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근대 한국학 교과서 총서

근대 한국학 교과서 총서

Material type
단행본
Corporate Author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Title Statement
근대 한국학 교과서 총서 / 성신여대 인문융합연구소 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제이앤씨,   2022  
Physical Medium
9책 : 삽화 ; 23 cm
ISBN
9791159172021 (v.1) 9791159172038 (v.2) 9791159172045 (v.3) 9791159172052 (v.4) 9791159172069 (v.5) 9791159172076 (v.6) 9791159172083 (v.7) 9791159172090 (v.8) 9791159172106 (v.9) 9791159172014 (Set)
Content Notes
1-3. 국어과 (780 ; 587 ; 587 p.) -- 4-5. 윤리과 (587 ; 652 p.) -- 6-7. 역사과 (767 ; 818 p.) -- 8-9. 지리과 (722 ; 710 p.)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2139
005 20230222171327
007 ta
008 230222s2022 ulka 00 c kor
020 ▼a 9791159172021 (v.1) ▼g 94370
020 ▼a 9791159172038 (v.2) ▼g 94370
020 ▼a 9791159172045 (v.3) ▼g 94370
020 ▼a 9791159172052 (v.4) ▼g 94370
020 ▼a 9791159172069 (v.5) ▼g 94370
020 ▼a 9791159172076 (v.6) ▼g 94370
020 ▼a 9791159172083 (v.7) ▼g 94370
020 ▼a 9791159172090 (v.8) ▼g 94370
020 ▼a 9791159172106 (v.9) ▼g 94370
020 1 ▼a 9791159172014 (Set)
035 ▼a (KERIS)BIB000016570304
040 ▼a 242002 ▼c 242002 ▼d 244004 ▼d 211009
041 0 ▼a kor ▼a chi
082 0 4 ▼a 371.3209519 ▼2 23
085 ▼a 371.320953 ▼2 DDCK
090 ▼a 371.320953 ▼b 2022z1
110 ▼a 성신여자대학교. ▼b 인문융합연구소
245 1 0 ▼a 근대 한국학 교과서 총서 / ▼d 성신여대 인문융합연구소 편
260 ▼a 서울 : ▼b 제이앤씨, ▼c 2022
300 ▼a 9책 : ▼b 삽화 ; ▼c 23 cm
505 0 0 ▼n 1-3. ▼t 국어과 ▼g (780 ; 587 ; 587 p.) -- ▼n 4-5. ▼t 윤리과 ▼g (587 ; 652 p.) -- ▼n 6-7. ▼t 역사과 ▼g (767 ; 818 p.) -- ▼n 8-9. ▼t 지리과 ▼g (722 ; 710 p.)
546 ▼a 본문은 한국어와 한자가 혼합수록됨
910 0 ▼a 성신여대. ▼b 인문융합연구소, ▼e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320953 2022z1 1 Accession No. 11187698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320953 2022z1 2 Accession No. 11187698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320953 2022z1 3 Accession No. 11187698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320953 2022z1 4 Accession No. 11187698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320953 2022z1 5 Accession No. 11187698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6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320953 2022z1 6 Accession No. 11187698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7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320953 2022z1 7 Accession No. 11187698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8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320953 2022z1 8 Accession No. 11187698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9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320953 2022z1 9 Accession No. 11187698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근대 교과서는 당대 사회의 복잡한 사회・역사・정치・문화의 상황과 조건들의 필요에서 나온 시대의 산물이다. 한국 근대사는 반봉건과 반외세 투쟁 속에서 자주적인 변혁을 이루어야 했던 시기였고, 특히 1860년대부터 1910년에 이르는 시간은 반봉건・반외세 투쟁을 전개하면서 근대적 주체를 형성해야 했던 때였다. 주체의 형성은 근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였는 바, 그 역할의 한 축을 담당한 것이 근대 교육이다.

‘국어과’는, 교재의 제명이 독본, 필독, 필지, 독습, 보전, 작문 등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당대의 문화, 역사, 정치, 경제적 정체성을 ‘국어’로 반영했다는 데서 국어과로 분류하였다. 당시 국어과 교과서는 다른교과목을 가르칠 때에도 항상 언어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글자를 쓸 때에도 그 모양과 획순을 정확히 지키도록 지도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근대 교과서는 당대 사회의 복잡한 사회・역사・정치・문화의 상황과 조건들의 필요에서 나온 시대의 산물이다. 한국 근대사는 반봉건과 반외세 투쟁 속에서 자주적인 변혁을 이루어야 했던 시기였고, 특히 1860년대부터 1910년에 이르는 시간은 반봉건・반외세 투쟁을 전개하면서 근대적 주체를 형성해야 했던 때였다. 주체의 형성은 근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였는 바, 그 역할의 한 축을 담당한 것이 근대 교육이다.
<근대 한국학 교과서 총서>에는 총 54종 133권이 수록되었다. 여기서 교과서를 국어과, 수신과, 역사과, 지리과로 나누어 배치한 것은 다분히 편의적인 것이다. 근대적 의미의 교과(敎科)가 분화되기 이전에 간행된 관계로 개화기 교과서는 통합교과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특히 국어와 수신 교과서는 내용이 중복되어 분간이 어려울 정도이다. 그럼에도 교과를 나눈 것은 다음과 같은 최소 기준에 의한 것이다.
‘국어과’는, 교재의 제명이 독본(讀本{), 필독(必讀), 필지(必知), 독습(讀習), 보전(寶典), 작문(作文) 등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당대의 문화, 역사, 정치, 경제적 정체성을 ‘국어’로 반영했다는 데서 국어과로 분류하였다. 당시 국어과 교과서는 “다른교과목을 가르칠 때에도 항상 언어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글자를 쓸 때에도 그 모양과 획순을 정확히 지키도록 지도”(보통학교령, 1906) 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본 서의 명칭을 <근대 한국학 교과서>라 칭한 것은 다양한 내용과 형태의 교과서를 묶기에 적합한 말이 ‘한국학(Koreanology)’이라고 생각한 때문이다. 한국학이란 범박하게 한국에 관한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 고유의 것을 연구・계발하는 학문이다. 구체적 대상으로는 언어, 역사, 지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제 분야를 망라하지만, 여기서는 국어, 역사, 지리, 윤리로 교과를 제한하였다. 이들 교과가 근대적 주체(한국적 주체) 형성에 결정적으로 기여하였고, 그것이 이후의 복잡한 사회・역사・정치・문화의 상황과 길항하면서 오늘의 주체를 만들었다고 믿는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v.1]
간행사 근대교과서의 탄생
일러두기

국민소학독본(1895)
소학독본(1895)
신정심상소학(3권)(1896)
고등소학독본(2권)(1906)
최신초등소학(4권)(1906)
초등소학(1906)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8권)(1907)

[v.2]
간행사 근대교과서의 탄생
일러두기

유년필독(4권)(1907)
유년필독석의(2권)(1907)
초등여학독본(1908)
노동야학독본(1908)
부유독습(상,하)(2권)(1908)

[v.3]
간행사 근대 교과서의 탄생
일러두기

초목필지 상
초목필지 하

신찬초등소학 권1
신찬초등소학 권2
신찬초등소학 권3
신찬초등소학 권4
신찬초등소학 권5
신찬초등소학 권6

[v.4]
숙혜기략(1895)
서례수지(규장각본)
서례수지(한문본, 1886)
서례수지(한글, 1902)
보통학교학도용 수신서(4권)(1907)
초등소학(8권)(1906)
초등윤리학교과서(1907)
초등소학수신서(1908)

[v.5]
여자독본(2권)(1908)
초등여학독본(1908)
여자소학수신서(1909)
중등수신교과서(4권)(1906)
고등소학수신서(1908)
윤리학교과서(4권)(1906)

[v.6]
조선역사(3권)(1895)
조선역대사략(3권)(1895)
동국역대사략(6권)(1899)
초등대한역사(1908)
초등본국역사(1908)

[v.7]
역사집략(11권)(1905)
보통교과 동국역사(5권)(1899)
중등교과 동국사략(4권)(1906)
초등본국약사(2권)(1909)

[v.8]
간행사 근대 교과서의 탄생
일러두기

조선지지
소학 만국지지
지구약론
한국지리교과서
초등대한지지
최신초등 대한지지
대한신지지 권1
대한신지지 권2
문답 대한신지지
여재촬요

[v.9]
간행사 근대 교과서의 탄생
일러두기

신정 중등만국신지지 권1
신정 중등만국신지지 권2

사민필지(한글본)
사민필지(한문본)

중등 만국지지 권1
중등 만국지지 권2
중등 만국지지 권3

신편 대한지리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민지 (2023)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2023)
이병환 (2023)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