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우리는 원래 간호사가 아닌 마녀였다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Ehrenreich, Barbara, 1941- English, Deirdre, 저 김서은, 역
Title Statement
우리는 원래 간호사가 아닌 마녀였다 / 바버라 에런라이크, 디어드러 잉글리시 지음 ; 김서은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라까니언,   2023  
Physical Medium
141 p. ; 19 cm
Varied Title
Witches, midwives, and nurses : a history of women healers
ISBN
9791198059802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125-127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Women in medicine --History Medicine --United States --History Women healers --United States --History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1955
005 20230220175210
007 ta
008 230220s2023 ulk b 000c kor
020 ▼a 9791198059802 ▼g 03330
035 ▼a (KERIS)BIB000016629510
040 ▼a 211048 ▼c 211048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610.69 ▼2 23
082 0 0 ▼a 610.82 ▼2 23
085 ▼a 610.69 ▼2 DDCK
090 ▼a 610.69 ▼b 2023
100 1 ▼a Ehrenreich, Barbara, ▼d 1941- ▼0 AUTH(211009)125023
245 1 0 ▼a 우리는 원래 간호사가 아닌 마녀였다 / ▼d 바버라 에런라이크, ▼e 디어드러 잉글리시 지음 ; ▼e 김서은 옮김
246 1 9 ▼a Witches, midwives, and nurses : ▼b a history of women healers
260 ▼a [서울] : ▼b 라까니언, ▼c 2023
300 ▼a 141 p. ; ▼c 19 cm
504 ▼a 참고문헌: p. 125-127
650 0 ▼a Women in medicine ▼x History
650 0 ▼a Medicine ▼z United States ▼x History
650 0 ▼a Women healers ▼z United States ▼x History
700 1 ▼a English, Deirdre, ▼e
700 1 ▼a 김서은, ▼e
900 1 0 ▼a 에런라이크, 바바라, ▼e
900 1 0 ▼a 잉글리시, 디어드러, ▼e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0.69 2023 Accession No. 11187678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저자 바버라 에런라이크와 디어드렁 잉글리쉬는 치료의 역사 속에서 사라진 여성의 흔적을 추적해 나간다. 그리고 그 결과 여성 치료사의 기원에 '마녀'의 존재가 있었음을 밝혀 낸다. 그녀들은 의사에게 가지 못 하는 민중을 위한 치료사였고 여성의 임신과 출산, 그리고 피임을 돕는 산파였다. 그러나 중세란, 질병을 신이 내린 벌이라고 생각하던 시기였고 성직자의 도움 없이 병을 치료했던 여성들은 마녀로 몰릴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폭력은 악마의 도움 없이는 여성이 똑똑할 수 없다는 당대의 믿음에 의해 정당화되었다.

사정은 과학혁명이 빛을 발하던 르네상스 시대 역시도 나아지지 않았다. 과학이 발전한 시대에도 여성들은 마녀로 몰려 계속해서 죽어 나갔다. 주도적으로 치료술을 행하던 여성들이 살해 당하면서 자신들의 고유한 영역을 지켜내지 못한 채 점차 밀려나게 된다. 여성은 대학에 진학할 수 없었고 교육의 기회가 차단되었으며 그 결과 의료 체계 내에서 여성에게는 간호사라는 자리만이 남게 된다. 유독 간호사 중 여성이 많은 이유는 억압과 차별의 산물이며 권력 투쟁에서 패배한 결과이다.

새롭게 다시 쓰는 간호의 역사
“과연 여성이 치료의 역사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적이 없었을까?”

의학의 역사 속 여성을 찾아보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나이팅게일 이후, 간호사라는 형태로 비로소 여성이 의학의 역사에 등장했다고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저자 바버라 에런라이크와 디어드렁 잉글리쉬는 치료의 역사 속에서 사라진 여성의 흔적을 추적해 나간다. 그리고 그 결과 여성 치료사의 기원에 '마녀'의 존재가 있었음을 밝혀 낸다. 그녀들은 의사에게 가지 못 하는 민중을 위한 치료사였고 여성의 임신과 출산, 그리고 피임을 돕는 산파였다. 그러나 중세란, 질병을 신이 내린 벌이라고 생각하던 시기였고 성직자의 도움 없이 병을 치료했던 여성들은 마녀로 몰릴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폭력은 악마의 도움 없이는 여성이 똑똑할 수 없다는 당대의 믿음에 의해 정당화되었다. 사정은 과학혁명이 빛을 발하던 르네상스 시대 역시도 나아지지 않았다. 과학이 발전한 시대에도 여성들은 마녀로 몰려 계속해서 죽어 나갔다. 주도적으로 치료술을 행하던 여성들이 살해 당하면서 자신들의 고유한 영역을 지켜내지 못한 채 점차 밀려나게 된다. 여성은 대학에 진학할 수 없었고 교육의 기회가 차단되었으며 그 결과 의료 체계 내에서 여성에게는 간호사라는 자리만이 남게 된다. 유독 간호사 중 여성이 많은 이유는 억압과 차별의 산물이며 권력 투쟁에서 패배한 결과이다.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의료 체계 내에서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위치와 현실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바버라 에런라이크(지은이)

미국의 사회 비평가, 정치 활동가, 저널리스트, 페미니스트다. 1941년 몬태나주에서 태어나 리드칼리지에서 화학과 물리학을 전공했으며 록펠러대학교 대학원에서 이론물리학, 분자생물학, 세포생물학을 공부하고 세포면역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뉴욕시 관리예산실 정책 분석가로 일했고 도시 빈민의 건강권을 옹호하는 NGO에서 활동했으며 여성 건강 운동에도 참여했다. 뉴욕주립대학교 올드웨스트버리캠퍼스 조교수를 지내다가 1972년부터 전업 작가로 나섰다. 첫 성공작이자 밀리언셀러에 오른 《노동의 배신》은 웨이트리스 등으로 일하며 최저 임금 수준의 삶을 직접 체험한 워킹 푸어 생존기로, 《가디언》이 발표한 '21세기 가장 뛰어난 책 100권'에 선정되었고, 신자유주의 시대 빈곤 문제를 다룬 '현대의 고전'으로 평가받는다. 그 외 대표작으로는 화이트칼라 구직 현장에 뛰어들어 중산층마저 무너져 내리는 현실을 보여 준 《희망의 배신》, 자본주의와 철저한 공생 관계를 맺고 있는 긍정 이데올로기의 문제점을 전방위로 파헤친 《긍정의 배신》 그리고 《오! 당신들의 나라》 《신을 찾아서》 《건강의 배신》 등이 있다. 《타임》 《하퍼스매거진》 《네이션》 《뉴욕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 《라이프》 《마더존스》 등 언론 매체에도 다양한 이슈의 글을 기고해 왔다. 건강, 평화, 여성의 권리, 경제적 정의 문제 개선에 이바지한 공로로 미국 인본주의 협회 '올해의 인본주의자' 상, 시드니 힐먼 상, 내셔널 매거진 어워드, 창조적 시민을 위한 퍼핀/네이션 상, 루스벨트연구소 '결핍으로부터 자유' 상, 포드재단 상, 구겐하임 상, 맥아더 상, 에라스무스 상, 이 책 《지지 않기 위해 쓴다Had I Known》로 2021년 펜 아메리카 문학상에서 '펜/다이아몬스타인 스필보겔' 상을 수상했다. 2022년 9월 향년 81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디어드러 잉글리시(지은이)

페미니스트 작가이자 교수로 1981년부터 1986년까지 진보 좌파 성향의 잡지 ≪마더 존스≫의 편집장이었으며 ≪네이션≫, ≪샌프란시스코≫, ≪샌프란시스코 일요신문≫, ≪보그≫ 등 많은 잡지와 텔레비전 및 라디오 다큐멘터리 작가 및 컨설턴트로 활동해 오고 있다. 현재 UC 버클리 저널리즘대학원에서 가르치고 있다.

김서은(옮긴이)

간호사로 일을 했었다. 현재는 LPI(Lacanian Praxis Insitute) 소속 정신분석가로 활동 중이며 대학원에서 철학을 공부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두 번째 판본 서문: 그 배경에 대하여
첫 번째 판본 서문
중세 시대의 마법과 의학
여성 그리고 미국 의학 전문가의 부상
결론
참고문헌
옮긴이 후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亜留間次郎 (2022)
McEwen, Melanie (2023)
임국환 (2022)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