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투명한 장벽, 플랫폼을 배반하기

투명한 장벽, 플랫폼을 배반하기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Kazemi, Darius, 저 Wolf, Michael, 저 Lorusso, Silvio, 저 Hruby, Amelia, 저 Busta, Caroline, 저 Anderson, Chris, 저 Hartgerink, Chris, 저 박재용, 역
Corporate Author
새로운 질서 그 후, 편
Title Statement
투명한 장벽, 플랫폼을 배반하기 / 다리우스 카제미 [외]지음 ; 새로운 질서 그 후 엮음 ; 박재용 번역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새로운 질서 그 후,   2022  
Physical Medium
260 p. : 삽화 ; 18 cm
Series Statement
무슨일 선집 ;2
ISBN
9791197628924
General Note
공저자: 마이클 울프, 실비오 로루소, 아멜리아 호루비, 캐롤린 버스타, 크리스 앤더슨, 크리스 하트게링크  
Content Notes
사용자 조건 : 컴퓨터 주체성과 행위 = The user condition : computer agency and behavior / 실비오 로루소 -- 오케이 구글 : 내 계정 지워줘 (아니, 잠깐만. 진짜 지우지는 말고) = Ok Google : delete my account (no wait. no really) / 크리스 하트게링크 -- 나만의 소셜 네크워크 운영하기 = Run your own social / 다리우스 카제미 -- 반문화를 죽인 건 인터넷이 아니다. 다만 인스타그램에서 찾아볼 수 없을 뿐 = The internet didn't kill counterculture, you just won't find it on instagram / 캐롤린 버스타 -- 소셜 미디어가 아닌 방식으로 일과 삶을 공유하는 100가지 방법 = 100 ways to share your work + life that aren't social media / 아멜리아 호루비 -- 웹은 죽었다. 인터넷이여 영원하라 = Web is dead. long live the internet / 크리스 앤더슨, 마이클 울프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1956
005 20230220175613
007 ta
008 230220s2022 ulka 000a kor
020 ▼a 9791197628924 ▼g 025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004.678 ▼2 23
085 ▼a 004.678 ▼2 DDCK
090 ▼a 004.678 ▼b 2021z3 ▼c 2
245 0 0 ▼a 투명한 장벽, 플랫폼을 배반하기 / ▼d 다리우스 카제미 [외]지음 ; ▼e 새로운 질서 그 후 엮음 ; ▼e 박재용 번역
260 ▼a [서울] : ▼b 새로운 질서 그 후, ▼c 2022
300 ▼a 260 p. : ▼b 삽화 ; ▼c 18 cm
490 1 0 ▼a 무슨일 선집 ; ▼v 2
500 ▼a 공저자: 마이클 울프, 실비오 로루소, 아멜리아 호루비, 캐롤린 버스타, 크리스 앤더슨, 크리스 하트게링크
505 0 0 ▼t 사용자 조건 : 컴퓨터 주체성과 행위 = The user condition : computer agency and behavior / ▼d 실비오 로루소 -- ▼t 오케이 구글 : 내 계정 지워줘 (아니, 잠깐만. 진짜 지우지는 말고) = Ok Google : delete my account (no wait. no really) / ▼d 크리스 하트게링크 -- ▼t 나만의 소셜 네크워크 운영하기 = Run your own social / ▼d 다리우스 카제미 -- ▼t 반문화를 죽인 건 인터넷이 아니다. 다만 인스타그램에서 찾아볼 수 없을 뿐 = The internet didn't kill counterculture, you just won't find it on instagram / ▼d 캐롤린 버스타 -- ▼t 소셜 미디어가 아닌 방식으로 일과 삶을 공유하는 100가지 방법 = 100 ways to share your work + life that aren't social media / ▼d 아멜리아 호루비 -- ▼t 웹은 죽었다. 인터넷이여 영원하라 = Web is dead. long live the internet / ▼d 크리스 앤더슨, ▼e 마이클 울프
536 ▼a 이 출판물은 국립현대미술관이 주관하고 현대자동차가 후원하는 《프로젝트 해시태그 2021》의 일환으로 제작되었음
700 1 ▼a Kazemi, Darius, ▼e
700 1 ▼a Wolf, Michael, ▼e
700 1 ▼a Lorusso, Silvio, ▼e
700 1 ▼a Hruby, Amelia, ▼e
700 1 ▼a Busta, Caroline, ▼e
700 1 ▼a Anderson, Chris, ▼e
700 1 ▼a Hartgerink, Chris, ▼e
700 1 ▼a 박재용, ▼e
710 ▼a 새로운 질서 그 후, ▼e
740 2 ▼a User condition
740 2 ▼a Ok Google
740 2 ▼a Run your own social
740 2 ▼a Internet didn't kill counterculture, you just won't find it on instagram
740 2 ▼a 100 ways to share your work + life that aren't social media
740 2 ▼a Web is dead. long live the internet
830 0 ▼a 무슨일 선집 ; ▼v 2
900 1 0 ▼a 카제미, 다리우스, ▼e
900 1 0 ▼a 울프, 마이클, ▼e
900 1 0 ▼a 로루소, 실비오, ▼e
900 1 0 ▼a 호루비, 아멜리아, ▼e
900 1 0 ▼a 버스타, 캐롤린, ▼e
900 1 0 ▼a 앤더슨, 크리스, ▼e
900 1 0 ▼a 하트게링크, 크리스, ▼e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04.678 2021z3 2 Accession No. 11187678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무슨일 선집』은 팀 ‘새로운 질서 그 후’가 웹(World Wide Web)을 둘러싼 해외의 담론을 한국어로 번역해 출판하는 프로젝트이다. 창간호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요?』(2021)에서 웹의 기본 정신인 개방·공유·참여를 실천하는 방식을 소개한데 이어, 2호 『투명한 장벽, 플랫폼을 배반하기』에서는 ‘사용자 자율성’과 ‘탈플랫폼’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웹 생태계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글 여섯 편을 소개한다. 디자이너, 프로그래머, 편집자 등 각기 다른 배경을 지닌 작가들이 온라인상에 출판한 글들은 개인적인 경험을 담은 에세이에서부터 구체적인 행동을 위한 실용적 지침에 이른다.

『무슨일 선집』은 팀 ‘새로운 질서 그 후’가 웹(World Wide Web)을 둘러싼 해외의 담론을
한국어로 번역해 출판하는 프로젝트이다. 창간호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요?』(2021)에서
웹의 기본 정신인 개방·공유·참여를 실천하는 방식을 소개한데 이어, 2호 『투명한 장벽,
플랫폼을 배반하기』에서는 ‘사용자 자율성’과 ‘탈플랫폼’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웹 생태계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글 여섯 편을 소개한다. 디자이너, 프로그래머, 편집자 등 각기 다른
배경을 지닌 작가들이 온라인상에 출판한 글들은 개인적인 경험을 담은 에세이에서부터
구체적인 행동을 위한 실용적 지침에 이른다.
책의 시작을 알리는 글 「사용자 조건」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디자인된 인터페이스가 정보를
선별하는 방식과 절차에 있어 사용자의 참여를 배제하고 있음을 밝히며, 보이지 않는 권력의
존재를 환기한다. 이어지는 네 편의 글은 투명한 장벽 너머의 영역을 조명한다. 「오케이 구글:
내 계정 지워줘」는 거대 플랫폼인 구글로부터 벗어나고자 했던 시도를 통해 웃지 못할 공감을
자아내는 한편, 「나만의 소셜 네트워크 운영하기」는 온라인상에서 자체적인 플랫폼을 구축한
사례를 통해 대안적인 네트워크를 운영해야할 필요성을 역설한다.
「반문화를 죽인 건 인터넷이 아니다. 다만 인스타그램에서 찾아볼 수 없을 뿐」은 정치적
견해로부터 거대한 이익이 창출되는 인터넷 공간에서 진정한 반문화를 실천하는 것이 가능할지
질문하며, 이에 대한 반응으로 「소셜 미디어가 아닌 방식으로 일과 삶을 공유하는 100가지
방법」은 주변의 이웃과 마을, 지역을 중심으로 사회적 움직임을 실천하는 소소한 방법을 목록의
형태로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실은 글 「웹은 죽었다. 인터넷이여 영원하라」는 미국의 IT전문
매체 『와이어드』에 2010년 실린 기사로, 웹 2.0 초기에 자본주의의 순환 고리 안에서 웹을
내다보았다는 점에서 웹 3.0에 대한 서로 다른 해석이 충돌하는 오늘날 시사하는 바가 크다.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메타버스, NFT, 블록체인과 같은 현란한
용어가 기술 담론을 이끌고 있다. 인터넷과 웹의 시작이 인간의 정치적·사회적 욕망의 발현인
점을 돌이켜보면 오늘날 웹에 관한 논의는 경제적 가치에만 함몰된 것이 아닐까. 『투명한 장벽,
플랫폼을 배반하기』는 웹에 관한 논의를 사회문화적 관점으로 전환함으로써 기술을 둘러싼
담론을 다각화하고자 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크리스 앤더슨(지은이)

‘롱테일’과 ‘프리코노믹스(공짜경제학)’ 이론의 창시자. 특히 오픈하드웨어 분야의 독보적 트렌드 세터로서 늘 기존 산업계에서는 포착하지 못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하는 데 주력해왔다. 그는 또한 최신 IT 기술을 경제학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통찰력 있는 글쓰기로 유명한데 전작 『롱테일 경제학』과『프리』는 전 세계에 지적 충격을 선사하며 세계적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크리스 앤더슨은 조지워싱턴 대학에서 물리학을 전공한 후, UC버클리 대학에서 양자역학과 과학 저널리즘을 공부하였다. 그 후 로스알라모스 국립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다가 「이코노미스트」 인터넷 판의 미국·아시아 경제경영담당 편집자를 거쳐 과학지 「네이처」와 「사이언스」에서 과학기술 편집자로도 활약했다. 특히 그는 전 세계적으로 권위를 인정받는 IT 잡지 「와이어드」 편집장으로 12년간 일했는데 그의 재직 기간에 「와이어드」는 전미 매거진상 후보에 다수 올랐으며 2005년, 2007년, 2009년에는 최우수상을 받았다. 2007년에는 「타임지」 선정,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뽑히기도 했다. 또한 그는 어른을 위한 장남감인 원격조종 로봇 항공기를 다양한 형식으로 제조·판매하는 웹사이트 DIY 드론의 설립자이며 현재 무선항공기 자동조종장치 개발 기업인 3D 로보틱스의 CEO로 재직 중이다. 저자 블로그 www.makers-revolution.com 트위터 아이디 @chr1sa

실비오 로루소(지은이)

네덜란드 로테르담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이자 예술가, 디자이너. 기술 문화와 수사학적 체제에 중점을 두고 플랫 폼, 장치 및 인터페이스를 재정의하는 서사를 다룬다. 노동과 생산, 자율성에 대한 개념과 이를 둘러싼 긴장 관계에 주목하며, 에세이나 전시 큐레이팅, 공공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형식으로 이를 풀어낸다. silviolorusso.com

크리스 하트게링크(지은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이자 통계학자. 지식 배포 플랫폼 '리버티 사이언스 GmbH(Liberate Science GmbH)'을 설 립해 활동하고 있으며 온라인 출판 플랫폼 미디엄(medium)에서 미디어와 플랫폼에 관해 글을 쓰고 있 다. www.chjh.nl

다리우스 카제미(지은이)

기타 프로그래머이자 예술가로 활동하며 모질라 펠로우(Mozilla Fellow)의 지원을 받아 기술 협동조합 필 트레인(Feel Train)을 공동 설립했다. 현재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통해 인터넷 아트를 만들고, 최초의 365 IETF Request For Comments (RFC) 문서에 대해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 tinysubversions.com

캐롤린 버스타(지은이)

독일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이자 편집자, 컨설턴트로 문화와 기술, 글로벌리즘에 질문을 제기한다. 또한 네트워크 기술이 예술과 정치, 대중 문화에 미치는 새로운 영향을 다루는 미디어 플랫폼 '뉴 모델스(New Models)'를 창립했다. carolinebusta.github.io

마이클 울프(지은이)

작가이자 편집자. 기술이 문화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루는 웹진 와이어드(WIRED) 편집장을 역임하고 뉴스 큐레이팅 플랫폼 뉴서(Newser)를 공동 설립한 뒤 웹과 미디어 플랫폼에 관한 글을 쓰고 있다.

새로운 질서 그 후(엮은이)

웹(World Wide Web)의 기본 정신인 개방·공유·참여를 가치있게 여기며 오늘날 웹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탐구하는 실천적 공동체이다. 사용자 자율성, 웹 접근성, 플랫폼과 같은 이슈에 관심을 두고 이에 대한 의문과 실천을 웹사이트, 설치, 워크숍, 출판 등의 방식으로 선보인다. www.afterneworder.com

박재용(옮긴이)

큐레이터, 통번역가, 시각문화 및 예술 연구자, 작가. 한국예술종합학교 등에서 강의했고,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일민미술관,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APAP) 등에서 프로젝트 매니저, 큐레이터로 일했다. 십수 년간 수집한 예술과 이론 서가에 '서울리딩룸'이라는 이름을 붙여 운영 중이다. '뉴오피스'에서 일하며, 종로구 누하동에서 동료들과 공간을 운영한다. 2022년 '클링클랭클럽'을 설립했다. www.jaeyongpark.net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사용자 조건: 컴퓨터 주체성과 행위
오케이 구글: 내 계정 지워줘 (아니 잠깐만. 진짜 지우지는 말고)
나만의 소셜 네트워크 운영하기
반문화를 죽인 건 인터넷이 아니다. 다만 인스타그램에서 찾아볼 수 없을 뿐
소셜 미디어가 아닌 방식으로 일과 삶을 공유하는 100가지 방법
웹은 죽었다. 인터넷이여 영원하라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Culkin, John, (Software architect) (2023)
Nielsen, Michael A. (2022)
Dejonghe, Derek (2022)
Shrivastava, Saurabh (2022)
Qureshi, Hamid Mahmood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