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사가 혁신을 주도하게 하라! : 4차 산업혁명 시대, 공교육으로 충분한 교육 혁신의 길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오옥태, 吳沃泰
서명 / 저자사항
교사가 혁신을 주도하게 하라! : 4차 산업혁명 시대, 공교육으로 충분한 교육 혁신의 길 / 오옥태
발행사항
서울 :   동아일보교육법인,   2023  
형태사항
245 p. ; 22 cm
ISBN
9788998814304
일반주기
부록: 1. 싱가포르 방문기, 2. 협회 디지털교과서 활용 미래교육 시범사업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2786
005 20230303100923
007 ta
008 230302s2023 ulk 000a kor
020 ▼a 9788998814304 ▼g 0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9.519 ▼2 23
085 ▼a 379.53 ▼2 DDCK
090 ▼a 379.53 ▼b 2023
100 1 ▼a 오옥태, ▼g 吳沃泰
245 1 0 ▼a 교사가 혁신을 주도하게 하라! : ▼b 4차 산업혁명 시대, 공교육으로 충분한 교육 혁신의 길 / ▼d 오옥태
260 ▼a 서울 : ▼b 동아일보교육법인, ▼c 2023
300 ▼a 245 p. ; ▼c 22 cm
500 ▼a 부록: 1. 싱가포르 방문기, 2. 협회 디지털교과서 활용 미래교육 시범사업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9.53 2023 등록번호 11187729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대한민국의 왜곡된 공교육을 날카롭게 관철하고 제자리걸음 하는 교육에 대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국가별 교육 혁신과 새로운 교육 방법을 도입한 학교들을 면밀하게 관찰하고 연구했다. 이 사례와 연구를 바탕으로 파편화되고 일관성 없는 공교육에서 벗어나 소외된 학생까지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교수법과 행정적 변화 지점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아이들을 이끌어갈 교육 방법은 암기보다는 해결 방식 자체를 찾는 미래 역량, 화려한 교수법보다는 학생이 중심이 되는 자기주도교육, 듣기만을 강요하기보다는 활동 중심의 교육이다. 일방적인 강의형 수업 대신 학생들이 수업 전 학습한 것을 조별 수업에서 설명하고 토론하는 수업 모형을 대체안으로 제시한다.

저자는 대한민국의 왜곡된 공교육을 날카롭게 관철하고 제자리걸음 하는 교육에 대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국가별 교육 혁신과 새로운 교육 방법을 도입한 학교들을 면밀하게 관찰하고 연구했다. 이 사례와 연구를 바탕으로 파편화되고 일관성 없는 공교육에서 벗어나 소외된 학생까지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교수법과 행정적 변화 지점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저자는 현재 교육을 보며 교실에서 수업하는 교사가 아닌 비전문가 주도하고, 실제 도입보다는 행정적으로 처리되며 한 교육 방침이 5년을 넘지 못한다며 지적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아이들을 이끌어갈 교육 방법은 암기보다는 해결 방식 자체를 찾는 미래 역량, 화려한 교수법보다는 학생이 중심이 되는 자기주도교육, 듣기만을 강요하기보다는 활동 중심의 교육이다. 일방적인 강의형 수업 대신 학생들이 수업 전 학습한 것을 조별 수업에서 설명하고 토론하는 수업 모형을 대체안으로 제시한다.

또한 행정적으로도 더 발전된 교육을 위해 일관성 있는 교육 정책을 강조하고, 교사들에게 쏟아지는 행정 업무를 줄이고, 새로운 교수법에 대한 연수를 늘려 교육 혁신을 접근하기 쉽게 해야 한다며 거듭 강조한다. 이러한 방안을 <디지털교과서 기반 미래교육>, <미네르바 스쿨 혁신>, <싱가포르 교육 혁신>, <실제 A중학교 사례>와 같은 성공적인 실제 사례를 통해 상세하게 보여준다.

[책 구성]

1부: 필요성

- 공교육 현 상황 분석(정체성 상실, 비전문성, Tech Push, 행정주도, 파편화, 정책 관리 부재, 갈라파고스 현실, 비전을 잃은 교사 현실)
- 공교육 혁신을 위해 필요한 국가적 컨센서스 조성, 사회 및 가정교육 강조
- 7080세대의 책임감. 부채의식

2부: 혁신 내용

- 지식 진달 교육을 사고력에 기반한 미래역량 중심으로 전환(탐구하는 수업, 일부 학생중심의 교육에서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 문제해결력 함양)
- 디지털교과서

3부: 교육혁신 추진 방안

-교육의 본질 회복, 교육적 가치 우선, 페다고지 기반, 컨센서스, 교육혁신 거버넌스 재정비, 혁신을 실행하는 연수 체제 확립
-협회 시범사업, 미네르바 스쿨 및 싱가포르 교육혁신 시사점
(교사 주도 혁신, 페다고지 중요성, 세부 가이드라인, 구체적인 목표 설정, 국가적 지원)

4부: 교육혁신 성과

호기심 자극으로 자기주도학습, 토론과 소통으로 열린 학습 환경

부록 1: 싱가포르 교육혁신 시사점

페다고지 기반으로 교사중심의 일관성 있는 혁신, 거버넌스 구성 및 운영, 우리나라 교육 혁신 가능성 확인

부록2: 협회 시범사업 세부 내역

- 수업 모형: 전시학습 복습, 동기 유발, 수업 목표, 활동, 정리, 평가, 차시학습 예고.
- 학생중심 활동수업 상세: 모둠 활동을 통해 학생끼리 설명하고 토론, 교사는 학생들이 서로 설명하는 과정에서 잘못 이해하지 않도록 가이드 역할.
- 페다고지 중요성, 백가쟁명식이 아닌 모든 학생을 위한 수업 기반
- 수업 진행 상세: 교실 구성, 예습 중요성, 깊은 이해를 위한 수업 기술.
- 활동지: 학생의 학습 이력서. 자기 생각 만들기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오옥태(지은이)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 컴퓨터공학을 졸업했지만 교육과 학교에 대한 소중함을 잊지 않고 살았다. 교육부 교육혁신 자문위원으로 시작해 교육과학기술부 스마트교육자문위원, 디지털교과서 TF위원,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정보화 정책포럼 위원, 2014 평창동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기술분과 드림팀 위원을 거쳐 현재는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 후 교사 연수 사업과 디지털교육 연수 및 컨설팅에 앞장서고 있다. ◇경력 사항 교육부 교육혁신 자문위원 (2018) 교육과학기술부 스마트교육자문위원, 디지털교과서 TF위원(2011)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정보화 정책포럼 위원 (2007) 정통부 산하 u-work 포럼 운영위원장 (2006 ~ 2007) 2014 평창동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기술분과 드림팀 위원(2006~2007) 영화진흥위원회 매체융합대책 소위원회 위원 (2005) 영화진흥위원회 디지털시네마 추진위원회 위원 (2006) 미국 UCSC Visiting Scholar (2004)

정보제공 : Aladin

목차

프롤로그 21세기 국가 전력은 교육 혁신으로 시작되어야 한다.
1부
왜 교육 혁신인가?

1. 누구를 위한 공교육인가?
2. 비전문가가 주도하는 정책
3. 기술주도 정책 (Technology push形)
4. 행정주도 정책
5. 파편화된 정책
6. 관리 부재 정책
7. 공교육의 높은 장벽① : 갈라파고스 공교육 시장
8. 공교육의 높은 장벽② : 비합리적 의사결정 시스템
9. 교직과 학교 현실
10. 학부모의 교육관여
11.7080세대 부채의식

무엇이 교육 혁신인가?

1. 패러다임 전환1 (미래역량 중심)
2. 패러다임 전환2 (학생중심)
3.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
4. 문제 해결 교육
5.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의 정책적 의미
3부
어떻게 교육 혁신을 해야하는가?

1. 교육 혁신 추진전략
2. 협회 미래교육 사례 : 디지털교과서 기반 미래교육
3. 미네르바 스쿨 혁신 사례 : 교육적 가치를 우선한 교육 혁신
4. 싱가프로 교육 혁신 사례 : 국가 혁신의 Game Changer
5. 교사가 하는 교육 혁신
6. 가정은 미래교육 현장이다.
7. 정책에 대한 현장의 요구
8. 교육 혁신은 학교 혁신으로 나타나야 한다.
9. A중학교 사례
10. 디지털 전환시대의 절박한 과제
4부
교육 혁신 성과

1. 호기심이 만드는 학습
2. 토론과 소통으로 열린 학습
3. 복지의 본질, 교육
4. 교육 선진국 대한민국

마치면서 교사(敎師)가 교육 혁신을 하게 하라!

[부록 1]

싱가포르 방문기
1. 일관성 있는 교육정책
2. 교육 혁신 엔진, 페다고지(Pedagogy)
3. 교육 혁신 주도자, 교사
4. 교육 혁신 거버넌스
5. 싱가포르 교육 혁신 시사점과 가능성

[부록 2]

협회 디지털교과서 활용 미래교육 시범사업
1. 협회 시범사업의 성공요인
2. 수업 모형
3. 학생중심 수업
4. 활동중심 수업
5. 21세기 페다고지
6. Pedagogical Practices 1 : 수업 구조
7. Pedagogical Practices 2 : 수업 기술
8. 활동지, 자기주도 학습 도구

에필로그 내일을 위한 발제, 교육 혁신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