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데이터 사이언스의 매력 : 데이터·AI 경제 시대의 미래경쟁력 / 제2판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성현, 朴聖炫, 1945- 오진호, 저 권순선, 저
서명 / 저자사항
데이터 사이언스의 매력 : 데이터·AI 경제 시대의 미래경쟁력 / 박성현, 오진호, 권순선 지음
판사항
제2판
발행사항
파주 :   자유아카데미,   2023  
형태사항
452 p. : 천연색삽화, 도표 ; 23 cm
ISBN
9791158084134
일반주기
부록: 1. 데이터 분석 사례, 2. 문제은행  
서지주기
참고문헌: p. 448-452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1978
005 20230221092419
007 ta
008 230220s2023 ulkad b 000a kor
020 ▼a 9791158084134 ▼g 9331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006.312 ▼2 23
085 ▼a 006.312 ▼2 DDCK
090 ▼a 006.312 ▼b 2023z1
100 1 ▼a 박성현, ▼g 朴聖炫, ▼d 1945- ▼0 AUTH(211009)41305
245 1 0 ▼a 데이터 사이언스의 매력 : ▼b 데이터·AI 경제 시대의 미래경쟁력 / ▼d 박성현, ▼e 오진호, ▼e 권순선 지음
250 ▼a 제2판
260 ▼a 파주 : ▼b 자유아카데미, ▼c 2023
300 ▼a 452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3 cm
500 ▼a 부록: 1. 데이터 분석 사례, 2. 문제은행
504 ▼a 참고문헌: p. 448-452
700 1 ▼a 오진호, ▼e▼0 AUTH(211009)10362
700 1 ▼a 권순선,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06.312 2023z1 등록번호 111876810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8-14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21세기 신학문인 데이터 사이언스가 가지는 본질, 다양한 데이터의 세계, 분석법, 분석 소프트웨어, 가치 창출 등을 보여줌으로써, 독자들에게 데이터 사이언스의 매력과 도전을 제시해 주는 안내서다. 또한, 대학생들과 일반 국민에게 데이터 기반의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의 다양한 얼굴과 그 효용성을 이해할 수 있는 데이터 리더러시data Literacy를 배양하기 위한 내용도 집약되어 있다. 개정판을 출간하면서 초판의 오타, 문맥 수정, 문제은행 수록 등 다양한 내용을 수정 보완하였다.

우리는 실로 데이터 경제data economy 시대에 살고 있다. 데이터를 누가 얼마나 잘 수집하고 분석하고 활용하는가에 따라 개인이나 조직이나 국가의 경쟁력이 좌우된다. 약 100년 전 영국의 허버트 웰스Herbert Wells라는 미래학자는 “통계적 사고statistical thinking가 읽고 쓰는 것만큼이나 중요해지는 시대가 올 것이다.”라고 예측하였다. 시간이 흐르면서 그의 말이 점점 맞아 들어가고 있다. 지금 우리는 주위의 수많은 데이터로부터 통계적 해석을 통해 정보를 얻는 것이 읽고 쓰는 것만큼 기본적인 국민 소양이 되어 가고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18세기에 시작된 통계학과 20세기부터 발전된 컴퓨터 과학은 데이터로부터 지식을 획득하는 학문으로 발전하였다. 통계학의 데이터 분석기술과 컴퓨터 하드웨어·소프트웨어의 급속한 발전은 이들의 융합인 데이터 사이 언스data science라는 새로운 학문을 창출하였고, 우리 주위에 있는 엄청난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지식을 추출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해주고 있다. 데이터 사이언스의 핵심 기술은 바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이다. 이들은 모두 데이터 기반 기술들이며, 그 응용범위는 제한이 없이 의학, 공학, 경영학, 유전학, 금융 등 모든 분야의 지식과 연결되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새로운 융합학문으로 발전하고 있다. 데이터 사이언스는 아마도 21세기가 낳은 가장 위대한 학문이 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빅데이터의 개념과 효용성의 안내서인 “통계로 풀어가는 빅데이터(2016)”에 이어 21세기를 선도하는 데이터 사이언스 교육을 위해 이해하기 쉬운 교양서적이 필요하다는 저자들의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이에 본 도서는 2021년 8월 초판을 시작으로 2쇄를 거쳐 1년 만에 2022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우수도서로 선정된 후 개정판을 출간하게 되었다. 이 모든 성과와 결과를 이끌어준 독자들에게 감사를 표하고 싶다. 특히 개정판에는 새로운 데이터 사이언스 분야 소개와 관련 문제은행을 수록하였다. 문제은행은 데이터 사이언스와 빅데이터 관련 학과 전공 및 교양 교과목의 시험문제 수준으로, 본 도서를 데이터 사이언스 관련 전공, 교양 교과목 주교재로 채택해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본 도서는 대학생들의 교양서적을 목표로 작성된 것으로 모두 6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데이터 사이언스가 왜 21세기의 주인공이고 그 매력이 무엇인지 설명한다. 2장은 데이터 사이언스로 보여주는 세상을 살펴보고, 3장은 다양한 데이터의 모습을 보여준다. 4장은 데이터 사이언스에서 사용되는 기계학습과 심층학습에 대한 설명과 주로 사용되는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를 소개하고 5장은 데이터 사이언스의 매력적인 분석법으로 지도학습, 비지도학습, 데이터 마이닝 등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6장은 데이터 사이언스라는 학문의 미래 도전에 대해 살펴본다. 종합적으로 볼 때, 이 책은 21세기 신학문인 데이터 사이언스가 가지는 본질, 다양한 데이터의 세계, 분석법, 분석 소프트웨어, 가치 창출 등을 보여줌으로써, 독자들에게 데이터 사이언스의 매력과 도전을 제시해 주는 안내서인 셈이다. 또한, 이 책에는 대학생들과 일반 국민에게 데이터 기반의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의 다양한 얼굴과 그 효용성을 이해할 수 있는 데이터 리더러시data Literacy를 배양하기 위한 내용도 집약되어 있다.
개정판을 출간하면서 초판의 오타, 문맥 수정, 문제은행 수록 등 다양한 내용을 수정 보완했지만, 부족한 부분이 있을 수 있다. 이 점은 양해를 바라며 추후 수정사항이 있을 때는 자유아카데미 홈페이지(www.freeaca. com) 자료실을 통해 제공할 예정이니 참고하기를 바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박성현(지은이)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서울대학교 통계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 졸업,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산업공학 석사 및 통계학 이학박사를 취득했다. 미국 미시시피 주립대학교 경영대학 조교수, 서울대학교 통계학과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한국통계학회 회장, 한국품질경영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학생처장, 기초과학연구원장 및 자연과학대학장,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본부장,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 건국대학교 경영대학 석좌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홍조근정훈장과 과학기술훈장 혁신장을 수상하였으며,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다.

오진호(지은이)

한밭대학교 수리과학과, 노마드칼리지 기초과학부 조교수 서울대학교 통계학과 이학박사를 취득하고 미래에셋 퇴직연금연구소에 입사하여 연금과 은퇴 설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후, 통계청 통계사무관과 UN 파견으로 인구, 가구 추계, 인구동태통계 개선 등의 연구와 실무 경험을 쌓았으며, 한밭대학교 수리과학과, 노마드칼리지 기초과학부에서 통계학, 통계로보는세상, 데이터모델링 등을 가르치고 있다. 국가통계자료제공심의회, 포괄적연금통계개발 전문가자문위원(통 계청), 빅데이터 자문위원회 위원(관세청), 재정통계연구자문 위원(한국보건사외연구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고, 인구, 가구예측, 마이크로시뮬레이션, 빅데이터분석에 대한 정부부처 자문과 연구용역을 담당하고 있다.

권순선(지은이)

아주대학교 수학과 부교수 서울대학교 통계학과 이학박사를 취득하고 고려대학교 의학통계연구실, 분당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에서 의학통계 관련 컨설팅 및 연구를 수행하였다. 아시아 태평양 산업수학협회 평위원, 한국보건통계학회 교육위원, 아주대학교 연구윤리시험위원회,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연구윤리시험위원회에서 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고, 아주산업수학·통계센터 센터장을 맡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1. 21세기 주인공 데이터 사이언스의 매력
01 데이터 사이언스의 정의와 역사
02 4차 산업혁명과 데이터 사이언스의 핵심 기술, 빅데이터
03 인공지능의 발전 역사
04 데이터·AI 경제 시대의 도래

2. 데이터 사이언스로 보여주는 세상
01 질병과 보건 예측
02 인구와 부동산 예측
03 인공지능과 이미지 영역
04 알파고와 스마트공장

3. 다양한 데이터의 세계
01 데이터의 폭발적 증가
02 데이터 분류
03 데이터 구조
04 텍스트 데이터와 자연어 처리
05 데이터 시각화

4. 데이터 사이언스 학습과 인공지능 분석 소프트웨어
01 기계학습
02 심층학습
03 인공지능 분석 소프트웨어
04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인공지능

5. 데이터 사이언스의 매력적인 분석법
01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본 통계 개념
02 베이즈 추론
03 지도학습
04 비지도학습
05 데이터 마이닝

6. 데이터 사이언스의 도전
01 데이터 사이언스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자
02 데이터 사이언스 경쟁력은 국가경쟁력의 핵심
03 데이터 고급 인력 10만 명 양성 전략
04 데이터 사이언스 국내외 공개강좌와 국내 대학교육 현황
05 데이터 사이언스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전략

부록
1. 데이터 분석 사례
2. 문제은행

관련분야 신착자료

GPT 개발포럼 (2023)
앤미디어 (2023)
Fregly, Chris (2023)
이세훈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