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자유를 위한 문화행동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Freire, Paulo, 1921-1997 허준, 역
서명 / 저자사항
자유를 위한 문화행동 / 파울로 프레이리 지음 ; 허준 옮김
발행사항
경산 :   영남대학교출판부,   2022  
형태사항
142 p. ; 20 cm
원표제
Cultural action for freedom (2000 ed.)
ISBN
9788975818578
일반주기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Education --Developing countries Literacy --Social aspects --Developing countries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2520
005 20230227095359
007 ta
008 230224s2022 gbk SG 001c kor
020 ▼a 9788975818578 ▼g 93370
035 ▼a (KERIS)BIB000016600226
040 ▼a 211032 ▼c 211032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70.91724 ▼2 23
085 ▼a 370.91724 ▼2 DDCK
090 ▼a 370.91724 ▼b 2022
100 1 ▼a Freire, Paulo, ▼d 1921-1997 ▼0 AUTH(211009)41557
245 1 0 ▼a 자유를 위한 문화행동 / ▼d 파울로 프레이리 지음 ; ▼e 허준 옮김
246 1 9 ▼a Cultural action for freedom ▼g (2000 ed.)
260 ▼a 경산 : ▼b 영남대학교출판부, ▼c 2022
300 ▼a 142 p. ; ▼c 20 cm
500 ▼a 색인수록
650 0 ▼a Education ▼z Developing countries
650 0 ▼a Literacy ▼x Social aspects ▼z Developing countries
700 1 ▼a 허준, ▼e
900 1 0 ▼a 프레이리, 파울로,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91724 2022 등록번호 111877155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8-28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파울로 프레이리의 초기 사상에 담긴 핵심 이론과 개념, 학문적 기반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길잡이가 된다. 그는 문해 과정을 문화 행동으로 보고 접근하였으며 이런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집단 성장의 과정을 의식화 개념으로 다루고 있다. 성인 교육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평생교육뿐만 아니라, 최근 미디어, 미술, 정치, 국어교육, 다문화교육 등 여러 영역에서 중요한 이슈인 리터러시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파울로 프레이리 사상에 담긴 핵심 이론과 개념, 학문적 기반을 이해하는 길잡이
파울로 프레이리는‘페다고지’저자로 잘 알려진 브라질 출신의 세계적인 학자이다. 1970년대 브라질과 칠레에서의 성인 문해 운동의 경험을 바탕으로‘억눌린자를 위한 페다고지’를 저술하였고, 이후 군사 정부에 의해 추방되어 미국과 유럽 아프리카 등에서 연구와 교육 활동을 펼쳤다. 교육학에서는 비판적 교육학의 핵심 학자로서 오늘날 교육학 전 분야에서 새롭게 탐구될 만큼 이론적, 실천적으로 깊은 영향을 주었다. 이 책은 파울로 프레이리의 핵심 사상을 압축한 두 편의 논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의 초기 사상에 담긴 핵심 이론과 개념, 학문적 기반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길잡이가 된다. 그는 문해 과정을 문화 행동으로 보고 접근하였으며 이런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집단 성장의 과정을 의식화 개념으로 다루고 있다. 성인 교육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평생교육뿐만 아니라, 최근 미디어, 미술, 정치, 국어교육, 다문화교육 등 여러 영역에서 중요한 이슈인 리터러시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개인과 학교 중심의 교육관을 넘어 교육실천의 장으로서 ‘세계’와 ‘인간’에 대한 탐색
1장 <자유를 위한 문화행동으로서 성인문해과정>에서는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실천의 의미를 살펴보고 있다. 개인 중심, 학교 중심의 교육관을 넘어 교육실천의 장으로서‘세계’와 ‘인간’에 대한 탐색과 함께 프레이리의 핵심 개념인 프락시스(praxis)의 문제가 다뤄지고 있다. 글을 읽고 쓰는 행위로서 문해과정은 부족함을 메우는 영양학적 접근이 아닌 학습자의 주체적 행위이자 창조적 실천으로서 앎의 과정으로 본다는, 파울로 프레이리 문해 이론의 가장 핵심적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구체적인 실천 사례를 통해 문해과정이 앎의 과정으로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지 서술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인식론적, 존재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실존주의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의식화’의 개념과 의식화의 교육적 실천양상을 단계적으로 설명
2장 <문화행동과 의식화>에서는 파울로 프레이리 실존주의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의식화’의 개념과 의식화의 교육적 실천양상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의식화 개념은 1980년대 우리나라 사회운동 진영에서도 중요한 실천 용어로 회자될 만큼 큰 영향을 미쳤고 또한 그 의미가 변용되기도 하였다. 이 장에서는 세계 안에서 세계와 함께 하는 존재로서 교육학적 관점으로 바라본 프레이리 의식화론이 지닌 의미를 만날 수 있다. 또한 개인주의적 한계를 넘어 사회문화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의식화 이론의 인식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문해과정의 확장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문해실천은 기초교육의 넘어 전생애와 생애 전반을 아우르는 고유 영역으로서의 지위를 확보하게 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파울루 프레이리(지은이)

브라질을 대표하는 교육사상가이자 진보적 학자로, 민중교육의 고전으로 평가받는 『억압받는 이들과 페다고지(Pedagogy of The Oppressed)』의 저자로 유명하다. 브라질 북동부의 빈민지역인 헤시피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민중의 어려운 삶과 고통, 억압받는 현실을 목도하였고 그로부터의 해방을 꿈꾸었다. 1959년 논문 「브라질의 현실과 교육」으로 헤시피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1964년에 군부 쿠데타가 일어나기 전까지 브라질 민중의 문해교육에 힘썼다. 군사정권하에서는 반체제 인사라는 이유로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석방 이후 1979년까지 망명생활을 하며 전 세계 민중의 문해교육 운동을 이끌었고 각종 교육 프로그램에 동참했으며 세계 28개 대학에서 명예교수를 지냈다. 브라질 귀국 이후에는 노동자당(PT) 결성에 참여했으며 루이자 에룬지나(Luiza Erundina)가 이끈 상파울루시 노동자당 행정부에서 교육사무국장으로 시의 교육개혁을 이끌었다. 1997년 치명적인 심장 발작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교육사상은 『억압받는 이들과 페다고지』 이외에도 『교육과 의식화』, 『우리가 걸어가면 길이 됩니다』, 『프레이리의 교사론』, 『망고나무 그늘 아래서』, 『자유의 교육학』 등 20여 권의 저서에 담겨 있다.

허준(옮긴이)

영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교육학과에서 평생교육을 전공하여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문해교육, 공동체학습, 사회운동, 시민교육 등이다. 지은 책으로는 『위기, 변화 그리고 공동체학습』, 『평생교육경영론』(공저)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문해교육: 파울로 프레이리의 글읽기와 세계읽기』, 『페페의 희망교육』(공역), 『우리가 걸어가면 길이 됩니다』(공역), 『연대의 페다고지』(공역), 『문해, 믿음과 편견 그리고 실천』(공역)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편집자의 말
마르타 솔러-갈라트 Marta Soler-Gallart
바바라 엠 브릭시웨아 Bárbara M. Brixuea

저자의 말
파울로 프레이리 Paulo Freire

자유를 위한 문화행동으로서의 성인 문해과정
문화행동과 의식화

관련분야 신착자료

日本. 文部科学省 (2022)
남강서원 (2022)
Illich, Ivan D.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