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와이 데이터 : 알기 쉬운 데이터와 금융의 이해

와이 데이터 : 알기 쉬운 데이터와 금융의 이해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신종철, 저 김범수, 저 서지용, 저 유진호, 저 최경진, 저 강현정, 저 김순석, 저 김기태, 저
Corporate Author
BCcard. BC 금융·데이터연구회
Title Statement
와이 데이터 = Why data? : 알기 쉬운 데이터와 금융의 이해 / BCcard BC 금융·데이터연구회 ; 신종철 [외]집필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Jinhan M&B,   2022  
Physical Medium
195 p. : 천연색삽화, 도표 ; 23 cm
ISBN
9791129032867
General Note
집필진: 김범수, 서지용, 유진호, 최경진, 강현정, 김순석, 김기태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2208
005 20230222172058
007 ta
008 230222s2022 ulkad b 000c kor
020 ▼a 9791129032867 ▼g 93320
035 ▼a (KERIS)BIB000016608546
040 ▼a 211006 ▼c 211006 ▼d 211009
082 0 4 ▼a 332.0285 ▼2 23
085 ▼a 332.0285 ▼2 DDCK
090 ▼a 332.0285 ▼b 2022z4
110 ▼a BCcard. ▼b BC 금융·데이터연구회
245 1 0 ▼a 와이 데이터 = ▼x Why data? : ▼b 알기 쉬운 데이터와 금융의 이해 / ▼d BCcard BC 금융·데이터연구회 ; ▼e 신종철 [외]집필
260 ▼a 서울 : ▼b Jinhan M&B, ▼c 2022
300 ▼a 195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3 cm
500 ▼a 집필진: 김범수, 서지용, 유진호, 최경진, 강현정, 김순석, 김기태
700 1 ▼a 신종철, ▼e
700 1 ▼a 김범수, ▼e
700 1 ▼a 서지용, ▼e
700 1 ▼a 유진호, ▼e
700 1 ▼a 최경진, ▼e
700 1 ▼a 강현정, ▼e
700 1 ▼a 김순석, ▼e
700 1 ▼a 김기태, ▼e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2.0285 2022z4 Accession No. 111877021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7-17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데이터의 이해, 데이터기술의 이해, 데이터와 금융의 이해, 마이데이터의 이해, 가명정보와 결합의 이해 등 총 5개 파트로 구성되었다. 각 파트별로 일반인들이 궁금해 할만한 질문에 대해 분야별 전문가인 저자들이 구어체로 설명하여 재미있고 읽기 쉽게 구성됐다.

BC카드(가 금융위원회 데이터 전문기관 예비선정으로 금융 데이터의 이해도를 높이고자 전문서적을 출간했다. 본 도서 ‘Why data? : 알기 쉬운 데이터와 금융의 이해(이하 ‘Why data?’)로 지난 2020년 8월 개정∙시행된 데이터3법(개인정보보호법, 신용정보법,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기술과 활용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다.
특히 이번 출간을 계기로 데이터 시장, 산업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제고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문 서적 부족으로 궁금증을 해소하는데 한계가 있었던 일반 독자들의 니즈가 조금이나마 해소될 수 있을 전망이다.
Why data?는 데이터의 이해, 데이터기술의 이해, 데이터와 금융의 이해, 마이데이터의 이해, 가명정보와 결합의 이해 등 총 5개 파트로 구성되었다. 각 파트별로 일반인들이 궁금해 할만한 질문에 대해 분야별 전문가인 저자들이 구어체로 설명하여 재미있고 읽기 쉽게 구성됐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BC 금융·데이터연구회(지은이)

- 신종철 · 연세대학교 행정학 학사, 서울대학교 행정학 석사, 미국 Southern Illinois Univ. 법학 박사(J.D) ·‌미국 Illinois주 변호사 · 행정고시 합격(41회) · 방송통신위원회, 미래창조과학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과장 · 한양대학교 겸임교수 · 연세대학교 겸임교수(현) · 비씨카드 전무(현) - 김범수 · 서울대학교 경영학 학사, 동 대학원 석사, 미국 Univ. of Texas Austin 정보시스템 박사(Ph.D) ·‌미국 Univ. of Illinois, Chicago 교수 · 연세대학교 교수(현) · 연세대학교 바른ICT연구소 소장(현) ·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원장(현) · Asia Privacy Bridge Forum 의장(현) · 한국지식경영학회 회장(현) - 서지용 ·‌고려대학교 사회학 학사, 미국 Univ. of Illinois 경영학 석사, 고려대학교 경영학 박사(Ph.D) · 상명대학교 경영대학 학장 · 상명대학교 경영대학원 원장 · 상명대학교 교수(현) · 한국신용카드학회 회장(현) · 한국산업경제학회 부회장(현) · 금융감독원 Ombudsman 위원(현) - 유진호 · 고려대학교 수학과 학사, 동 대학원 통계학과 석사, 동 대학원 정보경영공학 박사(Ph.D) · 한국 인터넷진흥원(KISA) 단장 · 상명대학교 교수(현) · 한국정보보호학회 이사(현) · 한국정보처리학회 부회장(현) - 최경진 ·‌성균관대학교 법학 학사, 동 대학원 석사, 동 대학원 박사(Ph.D), 미국 Duke Univ. 법학 석사(L.L.M) · 가천대학교 교수(현) · 가천대학교 인공지능·빅데이터 정책연구센터 센터장(현) · 한국개인정보보호법학회 회장(현) - 강현정 ·‌서율대학교 컴퓨터공학 학사, 한국과학기술원(KAIST) 경영학 석사 · 사법시험 합격(45회) · 법무법인 세종 변호사 · 김앤장 법률사무소 변호사(현) · 금융위원회 금융규제혁신회의 디지털 혁신분과 위원(현) · 금융위원회 혁신금융심사위원회 위원(현) -김순석 ·‌중앙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박사(Ph.D) · 한라대학교 교수(현)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보기술포럼 기술분과위원회 위원장(현)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공공기관 민감개인정보활용사업 사전진단 전문위원(현) - 김기태 ·‌한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석사 ·‌가명·익명 처리 전문 Consultant · UPS Data 대표(현)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보기술포럼 기술분과위원회 위원(현)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공공기관 민감개인정보활용사업 사전진단 전문위원(현)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Part 1. 데이터의 이해
1. 데이터는 왜 중요하고 앞으로 우리의 생활을 어떻게 바꾸게 할까?
2. 왜 데이터와 정보의 활용은 필요한가?
3. 데이터 산업과 시장을 위해 필요한 교육은 무엇일까?, 수학?
4. 빅데이터(Big data)란 무엇이며 왜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가?
5. 데이터의 보호와 활용을 위한 개인정보보호 관련법과 제도는 어떻게 변해왔는가?
6. 데이터의 보호와 활용을 위한 개인정보보호 관련법과 제도의 개선 방향은?
7. 해외 다른 나라들의 데이터 관련 개인정보 법제도와 규제는 어떠한가?

Part 2. 데이터기술의 이해
1. 데이터와 블록체인, 클라우드, 인공지능 등 IT 기술과의 관계는 무엇일까?
2. 인공지능(AI)란 무엇이며, 왜 AI가 발전할수록 개인정보와 데이터가 중요해지는가?
3. 인공지능, 딥러닝, 머신러닝의 차이는 무엇이며, 어떻게 발전하고 있는가?
4. 인공지능(AI)에 활용되는 주요한 기술과 모델은 무엇이 있는가?
5. 인공지능(AI)이 발전함에 따라 향후 우리 생활은 어떻게 변화하고,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Part 3. 데이터와 금융의 이해
1. 왜 금융과 의료분야가 데이터 산업과 시장의 중심이 될까?
2. 금융 데이터와 헬스케어 데이터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3. 헬스케어 데이터를 신용평가모형에 활용하는 것이 가능할까?
4. 신용카드산업과 보험산업에서 헬스케어 데이터를 활용한다면 어떤 장점이 있을까?

Part 4 마이데이터의 이해
1. 마이데이터(My data)란 무엇인가?
2, 마이데이터(My data)를 활성화하기 위해 무엇이 논의되어야 할까?
3. 마이데이터란 어떠한 사업이고, 마이데이터 사업을 위한 자격조건은 무엇인가?
4. 해외 선진국의 마이데이터 사업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5. 자산관리와 B2B에 특화된 플랫폼 서비스에 주력하는 영국의 마이데이터 서비스 현황은?
6. 일대일(1:1) 맞춤형 재무관리에 특화된 미국의 마이데이터 서비스 현황은?
7. 소상공인을 위한 재무관리(BFM) 서비스에 특화된 EU의 마이데이터 서비스 현황은?

Part 5. 가명정보와 결합의 이해
1. 개인정보와 다른 가명정보와 익명정보란 무엇인가?
2. 가명정보 결합전문기관과 데이터전문기관이란 무엇인가?
3. 가명정보의 활용범위는 어디까지이며, 가명정보를 활용하는 것은 과연 안전한가?
4. 가명정보는 앞으로 우리 실생활에 어떻게 활용되게 될까?
5. 익명정보는 앞으로 우리 실생활에 어떻게 활용될 것인가?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中国支付清算协会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