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2671 | |
005 | 20230227143650 | |
007 | ta | |
008 | 230227s2022 ggk b 000c kor | |
020 | ▼a 9791158488284 ▼g 93710 | |
035 | ▼a (KERIS)BIB000016593186 | |
040 | ▼a 211029 ▼c 211029 ▼d 211009 | |
082 | 0 4 | ▼a 495.77 ▼2 23 |
085 | ▼a 497.703 ▼2 DDCK | |
090 | ▼a 497.703 ▼b 2022 | |
100 | 1 | ▼a 송민, ▼g 宋敏, ▼d 1937- ▼0 AUTH(211009)120554 |
245 | 1 0 | ▼a 근대국어 연구 / ▼d 송민 지음 |
260 | ▼a 하남 : ▼b 박이정, ▼c 2022 | |
300 | ▼a 415 p. ; ▼c 27 cm | |
490 | 1 0 | ▼a 송민 논고집 ; ▼v 1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830 | 0 | ▼a 송민 논고집 ; ▼v 1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97.703 2022 | Accession No. 11187714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근대국어의 음운사와 개화기의 어휘사를 새로운 관점에서 이모저모로 검토해 온 저자의 노력이 담겨있다. 이에 따라 근대국어 음운사로서는 일본문자 전사자료를 통하여 국어문헌에 잘 드러나지 않는 음운론적 성격을 해명하고자 하였으며, 개화기의 어휘사로서는 문헌이나 대역(對譯)자료에 반영되어 있는 어휘를 분석함으로써 국어에 끼친 일본어의 영향이 어떤 성격의 것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 책에는 근대국어의 음운사와 개화기의 어휘사를 새로운 관점에서 이모저모로 검토해 온 저자의 노력이 담겨있다. 이에 따라 근대국어 음운사로서는 일본문자 전사자료를 통하여 국어문헌에 잘 드러나지 않는 음운론적 성격을 해명하고자 하였으며, 개화기의 어휘사로서는 문헌이나 대역(對譯)자료에 반영되어 있는 어휘를 분석함으로써 국어에 끼친 일본어의 영향이 어떤 성격의 것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제1부 근대국어 음운사 논고와 제2부 개화기 어휘사 논고가 포함되어 있다. 먼저 제1부에서 저자는 근대국어의 음운사 중에서도 ‘ㆍ’의 비음운화와 ‘ㄷ’의 구개음화에 대하여 집중적인 관심을 기울인 바 있다. 제2부에는 구한말에서 개화기에 걸치는 기간의 국어어휘사 논고가 정리되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송민(지은이)
1937년, 전라북도 익산시 출생. 성장, 滿洲國 牧丹江省 寧安縣 鹿道村. 학력, 1963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1985년 동대학원 문학박사. 전문은 국어와 일본어의 음운사 및 어휘사. 경력, 성심여자대학(현 가톨릭대학교) 교수. 東京大學 文學部 外國人硏究員. 東京言語硏究所 硏究員. 국민대학교 문과대학 교수. 한국일본학회 회장. 국어심의회 위원(언어순화분과 위원장). 국민대학교 문과대학장. 국립국어연구원 원장. 국어학회장. 國際日本文化硏究센터 客員敎授. 국민대학교 대학원장. 延邊大學校朝鮮-韓國學學院 講義派遣敎授. 현재, 국민대학교 명예교수. 사단법인 한국어문회 이사. 재단법인 일석학술재단 이사. 저서, 『日本語의 構造』, 『前期近代國語 音韻論 硏究』, 『韓國語と日本語のあいだ』 『근대국어 연구』 외에 한・일양국어의 계통 및 관계사 분야와 국어음운사, 국어어휘사 분야의 공저와 논문 다수. 수상, 동숭학술연구상. 홍조근정훈장. 일석국어학상. 옥관문화훈장.

Table of Contents
제1부 근대국어 음운사 논고 近代國語의 音韻論的 認識 近代國語音韻論의 諸問題 모음 ‘ㆍ’의 非音韻化 시기 근대한국어의 發話現實 數三 近代國語 音韻史와 ‘가나’ 表記 資料 『韓佛字典』의 長音 表記 국어사의 시대구분-음운사 방면 제2부 개화기 어휘사 논고 開化期 新文明語彙의 成立過程 開化期의 語彙改新에 대하여 開化期 國語에 나타나는 新文明語彙 개화기 신생한자어의 系譜 開化 初期의 新生漢字語 受容 開化期의 新生語 硏究 - 『獨習日語正則』 에 반영된 國語單語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