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현대 신어 연구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남길임, 1971-, 저 송현주, 저 최준, 저 이수진, 저
서명 / 저자사항
현대 신어 연구 / 남길임 [외]
발행사항
서울 :   한국문화사,   2022  
형태사항
304 p. : 삽화, 도표 ; 23 cm
ISBN
9791166850745
일반주기
공저자: 송현주, 최준, 이수진  
서지주기
참고문헌(p. 275-289)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Korean language --New words Words, New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2194
005 20230222171202
007 ta
008 230222s2022 ulkad b 001c kor
020 ▼a 9791166850745 ▼g 93700
035 ▼a (KERIS)BIB000016116583
040 ▼a 211015 ▼c 211015 ▼d 211009
082 0 4 ▼a 495.781 ▼2 23
085 ▼a 497.81 ▼2 DDCK
090 ▼a 497.81 ▼b 2022z3
245 0 0 ▼a 현대 신어 연구 / ▼d 남길임 [외]
246 1 1 ▼a A study on modern neologism
246 3 1 ▼a Study on modern neologism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22
300 ▼a 304 p. : ▼b 삽화, 도표 ; ▼c 23 cm
500 ▼a 공저자: 송현주, 최준, 이수진
504 ▼a 참고문헌(p. 275-289)과 색인수록
650 0 ▼a Korean language ▼x New words
650 0 ▼a Words, New
700 1 ▼a 남길임, ▼d 1971-, ▼e▼0 AUTH(211009)27231
700 1 ▼a 송현주, ▼e
700 1 ▼a 최준, ▼e
700 1 ▼a 이수진,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81 2022z3 등록번호 1118770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신어 연구의 핵심은 무엇일까? 혹자는 신어를 언어순화의 문제 또는 세대 간, 집단이나 계층 간 의사소통의 문제로 보기도 하고, 혹자는 언어 형태론적 창조성의 핵심, 어휘부와 조어론 연구의 주요 대상, 또는 사회 문화적 현상과 변화의 지표로서도 자주 논의된다.

또 최근 언어공학의 관점에서 신어는 완벽한 자동 식별이라는 도전적인 목표를 제공함과 동시에 각종 자연어처리 성능 향상의 걸림돌로 논의되기도 한다. 이 책은 이러한 모든 신어에 대한 관심사를 염두에 두고 집필되었다.

신어 연구의 핵심은 무엇일까? 혹자는 신어를 언어순화의 문제 또는 세대 간, 집단이나 계층 간 의사소통의 문제로 보기도 하고, 혹자는 언어 형태론적 창조성의 핵심, 어휘부와 조어론 연구의 주요 대상, 또는 사회 문화적 현상과 변화의 지표로서도 자주 논의된다. 또 최근 언어공학의 관점에서 신어는 완벽한 자동 식별이라는 도전적인 목표를 제공함과 동시에 각종 자연어처리 성능 향상의 걸림돌로 논의되기도 한다. 이 책은 이러한 모든 신어에 대한 관심사를 염두에 두고 집필되었다.
현재 신어 자료 구축과 연구는 한국뿐만 아니라 영미권과 유럽, 중국과 일본 등 세계 언어학, 사전학 연구자들의 관심사이고, 언어공학 분야에서도 대용량의 시계열 말뭉치를 활용한 신어의 식별과 유형별 활용에 대한 연구가 확대되고 있다. 이 책이 말뭉치를 활용하여 특정 주제나 특정 유형의 신어를 추출하고 신어 연구를 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남길임(지은이)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다.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립국어원 신어 조사 및 사용 주기 조사(2013~2019), 맞춤법 교정 말뭉치 연구 분석(2021, 2022) 사업 등 사전을 비롯한 언어 자료의 구축과 활용 사업에 참여했으며, 언어 수행의 유창성과 경향성을 밝히는 말뭉치언어학에 관심이 있다. 대표 논저로 『한국어 사전 편찬학 개론』, 「이론으로서의 말뭉치언어학에 대한 연구 현황과 쟁점」, 『사전에 없는 진짜 한국어』, 『현대 신어 연구』 등이 있다.

이수진(지은이)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의 대학원에서 문학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북대학교 국제교류처 강사로 재직하고 있다. 주로 한국어 형태론과 사전에 대하여 공부하고 있으며, 최근 신어에 관심을 두고 꾸준히 연구하며 글을 쓰고 있다. 저서로는 『신어』, 『신어 2020 : 코로나 팬데믹 시대의 새로운 언어』, 『현대 신어 연구』 등이 있다.

송현주(지은이)

경북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경북대학교 언어정보연구센터 연구원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한중일 언어를 통해 본 삼국의 사회와 문화』(2018), 『한국어로 보는 한국문화』(2019) 공저

최준(지은이)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전임연구원 경북대학교 언어정보연구센터 연구원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말


제1장 서 론
1. 신어, 말뭉치 언어학, 사전학
2. 이 책의 구성


I부 신어의 개념 및 범주
제2장 신어란 무엇인가?
1. 신어 개념 정립의 필요성
2. ‘신어’를 가리키는 다양한 용어들과 ‘신어’의 범주
3. 기타 유사 인접 용어
3.1. 임시어
3.2. 미등재어
3.3. 기타 유사 인접 용어
4. 신어 개념의 재정립

제3장 신어의 유형
1. 신어 유형 분류 기준
2. 기존과 다른 형태의 어휘: 형태적 신어
2.1. 형태적 신어 위주의 기존 한국어 신어 연구의 흐름

2.2. 형태적 신어의 세부 유형
3. 새로운 맥락에서 사용되는 어휘: 의미적 신어
3.1. 용어 ‘의미적 신어’의 정의와 의미적 신어 연구의 필요성
3.2. 의미적 신어 추출의 효과적 방법론을 모색하기 위한 노력
3.3. 의미적 신어 식별을 위한 공기어 분석 접근법의 검토
4. 문법화된 어휘: 문법적 신어
5. 균형 잡힌 신어 연구를 위한 과제


Ⅱ부 신어 조사의 실제
제4장 신어 탐색 방법론의 실제
1. 언어 사용 기록으로서의 신어 탐색
2. 신어 조사 방법론의 변화 양상
3. 반자동 신어 탐색 방법론
3.1. 반자동 신어 탐색의 개요
3.2. 수동 분석 과정의 실제
3.3. 자동 분석 과정의 실제
4. 한국어 신어 추출 방법론의 현재와 미래


제5장 신어 조사 대상 매체의 선택
1. ‘진짜’ 언어에 대한 탐색
2.1. 신어 조사 대상 자료의 기본 요건
2.2. 신어 조사 대상 매체로서 ‘뉴스’의 적정성
3. 종이에서 웹으로의 신어 조사 대상 선택 변화
3.1. 웹 자료의 대표성과 균형성
3.2. 웹 자료의 불안정성
4. 신어 조사 대상 매체의 확장적 접근에 대한 기대

제6장 신어의 빈도와 사용 추이
1. 어휘 빈도에 대한 관심
2. ‘빈도’에 대한 연구 동향과 쟁점
2.1. 언어학에서 ‘빈도’를 대하는 자세
2.2. 신어 연구에서 ‘빈도’의 의의
3. 신어의 사용 빈도 분석과 쟁점
3.1. 단위와 대상: 구 단위 신어와 의미적 신어의 수집
3.2. 대상 텍스트의 범위
3.3. 사전 등재를 위한 기준, 빈도와 사용자 인식 조사
4. 신어의 사용 추이 조사와 빈도
5. 신어 빈도 연구의 향후 과제

Ⅲ부 신어와 언어 사용의 접점
제7장 신어와 사전
1. 사전 형식의 변화와 신어
2. 사전학의 변화와 신어 기술의 쟁점
2.1. 사전의 변화: 말뭉치의 도입과 웹사전의 발달, 그리고 사용자 참여
2.2. 한국어사전에서 신어 기술의 쟁점
3. 한국어 사전의 신어 수용 양상
3.1. 제1유형: 2005~2009년 신어 중 최근 10년 생존 신어
3.2. 제2유형: 2018년 신어
4. 데이터로서의 사전, 신어 연구의 미래

제8장 사전 밖의 신어: 고유명사와 관련된 신어
1. ‘고유명사와 관련된 신어’의 재조명
2. ‘고유명사와 관련된 신어’의 정의와 범위
3. 고유명사와 관련된 신어의 언어적 특성
3.1. 형태적 특성
3.2. 의미적 특성
4. ‘고유명사와 관련된 신어’ 연구의 의의

제9장 신어의 사회 문화적 의미
1. 신어와 사회 문화
2. 사회 문화 현상으로서의 신어 연구의 현황과 쟁점
3. 사회 문화 현상으로서의 신어 연구
3.1. 사례 연구 1: 2012년 ~ 2013년 [+사람] 신어
3.2. 사례 연구 2: 2019년 [+사람] 신어
4. 사회 문화 현상으로서의 신어 연구의 과제

제10장 신어의 활용
1. 신어 연구의 다양화
2. 분야에 따른 신어 활용 현황과 쟁점
2.1. 사회 문화 분야
2.2. 언어공학 분야
2.3. 국어교육 분야
3. 사례 연구: 국어교육 분야에서의 신어 연구 활용
3.1. 신어 교육의 현황
3.2. 신어 교육의 방안
4. 신어 활용의 과제

참고문헌
찾아보기(용어)
290(신어)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