동 등을 제시한다.
또한, ESG경영이 무엇이고 기업은 무엇을 챙겨야 하는지를 설명하는 관점이 아니라, 기업이 ESG경영을 강력하게 실천하기 위해서 내부 조직과 직원들의 참여를 어떻게 이끌어 낼 것인가에 대한 변화관리(Change Management) 방법론을 저자의 풍부한 현장 경험과 다양한 기업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제시하고 있어서 ESG경영의 효과적인 도입과 실행력 제고를 고민하는 기업 담당자들에게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가이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공급망 ESG’ 시대가 시작되면서 기업 생태계도 빠르게 변하고 있다. 국내 및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다양한 ESG 관리 항목에 대응해야 할 기업들에게 지금 필요한 건 선택과 집중. 저자는 ESG 경영을 외부에 대응하는 목표가 아닌, 기업의 미래가치 창출 및 성장의 수단으로 접근하여 “직원 중심의 ESG 경영 - SPSC 문화(Sustainable People, Sustainable Company)”라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우리 직원들이 원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만족시키고, 그 만족감과 주인의식을 기반으로 회사가 목표로 하는 ESG 경영을 주도적으로 실천하도록 만드는 것”
저자는 다양한 관리 항목의 의도를 살피는 동시에 직원이 ESG 경영 실행의 주체임을 명시하고, 이 한 문장을 어떻게 현실화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 또한, ESG 경영과 관련된 국내외 동향과 지침별 특성 분석, 참고할 만한 여러 기업 사례, 저자가 대기업에서 HR(인적 자원 관리)과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분야 담당자로 일했던 경험, 퇴직 후 경영지도사로서 여러 기업에서 컨설팅한 이야기 등은 가장 효율적인 참고서가 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김현식(지은이)
20년 넘게 국내 대기업에 재직하면서 HR(인적 자원 관리)과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분야의 업무 경험을 쌓은 후 지난 2020년 초에 퇴직하여 2nd Career를 즐기고 있다. ‘꿀벌’과 같이 이해관계자들에게 가치를 제공하고 미래 경쟁력을 갖춘 조직을 운영하는 많은 한국 기업들이 나오기를 소망하면서, 대기업에서 배우고 경험한 것들을 기업들과 나누면서 한국 기업의 ESG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2015년에 「우리회사는 왜 안 될까? - CSR 잘하는 회사 만들기」, 2019년에 」「행복한 꼰대」라는 책을 출간하였다.

Table of Contents
서문_코로나 벤치로부터의 교훈 제1장 ESG 경영 시대 1 ESG 경영의 ‘개념’ 2 ESG 경영의 ‘목적’ 3 ESG 경영의 ‘동인’ 4 ESG 경영의 ‘영역’ 5 ESG 경영의 ‘의미’ 제2장 직원 존중 경영 1 현장에서 만난 사람들 2 인사가 만사 3 주인의식 제3장 SPSC 문화 1 ESG 경영의 성공 요인 2 직원의 의미 3 기업과 직원의 Win-win 제4장 SPSC 방법론 1 ESG 변화관리 2 인권경영 3 ESG 지표관리 4 생애관리 경험 5 노사 ESG 마무리_꿀벌과 같은 한국 기업을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