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천경호 선생님의) 보통의 교실, 단단한 학급경영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천경호, 千景鎬, 1977-
Title Statement
(천경호 선생님의) 보통의 교실, 단단한 학급경영 / 천경호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우리학교,   2023  
Physical Medium
220 p. : 삽화 ; 21 cm
ISBN
9791167550927
General Note
부록: 글그릇 키우기 문장, 아이들이 쓴 글그릇 키우기 글모음, 가족 숙제 예시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218-220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1775
005 20230216134505
007 ta
008 230215s2023 ulka b 000a kor
020 ▼a 9791167550927 ▼g 0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1.102/4 ▼2 23
085 ▼a 371.1024 ▼2 DDCK
090 ▼a 371.1024 ▼b 2023
100 1 ▼a 천경호, ▼g 千景鎬, ▼d 1977- ▼0 AUTH(211009)147050
245 2 0 ▼a (천경호 선생님의) 보통의 교실, 단단한 학급경영 / ▼d 천경호 지음
260 ▼a 서울 : ▼b 우리학교, ▼c 2023
300 ▼a 220 p. : ▼b 삽화 ; ▼c 21 cm
500 ▼a 부록: 글그릇 키우기 문장, 아이들이 쓴 글그릇 키우기 글모음, 가족 숙제 예시
504 ▼a 참고문헌: p. 218-220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1024 2023 Accession No. 11187662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수많은 교사들의 사랑을 받은『교사의 말공부』의 저자 천경호가 20년 교직 생활 속에서 숱한 모색을 거쳐 고민하며 정립한 학급경영의 철학과 풍부한 실천 사례를 담은 책을 출간했다. 끊임없이 교육의 본질을 고민해온 저자는 학교와 교육의 기본을 다시 생각하고 아이들에 대한 이해부터 제대로 시작하자고 제안한다. 교실에서 부딪히는 모든 갈등의 순간에 교사에게는 길을 잃지 않을 나침반, 즉 학생에 대한 이해에 기반한 교육철학이 필요하다. 그래야 아이들과 제대로 대화할 수 있고, 학부모에게 자신의 교육 방식을 설득할 수 있다. 학교에서 이뤄지는 교육 활동에 대해 먼저 교사가 스스로 이해하고 받아들일 만한 이유, 교사가 부딪힌 벽이 무엇인지 먼저 알아야 제대로 소통하고 나아갈 수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이러한 교육철학을 바탕에 두고 저자는 ‘친구, 가족과 함께하는 학생’으로, ‘학생, 동료 교사, 학부모와 함께하는 교사’로 성장하는 교실의 모습을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그려나간다. 저자가 제시하는 다양하고 풍부한 실천 방법들은 단순한 기법이나 노하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교육의 본질을 향해 가는 사다리이자 교실 현장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길잡이가 된다. 기존의 실용적 팁과 매뉴얼 중심의 학급경영서의 한계를 뛰어넘는 이 책은 인문학적 학급경영의 가능성과 진수를 담고 있는 아주 특별한 책이라 할 수 있다.

『교사의 말공부』 천경호 선생님이 들려주는
기본기 탄탄한 학급경영, 함께 성장하는 교실

지금 진정 우리의 교실과 학교에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문제 상황으로 가득 찬 교실에서 길을 잃어버린 교사들에게 지금 무엇이 필요할까? 『교사의 말공부』의 저자 천경호 교사가 20년 교직 생활 속에서 숱한 모색을 거쳐 고민하며 정립한 학급경영의 철학을 담은 책을 출간했다.
그의 학급경영은 기존의 교실 관행과 이유를 묻지 않는 답습에서 벗어난다. 교실에서 부딪히는 모든 갈등의 순간에 교사에게는 길을 잃지 않을 나침반, 즉 학생에 대한 이해에 기반한 교육철학이 필요하다. 그래야 아이들과 대화할 수 있고, 학부모에게 자신의 교육 방식을 설득할 수 있다. 학교에서 이뤄지는 교육 활동에 대해 먼저 교사가 스스로 이해하고 받아들일 만한 이유, 교사가 부딪힌 벽이 무엇인지 먼저 알아야 제대로 소통하고 나아갈 수 있다.
학급을 경영하는 바탕에는 교사의 인간관, 가치관 같은 교육철학이 필요하고, 그 철학과 이론을 바탕으로 해야만 단단하게 중심을 잡은 실천이 펼쳐질 수 있다. 그렇다고 이론과 철학이 거창하고 어려운 것만은 아니다. 바로 교사의 말과 행동, 행위와 평가의 기준점이 되는 관점을 세우는 것이다.
저자 역시 여느 교사들과 마찬가지로 오랫동안 고민하고 헤매는 시간을 보냈다. 날마다 조금씩 책을 읽고, 강의를 듣고, 교육학, 심리학, 뇌과학 등 다양한 논문을 읽으며 비로소 자신의 관점을 세울 수 있었다. 그렇게 할 수 있었던 동력은 바로 교사인 자신의 작은 그릇을 드러나게 한 아이들, 부족한 자신이 공부하도록 영감을 준 학자들과 그들의 저술이었다. 교사로서 거듭 태어나기 위한 그의 분투는 치열한 성장의 과정이기도 했다. 아이들과 학교, 그리고 학교를 둘러싼 세계까지를 온전히 이해하고자 하는 교사의 성장이었다. 그 씨앗은 아이들과 학부모들, 동료 교사들의 성장 또한 촉진하는 토양이 되었다.
저자의 학급경영은 기본기와 관점이 탄탄하다. 일상에서 비롯되지만, 교육의 핵심과 본질을 관통한다. 아이들과 학부모를 대하는 관점 자체가 다른 지형에서 출발한다. 저자가 교육의 본질을 끊임없이 중심에 두고 사고하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는 아이에게 진정 중요한 물음을 묻고 있는가?
단순한 기법과 실용적인 매뉴얼을 뛰어넘는
일상에서 실천하는 교육과 배움, 그리고 소통의 단단한 방법론!

저자가 제시하는 구체적인 학급경영의 실천 방법들은 단순한 기법이나 노하우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탄탄한 교육철학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에 교육의 본질을 향해 가는 사다리가 된다. 예를 들면 저자가 아이들에게 강조하는 꼭 지켜야 할 규칙 두 가지가 그렇다. 수많은 교실에서 학급회의를 통해 아이들이 학급 규칙을 만들고 지키도록 하고 있지만 저자는 오히려 학급 규칙을 간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아이들 간의 격차를 고려하고 교사가 부재해도 스스로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판단할 수 있는 내적 기준을 세워주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저자가 강조하는 규칙 두 가지란 ‘매사에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고 있는가?’ ‘지금 내 옆에 있는 사람에게 선을 베풀고 있는가?’이다. 자신과 타인 모두를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묻는 아이로 기르고자 함이다.
학년 초부터 학년 말까지 시기별로 할 수 있는 이벤트를 나열하는 일반적인 학급경영 책들과 달리 저자는 ‘소통’을 중심에 둔 실천 방법을 안내한다. ‘학생과 함께 하는 교사’ ‘가족과 함께하는 학생’ ‘친구와 함께하는 학생’ ‘동료와 함께하는 교사’ ‘학부모와 함께하는 교사’로 이어지는 구체적인 실천 사례들을 하나하나 따라가다 보면 교실이라는 공간이 어떤 곳이어야 하는지가 머릿속에 그려진다.

사람과 사회, 사람과 자연이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지 알게 해 균형 있고, 넓은 시야를 갖게 해주는 곳, 새롭고 다양한 타인과의 관계 경험을 제공해 외로움 대신 친밀감을, 고립 대신 우정을 배우고 가질 수 있게 도와주는 곳. 이곳이 바로 학교이고 교실이 아닐까?
_본문 중에서

저자가 제시하는 학급경영 방법들은 모두 학생의 성장을 목적으로 실현된다. 간단하지만 효과적인 도전 과제, 학생들의 자존감 높이기, 경쟁이 아니라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관점 전환(성장형 사고방식) 가르치기, 글쓰기를 통한 생각 키우기와 공부의 힘 배우기 등이 그 예이다.
현재 이루어지는 생활교육에 대한 비판도 중요하게 거론된다. 학교폭력예방교육의 한계를 지적하는 저자가 실천하고 있는 ‘우정 교육’ ‘용서와 사과 수업’은 적대감으로 일그러진 우리 교실에 진정 무엇이 필요한지를 깨닫게 한다.
저자는 교사뿐 아니라, 학교라는 공동체 안에 존재하는 다양한 교육공동체 구성원에 대한 감사 또한 아이들에게 일깨운다. 그럴 때 아이들 역시 학교에서 보내는 순간이 소중하고 의미 있는 시간임을 깨닫고, 아울러 그 고마움을 아이들이 전할 때 학교의 모든 구성원이 각자가 하는 일의 의미를 깨달을 수 있기에 교육공동체가 함께 성장할 수 있다고 말한다.
학교와 교육에 대한 비관론도 넘치지만, 여전히 학교는 가장 중요한 공공의 영역이다. 그러기에 저자는 강조한다. 모두의 최선이 헛되지 않도록 돕기 위해 존재하는 곳이 학교이고 교실이라는 것. 모두의 더 나은 최선을 돕기 위해 필요한 것이 교육이라는 것. 이것이 헛되지 않도록 학교라는 모두를 위한 공간에서, 학교와 교실이란 최일선에서 이 책이 길을 잃은 교사들에게 나침반이 되어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이다.
이 책은 기존의 실용적 팁과 매뉴얼의 한계를 뛰어넘는, 인문학적·교육학적 학급경영의 가능성과 진수를 보여주는 아주 특별한 책이라 할 수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천경호(지은이)

성숙한 타인과의 상호작용이 사람을 성장시킨다고 믿는다. 날마다 지각하던 아이가 지각하지 않는 것, 책을 싫어하던 아이가 책에 흥미를 보이는 것, 매시간 친구와 다투던 아이가 친구들과 사이좋게 지내는 것이 수능 만점을 받는 것보다 더 훌륭하고 가치 있는 교육의 성과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아이들 개개인의 삶에 관심을 기울이고, 아이를 둘러싼 가족, 친구, 사회 구성원과 의미 있는 관계를 맺도록 돕는 것이 ‘자연에서 사람과 어울리는 법을 배우는 곳’, 즉 학교學校라는 글자에 어울린다고 느낀다. 학생, 학부모, 교사를 비롯한 학교 구성원 모두 서로의 일이 갖는 가치를 알아주는 보답이 모든 아이를 더 나은 사람으로 성장시키는 것이라 여기며, 교사로서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경기도교육청 소속 초등교사로 재직 중이며 실천교육교사모임에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아이와 세상을 잇는 교사의 말공부』, 『아빠의 말공부』, 『교사의 삶을 담는 작은 글그릇』, 『마음과 마음을 잇는 교사의 말공부』, 『날마다 조금씩 자라는 아이들』, 『리질리언스: 다시 일어서는 힘』이 있고, 함께 쓴 책으로 『대한민국 교육트렌드 2022』, 『사라진 교사를 찾습니다』, 『교사, 교육개혁을 말하다』가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들어가는 말∥ 모든 게 교실에 필요했다: 철학이 있는 학급경영, 성장하는 교실을 향하여 6

1부 학급경영의 이론적 바탕

1장 학생을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14
관점 1: 리질리언스(외상후 성장) 15
관점 2: 자기결정성 19

2장 학생을 이해하는 두 가지 관점 21
관점 1: 지능이원론과 발달의 결정적 시기 24
관점 2: 식사, 수면, 운동, 학습, 관계 27

2부 철학과 이론 위의 학급경영 실천

1장 학급경영의 원칙과 다짐: 첫 번째 40
학급 규칙 간소화하기 41
행복한 등굣길과 행복한 하굣길을 위해 54
D-Day 정하기: 마감 효과 deadline effect 노리기 56
사전 안내와 예측 가능성 높이기 58

2장 학급경영의 원칙과 다짐: 두 번째 60
한 학기에 두 번 자리 바꾸기 60
교사의 자기 개방과 권위 쌓아가기 63
담임 소개서 쓰기 64
일대일 면담하기 70
헤어지는 날 손편지 써주기 7

3장 학생과 함께하는 교사 83
Change&Challenge 참여하기와 M.I.P 선정하기 84
글그릇 키우기 90
작가노트 글쓰기 94

4장 가족과 함께하는 학생 97
부모님 편지 쓰기 프로젝트 98
생일 프로젝트 진행하기 102
가족 숙제 내주기 112

5장 친구와 함께하는 학생 121
우정 가르치기 122
용서와 사과 가르치기 134

6장 동료와 함께하는 교사 143
스승의 날 특별 프로젝트 추진하기 144
교사 콘퍼런스와 자조집단 만들기 149

7장 학부모와 함께하는 교사 154
학부모 공부모임 만들기 155
학부모교육의 필요 172
학부모 편지 보내기 174
학부모 상담하기 178

나가는 말∥ 모두의 더 나은 최선을 위해 존재하는 곳, 학교 188
부록 ∥글그릇 키우기 문장 200 / 아이들이 쓴 글그릇 키우기 글모음 212 / 가족 숙제 예시 216
참고문헌 218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민지 (2023)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2023)
이병환 (2023)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