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어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 연구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王思宇
서명 / 저자사항
한국어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 연구 / 왕사우
발행사항
서울 :   역락,   2023  
형태사항
318 p. ; 23 cm
ISBN
9791167424419
일반주기
부록: 1. 조사 결합형 명사의 목록, 2. 어미 결합형 명사의 목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98-309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1774
005 20230216134349
007 ta
008 230215s2023 ulk b 000a kor
020 ▼a 9791167424419 ▼g 9371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495.7554 ▼2 23
085 ▼a 497.554 ▼2 DDCK
090 ▼a 497.554 ▼b 2023
100 1 ▼a 王思宇
245 1 0 ▼a 한국어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 연구 / ▼d 왕사우
260 ▼a 서울 : ▼b 역락, ▼c 2023
300 ▼a 318 p. ; ▼c 23 cm
500 ▼a 부록: 1. 조사 결합형 명사의 목록, 2. 어미 결합형 명사의 목록
504 ▼a 참고문헌: p. 298-309
536 ▼a 이 책은 2022年中山大學高校基本科研業務費青年教師團隊項目의 지원을 받음 ▼g (項目批準號: 22qntd5301)
900 1 0 ▼a Wang, Siyu,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54 2023 등록번호 11187662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국어의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를 집중적으로 조명하는 책이다. 한국어의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개념과 범위를 밝히고, 그 유형과 명사 형성 체계 내에서의 위치 등을 살펴보았다. 특히 단어의 형성적 측면에 초점을 두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형성법적 측면과 관련하여서는 명사 형성에 참여하는 요소의 특성, 핵의 위치에 따른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특성,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유형론적 특성 등의 세 가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의미적 특성을 해당 명사를 구성하는 요소와 단어 전체의 의미 사이의 상관성을 바탕으로 의미적으로 투명한 경우, 반투명한 경우, 불투명한 경우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기존 논의에서 관심을 두지 못하였던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를 본격적으로 고찰하고 그 특성을 세분화하여 살펴보아 단어 형성론 연구의 저변을 넓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 책은 한국어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를 다룬다. 명사 형성 체계를 다룬 기존 논의에서는 합성 명사와 파생 명사를 위주로 연구를 진행하여 왔다. 그러나 한국어의 명사에는 합성 명사나 파생 명사로 분류하기 어려운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가 상당수를 차지한다. 조사와 어미는 교착어로서의 한국어의 특성을 보여 주는 문법 요소로, 명사 또는 명사구나 어간에 결합하여 구를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조사와 어미가 단어 형성에 참여하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점이다. 이 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한국어의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를 집중적으로 조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한국어의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개념과 범위를 밝히고, 그 유형과 명사 형성 체계 내에서의 위치 등을 살펴보았다. 단어 형성에 참여하는 조사나 어미의 종류에 따라 그 유형을 나누면, 조사 결합형 명사는 ‘관형격 조사 결합형 명사’, ‘처소격 조사 결합형 명사’, ‘보조사 결합형 명사’로, 어미 결합형 명사는 ‘전성어미 결합형 명사’, ‘연결어미 결합형 명사’, ‘종결어미 결합형 명사’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책은 이러한 한국어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았는데, 특히 단어의 형성적 측면에 초점을 두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형성법적 측면과 관련하여서는 명사 형성에 참여하는 요소의 특성, 핵의 위치에 따른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특성,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유형론적 특성 등의 세 가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의미적 특성을 해당 명사를 구성하는 요소와 단어 전체의 의미 사이의 상관성을 바탕으로 의미적으로 투명한 경우, 반투명한 경우, 불투명한 경우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 책은 기존 논의에서 관심을 두지 못하였던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를 본격적으로 고찰하고 그 특성을 세분화하여 살펴보아 단어 형성론 연구의 저변을 넓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2장에서는 이 책의 내용 전개를 위한 기본적인 이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한 이론으로서 어휘적 단어의 개념, 단어 형성 기제로서의 규칙과 유추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 책에서 다루고자 하는 단어 내에서 나타나는 조사나 어미의 지위, 조사 또는 어미 결합형 명사의 개념과 종류를 확인한다. 또한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형성에 대한 다양한 접근법 등을 소개하고 본서의 입장을 제시하고자 한다.
3장에서는 조사 결합형 명사를 살펴본다. 이들은 조사의 종류에 따라 격조사 결합형 명사와 보조사 결합형 명사로 나눌 수 있으며, 격조사 결합형 명사는 다시 관형격조사 ‘의’ 결합형 명사와 처소격 조사 ‘에’ 결합형 명사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이 책의 연구 내용에 해당하는 보조사 결합형 명사에 비해 격조사 결합형 명사의 수가 상당히 많다는 점을 고려하여 격조사 결합형 명사와 보조사 결합형 명사의 두 개의 큰 부류로 나누지 않고 관형격 조사 ‘의’ 결합형 명사, 처소격 조사 ‘에’ 결합형 명사와 보조사 ‘도’ 결합형 명사의 차례로 검토할 것이다.
4장에서는 어미 결합형 명사를 대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어미는 어말어미와 선어말어미로 나눌 수 있으며, 어말어미는 다시 종결어미와 비종결어미로 나뉘며 비종결어미는 전성어미와 연결어미로 나뉜다. 이에 따라 어미 결합형 명사도 이러한 층위에 맞추어 분류해야 하나 선어말어미 결합형 명사는 극히 소수에 불과하여 따로 다룰 만한 성격의 것이 되지 못하고, 종결어미 결합형 명사 역시 그 수가 비종결어미 결합형 명사에 비해서는 적은 편이다.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4장에서는 어미 결합형 명사를 전성어미 결합형 명사(명사형 어미 결합형 명사와 관형사형 어미 결합형 명사), 연결어미 결합형 명사, 종결어미 결합형 명사 등의 셋으로 나누어 논의를 전개할 것이다. 이러한 체계 속에서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양상과 각각의 구체적인 형성 방법을 논의한다.
5장에서는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가 파생 명사, 합성 명사와의 다름을 확인하고, 이들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가 파생 명사나 합성 명사에 속하는 부류가 아니라 단어 형성 체계 내에서 독립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음을 밝힐 것이다. 그 다음으로 더 나아가 조사․어미 결합형 명사의 의미적 특성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6장에서 이 책의 주요 내용을 정리하고 향후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도록 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왕사우(지은이)

중국 요녕성(遼寧省) 해성시(海城市) 출생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2019) 중국 중산대학교 국제통번역대학 한국어학과 박사후 연구원(2020~2022) 현재 중국 중산대학교 국제통번역대학 한국어학과 연구원 <주요 논문> 「한국어 ‘N1+의+N2’형 단어에 대한 고찰」(2016)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N+genitive marker+N’형 단어」(2017) 「한국어 ‘X+에(ㅅ)+X’형 명사에 대한 연구」(2018) 「다른 언어와의 비교를 통한 한국어 동철대립어 연구」(2018) 「한국어 조사․어미 결합형 식물 명칭의 형성 연구」(2021) 「韓國語 助詞․語尾 結合型 名詞의 意味 透明性 및 單語 認知」(2022)

정보제공 : Aladin

목차

1장 총론

1.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2. 선행 연구 검토
1.2.1. 명사 형성법과 관련된 선행 연구
1.2.2. 조사ㆍ어미 결합어와 관련된 선행 연구
1.3. 본서의 구성

2장 기본적 논의

2.1. 논의를 위한 이론적 기초
2.1.1. 어휘적 단어의 개념 및 범위
2.1.2. 단어성
2.1.3. 통사적 요소와 접사
2.2. 조사ㆍ어미 결합형 명사의 개념과 범위
2.2.1. 조사ㆍ어미 결합형 명사의 개념 및 종류
2.2.2. 조사ㆍ어미 결합형 명사의 형성
2.3. 조사ㆍ어미 결합형 명사와 명사 형성 체계

3장 조사 결합형 명사

3.1. 관형격 조사 ‘의’ 결합형 명사
3.1.1. 관형격 조사 ‘의’ 결합형 명사의 양상
3.1.2. 관형격 조사 ‘의’ 결합형 명사의 형성
3.2. 처소격 조사 ‘에’ 결합형 명사
3.2.1. 처소격 조사 ‘에’ 결합형 명사의 양상
3.2.2. 처소격 조사 ‘에’ 결합형 구성의 변천
3.2.3. 처소격 조사 ‘에’ 결합형 명사의 형성
3.3. 보조사 ‘도’ 결합형 명사
3.3.1. 보조사 ‘도’ 결합형 명사의 양상
3.3.2. 보조사 ‘도’ 결합형 명사의 형성
3.4. 소결


4장 어미 결합형 명사

4.1. 전성어미 결합형 명사
4.1.1. 명사형 어미 ‘-(으)ㅁ, -기’ 결합형 명사
4.1.2. 관형사형 어미 ‘-(으)ㄴ, -(으)ㄹ’ 결합형 명사
4.2. 연결어미 ‘-아/어’ 결합형 명사
4.2.1. 연결어미 ‘-아/어’ 결합형 명사의 양상
4.2.2. 연결어미 ‘-아/어’ 결합형 명사의 형성
4.3. 종결어미 ‘-다, -해, -해요, -구려, -자, -료(-리오), -더라, -지마, -라’ 결합형 명사
4.3.1. 종결어미 결합형 명사의 양상
4.3.2. 종결어미 결합형 명사의 형성
4.4. 소결

5장 조사ㆍ어미 결합형 명사의 특성

5.1. 조사ㆍ어미 결합형 명사의 형성법적 특성
5.1.1. 조사ㆍ어미 결합형 명사 형성에 참여하는 요소의 특성
5.1.2. 핵의 위치에 따른 조사ㆍ어미 결합형 명사의 특성
5.1.3. 조사ㆍ어미 결합형 명사 형성의 유형론적 특성
5.2. 조사ㆍ어미 결합형 명사의 의미적 특성
5.2.1. 의미적으로 투명한 조사ㆍ어미 결합형 명사
5.2.2. 의미적으로 반투명한 조사ㆍ어미 결합형 명사
5.2.3. 의미적으로 불투명한 조사ㆍ어미 결합형 명사
5.3. 소결

6장 맺음말

6.1. 요약
6.2. 연구의 의의 및 남은 문제

참고문헌

〈부록 1〉 조사 결합형 명사의 목록
〈부록 2〉 어미 결합형 명사의 목록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