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2273 | |
005 | 20230222171929 | |
007 | ta | |
008 | 230222s2022 ulka b 000c kor | |
020 | ▼a 9791159172151 ▼g 94370 | |
035 | ▼a (KERIS)BIB000016360323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82 | 0 4 | ▼a 371.3209519 ▼2 23 |
085 | ▼a 371.320953 ▼2 DDCK | |
090 | ▼a 371.320953 ▼b 2022z1 ▼c 10 | |
110 | ▼a 성신여자대학교. ▼b 인문융합연구소 | |
245 | 1 0 | ▼a 근대 한국학 교과서 해제 / ▼d 성신여대 인문융합연구소 편 |
260 | ▼a 서울 : ▼b 제이앤씨, ▼c 2022 | |
300 | ▼a 606 p. : ▼b 삽화 ; ▼c 27 cm | |
490 | 1 0 | ▼a 근대 한국학 교과서 총서 ; ▼v [10] |
500 | ▼a 필진: 강진호, 강혜선, 권오현, 김기성, 김민재, 김일환, 김헌주, 김혜련, 문혜윤, 박수빈, 박부자, 송숙정, 신은정, 심정보, 유임하, 이자원, 이정찬, 정슬아, 조윤정, 최승현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700 | 1 | ▼a 강진호, ▼g 姜珍浩, ▼d 1963-, ▼e 저 ▼0 AUTH(211009)90519 |
700 | 1 | ▼a 강혜선, ▼g 姜慧仙, ▼d 1965-, ▼e 저 |
700 | 1 | ▼a 권오현, ▼g 權五鉉, ▼d 1963-, ▼e 저 |
700 | 1 | ▼a 김기성, ▼e 저 |
700 | 1 | ▼a 김민재, ▼g 金珉在, ▼d 1979-, ▼e 저 |
700 | 1 | ▼a 김일환, ▼g 金日煥, ▼d 1971-, ▼e 저 |
700 | 1 | ▼a 김헌주, ▼e 저 |
700 | 1 | ▼a 김혜련, ▼g 金惠連, ▼d 1968-, ▼e 저 |
700 | 1 | ▼a 문혜윤, ▼g 文惠允, ▼d 1973-, ▼e 저 |
700 | 1 | ▼a 박수빈, ▼e 저 |
700 | 1 | ▼a 박부자, ▼g 朴富子, ▼d 1975-, ▼e 저 |
700 | 1 | ▼a 송숙정, ▼g 宋淑正, ▼d 1973-, ▼e 저 |
700 | 1 | ▼a 신은정, ▼g 申恩淨, ▼d 1973-, ▼e 저 |
700 | 1 | ▼a 심정보, ▼g 沈正輔, ▼d 1969-, ▼e 저 |
700 | 1 | ▼a 유임하, ▼g 柳壬夏, ▼d 1962-, ▼e 저 |
700 | 1 | ▼a 이자원, ▼g 李紫苑, ▼d 1965-, ▼e 저 |
700 | 1 | ▼a 이정찬, ▼g 李正贊, ▼d 1977-, ▼e 저 |
700 | 1 | ▼a 정슬아, ▼g 鄭슬아, ▼d 1983-, ▼e 저 |
700 | 1 | ▼a 조윤정, ▼e 저 |
700 | 1 | ▼a 최승현, ▼g 崔承賢, ▼d 1977-, ▼e 저 |
830 | 0 | ▼a 근대 한국학 교과서 총서 ; ▼v [10] |
910 | 0 | ▼a 성신여대. ▼b 인문융합연구소, ▼e 편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1.320953 2022z1 10 | Accession No. 11187699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근대 교과서는 당대 사회의 복잡한 사회.역사.정치.문화의 상황과 조건들의 필요에서 나온 시대의 산물이다. 한국 근대사는 반봉건과 반외세 투쟁 속에서 자주적인 변혁을 이루어야 했던 시기였고, 특히 1860년대부터 1910년에 이르는 시간은 반봉건.반외세 투쟁을 전개하면서 근대적 주체를 형성해야 했던 때였다. 주체의 형성은 근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였는 바, 그 역할의 한 축을 담당한 것이 근대 교육이다. 근대 교과서를 국어과, 수신과, 역사과, 지리과로 나누어 총 54종 133권을 수록하였다.
근대 교과서는 당대 사회의 복잡한 사회・역사・정치・문화의 상황과 조건들의 필요에서 나온 시대의 산물이다. 한국 근대사는 반봉건과 반외세 투쟁 속에서 자주적인 변혁을 이루어야 했던 시기였고, 특히 1860년대부터 1910년에 이르는 시간은 반봉건・반외세 투쟁을 전개하면서 근대적 주체를 형성해야 했던 때였다. 주체의 형성은 근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였는 바, 그 역할의 한 축을 담당한 것이 근대 교육이다.
<근대 한국학 교과서 총서>에는 총 54종 133권이 수록되었다. 여기서 교과서를 국어과, 수신과, 역사과, 지리과로 나누어 배치한 것은 다분히 편의적인 것이다. 근대적 의미의 교과(敎科)가 분화되기 이전에 간행된 관계로 개화기 교과서는 통합교과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특히 국어와 수신 교과서는 내용이 중복되어 분간이 어려울 정도이다. 그럼에도 교과를 나눈 것은 다음과 같은 최소 기준에 의한 것이다.
본서의 명칭을 <근대 한국학 교과서>라 칭한 것은 다양한 내용과 형태의 교과서를 묶기에 적합한 말이 ‘한국학(Koreanology)’이라고 생각한 때문이다. 한국학이란 범박하게 한국에 관한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 고유의 것을 연구・계발하는 학문이다. 구체적 대상으로는 언어, 역사, 지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제 분야를 망라하지만, 여기서는 국어, 역사, 지리, 윤리로 교과를 제한하였다. 이들 교과가 근대적 주체(한국적 주체) 형성에 결정적으로 기여하였고, 그것이 이후의 복잡한 사회・역사・정치・문화의 상황과 길항하면서 오늘의 주체를 만들었다고 믿는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1. 개화기 관찬(25종 24편) 1) 국문정리 17 2) 국민소학독본 21 3) 동국역대사략 25 4) 만국약사 28 5) 보통교과동국역사 31 6) 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 국어독본 34 7) 보통학교학도용수신서 40 8) 보통학교학도용일어독본 43 9) 보통학교학도용한문독본 47 10) 사민필지 50 11) 서례수지, 셔례슈지 54 12) 소학독본 57 13) 소학만국지지 61 14) 숙혜기략 65 15) 신정심상소학 68 16) 유몽휘편 72 17) 조선역대사략 75 18) 조선약사십과 78 19) 조선역사 81 20) 조선지지 84 21) 중등만국지지 87 22) 지구약론 91 23) 한국지리교과서 95 24) 한문독본 99 2. 개화기 사찬(69종 67편) 1) 고등소학독본 103 2) 고등소학수신서, 보통교과수신서 107 3) 국어문법 112 4) 국어철자첩경 116 5) 녀?독본 6) 녀자소학수신서 126 7) 노동야학독본 130 8) 대동역사 134 9) 대한문전(최광옥) 137 10) 대한문전(유길준) 141 11) 대한신지지 146 12) 대한지지 150 13) 대한지지교과서 153 14) 동몽수신서 156 15) 동서양역사 160 16) 동양사교과서 164 17) 만국사기 167 18) 만국사기속편 170 19) 몽학필독 174 20) 몽학한문초계 178 21) 문답대한신지지 181 22) 문장지남 185 23) 보통교육국민의범 188 24) 보통교과대동역사략 192 25) 보통교육한문신독본 195 26) 부유독습 198 27) 서양사교과서 203 28) 신정동국역사 206 29) 신정중등만국신지지 209 30) 신정중등만국지지 212 31) 신찬외국지지 215 32) 신찬초등소학 219 33) 신찬초등역사 223 34) 신편대한지리 226 35) 실지응용작문법 229 36) 여재촬요 233 37) 역사집략 237 38) 월남망국사 240 39) 유년필독 243 40) 유년필독석의 246 41) 유학자취 249 42) 윤리학교과서 252 43) 정선만국사 256 44) 중등교과동국사략 259 45) 중등동양사 262 46) 중등만국사 265 47) 중등수신교과서 269 48) 초등국어어전 273 49) 초등대동역사 50) 초등대한역사 280 51) 초등대한지리 283 52) 초등대한지지 286 53) 초등본국약사 290 54) 초등본국역사(유근) 293 55) 초등본국역사(안종화) 296 56) 초등소학(국민교육회) 300 57) 초등소학(보성관) 304 58) 초등소학수신서 308 59) 초등수신 311 60) 초등여학독본 314 61) 초등윤리학교과서, 초등수신교과서 318 62) 초등작문법 323 63) 초목필지 326 64) 초학디지 331 65) 최신고등대한지지 335 66) 최신초등대한지지 338 67) 최신초등소학 341 3. 일제강점기 관찬(49종 49편) 1) 조선어과 (1) 간이학교용초등조선어독본 348 (2) 고등조선어급한문독본 351 (3) 고본고등조선어급한문독본 354 (4) 보통학교고등과조선어독본 357 (5) 보통학교조선어급한문독본 361 (6) 정정보통학교학도용조선어독본 364 (7) 보통학교조선어독본(1923) 367 (8) 보통학교조선어독본(1930) 371 (9) 신편고등조선어급한문독본 375 (10) 여자고등조선어독본 378 (11) 정정보통학교학도용한문독본 383 (12) 조선어독본 387 (13) 중등교육여자조선어독본 391 (14) 중등교육조선어급한문독본 395 (15) 초등조선어독본 398 2) 국어과(일본어과) (1) 간이학교국어독본 404 (2) 고등국어독본 408 (3) 제1기 보통학교국어독본 412 (4) 제2기 보통학교국어독본 (5) 제3기 보통학교국어독본 421 (6) 신편고등국어독본 426 (7) 신편여자고등국어독본 430 (8) 여자고등국어독본 434 (9)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 438 (10) 중등교육국문독본 442 (11) 중등교육여자국문독본 447 (12) 중등국어 실업학교용 451 (13) 중등국어 남자용 454 (14) 제4기 초등국어독본 458 (15) 제5기 초등국어 463 3) 수신과 (1) 고등보통학교수신교과서 470 (2) 고등보통학교수신서 473 (3) 보통학교수신서 476 (4) 보통학교수신서 생도용 480 (5) 보통학교수신서 아동용 484 (6) 여자고등보통학교수신서 489 (7) ヨイコドモ / 초등수신 493 (8) 정정보통학교학도용수신서 497 (9) 중등교육수신서(1935~1939) 500 (10) 중등교육수신서(1940~1943) 503 (11) 중등교육여자수신서 506 (12) 초등수신 510 4) 역사과 (1) 보통학교국사 516 (2) 초등국사(1937~1938) 520 (3) 초등국사(1940~1941) 524 5) 지리과 (1) 보통학교지리보충교재 아동용 530 (2) 심상소학지리서보충교재 아동용 534 (3) 초등지리 538 (4) 초등지리서 542 4. 일제강점기 사찬(13종 13편) 1) 문예독본 549 2) 문장독본 553 3) 문장체법 558 4) 시문독본 5) 실용작문법 565 6) 실지응용작문대방 568 7) 어린이독본 571 8) 이십세기 청년독본 576 9) 조선문학독본 580 10) 중등조선어작문 584 11) 초학시문필독 588 12) 현대조선문예독본 592 13) 현대청년수양독본 596 5. 해제 대상 교과서 목록 해제 대상 교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