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2654 | |
005 | 20230227170039 | |
007 | ta | |
008 | 230227s2022 ulkd b 000a kor | |
020 | ▼a 9788957116661 ▼g 930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070.40681 ▼2 23 |
085 | ▼a 070.40681 ▼2 DDCK | |
090 | ▼a 070.40681 ▼b 2022 | |
100 | 1 | ▼a 김선호 |
245 | 1 0 | ▼a 미디어 바우처를 통한 언론 후원 제도 / ▼d 김선호, ▼e 김찬중, ▼e 김위근 |
260 | ▼a 서울 : ▼b 한국언론진흥재단, ▼c 2022 | |
300 | ▼a 159 p. : ▼b 도표 ; ▼c 23 cm | |
490 | 1 0 | ▼a 연구서 ; ▼v 2022-09 |
504 | ▼a 참고문헌: p. 158-159 | |
536 | ▼a 이 보고서는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음 | |
700 | 1 | ▼a 김찬중, ▼e 저 |
700 | 1 | ▼a 김위근, ▼e 저 |
830 | 0 | ▼a 연구서 (한국언론진흥재단) ; ▼v 2022-09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70.40681 2022 | Accession No. 111877127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6-29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디지털 기술 환경에서 저널리즘은 황폐화 과정이 진행되고 있다. 피상적인 뉴스 소비 경향이 강해지고 저널리즘 품질과 신뢰도가 하락하는 가운데 언론사는 산업조직으로서 존립의 위기를 겪고 있다. 미디어 바우처 후원 제도는 이러한 저널리즘 황폐화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제안되었다. 디지털 환경에서 저널리즘 황폐화를 구체적으로 진단하고, 미디어 바우처 후원 제도 관련 다양한 논의를 소개하는 연구서다.
디지털 기술 환경에서 저널리즘은 황폐화 과정이 진행되고 있다. 피상적인 뉴스 소비 경향이 강해지고 저널리즘 품질과 신뢰도가 하락하는 가운데 언론사는 산업조직으로서 존립의 위기를 겪고 있다. 미디어 바우처 후원 제도는 이러한 저널리즘 황폐화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제안되었다. 미디어 바우처 후원 제도가 저널리즘 황폐화를 막을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실마리는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서는 디지털 환경에서 저널리즘 황폐화를 구체적으로 진단하고, 미디어 바우처 후원 제도 관련 다양한 논의를 소개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김선호(지은이)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책임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며,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겸임교수와 한국언론학회 총무이사로 활동 중이다. 고려대 신문방송학과에서 학사,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아넨버그 스쿨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옥스퍼드대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의 <디지털뉴스리포트>의 한국 편 책임연구를 담당했고, 고품질 저널리즘 생산을 촉진하는 방안으로 미디어 바우처 제도를 제안했다. 2014년 우당신진학자 논문상과 2019년 갤럽학술상을 수상한 바 있다. 남북 관련해서 2019년 <중장기적 관점에서 남북 미디어 교류협력 방안> 연구보고서의 책임연구를 맡았다.

Table of Contents
01. 서론 1. 미디어 바우처 제안에 주목하는 이유 2. 연구 데이터에 대한 설명 02. 디지털 기술과 저널리즘 생태계 구조 변동 1. 디지털 인터페이스 중심의 뉴스 소비 구조 2. 플랫폼 중심 뉴스 소비 구조 3. 소결론 03. 디지털 환경에서 뉴스 소비 행태 1. 디지털 뉴스 소비 환경의 특징 2. 디지털 환경에서 뉴스 소비 행태 3. 소결론 04. 디지털 환경에서 저널리즘 품질 1. 디지털 환경에서 언론 신뢰도 하락 문제 2. 언론에 대한 이용자 평가 3. 소결론 05. 디지털 환경에서 저널리즘 수익 구조 1. 광고 기반 언론사 수익 모델의 위기 2. 디지털 유료 구독과 독자 후원 모델 3. 소결론 06. 미디어 바우처를 통한 언론 후원 제도 1. 언론에 대한 관심과 기대 2. 디지털 환경에서 미디어 바우처 후원 제도 3. 미디어 바우처 후원 제도 관련 조사 결과 4. 소결론 07. 결론에 대신하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