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의대생과 전공의를 위한) 문제중심 임상소화기학

(의대생과 전공의를 위한) 문제중심 임상소화기학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은종렬
Title Statement
(의대생과 전공의를 위한) 문제중심 임상소화기학 = Problem-oriented clinical gastroenterology / 은종렬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군자출판사,   2023  
Physical Medium
412 p. : 삽화(일부천연색) ; 26 cm
ISBN
9791159559471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소화기계 질환[消化器系疾患]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2088
005 20230221142010
007 ta
008 230221s2023 ulka 000c kor
020 ▼a 9791159559471 ▼g 93510
040 ▼a 211092 ▼c 211092 ▼d 211092
082 0 4 ▼a 616.3 ▼2 23
085 ▼a 616.3 ▼2 DDCK
090 ▼a 616.3 ▼b 2023
100 1 ▼a 은종렬
245 2 0 ▼a (의대생과 전공의를 위한) 문제중심 임상소화기학 = ▼x Problem-oriented clinical gastroenterology / ▼d 은종렬 지음
260 ▼a 서울 : ▼b 군자출판사, ▼c 2023
300 ▼a 412 p. : ▼b 삽화(일부천연색) ; ▼c 26 cm
650 8 ▼a 소화기계 질환[消化器系疾患]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616.3 2023 Accession No. 131057039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7-03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제가 내과 전문의를 취득한 것이 2002년이므로 올해 2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평범한 봉직의로 진료에 매진해 왔다고 생각합니다. 20주년을 기념하여 진료하고 있는 흔한 소화기질환들을 정리하면서 제 진료행태를 돌아보고, 소화기학에 입문하는 의대생이나 본격적으로 진료를 시작하는 전공의와 전임의 후배들에게 도움이 될까 하여 책으로 내게 되었습니다.
의과대학에서 배워야 할 소화기학은 내용이 실로 방대합니다. 해리슨 교과서는 한 문장, 한 문장이 주옥같아 임상경험이 어느 정도 쌓인 후 다시 읽어보면 감동으로 다가오기도 합니다. 그러나 짧은 학부과정에 천천히 읽을 만한 물리적 시간이 부족한 것이 현실입니다. 그래서 해리슨 교과서 내용을 한글로 요약하고 제가 경험한 임상증례들을 소개하는 방식으로 정리하였습니다. 우리나라에 드문 질환들은 과감히 제외하거나 간략히 하고, 해리슨에 짧게 소개되었으나 흔히 접하는 질환들은 참고문헌과 함께 추가하였습니다. 소화기 분야에 많은 진단과 치료 도구들이 있는데 CT와 내시경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소화기내과 의사로 병원에 근무하게 되면 내시경에 능숙해야 하고, CT 등 사진을 판독하고 해석하는 능력도 필요합니다. 영상의학과의 도움을 받기도 하지만, 결국 clinical correlation과 decision-making은 문진과 진찰을 통해 환자로부터 얻은 정보, 즉 임상문제를 종합, 분석하여 임상의가 해야 합니다. 자기가 전공하는 분야의 영상검사는 스스로 볼 줄 알아야 하는 것은 어느 분야든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그런 이유로 normal CT and endoscopy anatomy를 마지막에 소개하였으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2022.11.
은 종 렬
명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문제중심 임상소화기학”은 저자가 지난 20년간 임상에서 경험한 소화기 환자들의 임상증례들에서 임상소견, 검사소견, 그리고 내시경 및 영상소견을 상호연관지어 진단에 접근하여 최종 확진 및 치료하는 능력을 훈련하고 향상시킬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집필한 임상서입니다.
본 도서는 식도질환, 위장질환, 흡수장애, 대장질환, 간질환, 췌장질환 등 소화기질환에 대한 다양한 임상증례를 기술하고 있어 이 책을 통해 소화기전공의 선생님들이 수련하면서 접하는 여러 임상적 어려운 점들을 이 책을 통해 도움을 받으셨으면 합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Ⅰ 증상별 접근
01. 구역과 구토
02. 설사
03. 변비
04. 복통
05. 복부팽만과 복수
06. 위장관출혈
07. 황달
08. 피로
09. 영양과 체중감소

Ⅱ 식도질환
01. 위식도역류질환
02. 식도암
03. 말로리바이스열상
04. 부식성식도염
05. 캔디다식도염
06. 약인성식도염
07. 바이러스식도염
08. 식도이물
09. 식도양성종양
10. 식도게실
11. 식도운동성질환

Ⅲ 위장질환
01. 위염
02. 소화성궤양
03. 위암
04. 위말트림프종
05. 위간질종양 및 점막하종양
06. 위용종
07. 기타 위내시경소견

Ⅳ 흡수장애
01. Enterohepatic circulation of bile acids
02. 지방 흡수
03. 탄수화물 흡수
04. 단백질 흡수
05. Short‒owel syndrome
06. Bacterial overgrowth syndrome

Ⅴ 대장질환
01. 과민성장증후군
02. 염증성장질환
03. 대장용종과 대장암
04. 장폐색
05. 장허혈
06. 대장게실
07. C. difficile infection and Pseudomembranous colitis
08. 급성충수염
09. 숙변대장염

Ⅵ 간질환
01. 간기능검사의 이해
02. 바이러스간염: A형간염
03. 바이러스간염: B형간염
04. 바이러스간염: C형간염
05. 알코올간질환
06. 알코올 관련 내과적 문제
07. 비알코올지방간질환
08. 약인성 간손상
09. 자가면역간질환
10. 간경변증
11. 간경변증의 합병증: 정맥류출혈
12. 간경변증의 합병증: 복수
13. 간경변증의 합병증: 간성뇌증
14. 간세포암
15. 감염성간질환
PBL 증례: 황달

Ⅶ 담낭과 담관질환
01. 담즙과 담석
02. 급성담낭염
03. 담관결석
04. 원발경화성담관염
05. 기타 담관질환
06. 담관암
07. 담낭암
08. 기타 담낭질환

Ⅷ 췌장질환
01. 췌장의 구조와 기능
02. 급성췌장염
03. 만성췌장염
04. 췌장암
05. 기타 췌장질환

Ⅸ 복부 CT

Ⅹ 위장관내시경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대한비과학회 (2022)
대한수면학회 (2022)
Spinelli, Ernesto (2023)
Greenberg, Leslie S. (2023)
Razzaque, Russell (2023)
대한전립선학회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