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쉬운 우리말로 고쳐 읽는) 대통령 연설문 : 문재인 대통령 연설문으로 정리한 '공적 글쓰기의 기준'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차광주, 1958-
Title Statement
(쉬운 우리말로 고쳐 읽는) 대통령 연설문 : 문재인 대통령 연설문으로 정리한 '공적 글쓰기의 기준' / 차광주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이상북스,   2022  
Physical Medium
272 p. : 삽화, 초상화 ; 21 cm
ISBN
9788993690590
General Note
색인수록  
주제명(개인명)
문재인,   文在寅,   1953-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1575
005 20230214145934
007 ta
008 230214s2022 ulkac 001c kor
020 ▼a 9788993690590 ▼g 03800
035 ▼a (KERIS)BIB000016216569
040 ▼a 011001 ▼c 011001 ▼d 211009
082 0 4 ▼a 352.238095195 ▼2 23
085 ▼a 352.2380953 ▼2 DDCK
090 ▼a 352.2380953 ▼b 2022z6
100 1 ▼a 차광주, ▼g 1958- ▼0 AUTH(211009)149587
245 2 0 ▼a (쉬운 우리말로 고쳐 읽는) 대통령 연설문 : ▼b 문재인 대통령 연설문으로 정리한 '공적 글쓰기의 기준' / ▼d 차광주 지음
260 ▼a 서울 : ▼b 이상북스, ▼c 2022
300 ▼a 272 p. : ▼b 삽화, 초상화 ; ▼c 21 cm
500 ▼a 색인수록
600 1 4 ▼a 문재인, ▼g 文在寅, ▼d 1953-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2.2380953 2022z6 Accession No. 11187657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대통령 연설문은 국정철학과 그 구체적 행보를 제시한다. ‘기회는 평등하고, 과정은 공정하고, 결과는 정의로울 것’이라는 취임사부터 많은 국민의 마음과 생각을 움직였던 문재인 대통령의 연설문은 ‘나라다운 나라’를 이루기 위한 깊은 고뇌와 성찰, 실천 과제와 비전을 담고 있다.

이 책은 문재인 대통령의 2017년 5월 10일 ‘대통령 취임 선서문’부터 2021년 1월 ‘신년사’까지 총 18편의 연설문을 골라 뽑아 ‘쉬운 우리말’로 고쳐서 연설문 원문과 함께 수록했다. 연설문들은 사람 중심의 성장과 상생을 통해 국민이 주인이 되는 민주공화국을 실현하기 위해 달려온 문재인 정부 지난 5년의 족적과 정치‧사회의 흐름까지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문재인 대통령 연설문’, 뜻은 살리고 누구나 알기 쉽게!

대통령 연설문은 국정철학과 그 구체적 행보를 제시한다. ‘기회는 평등하고, 과정은 공정하고, 결과는 정의로울 것’이라는 취임사부터 많은 국민의 마음과 생각을 움직였던 문재인 대통령의 연설문은 ‘나라다운 나라’를 이루기 위한 깊은 고뇌와 성찰, 실천 과제와 비전을 담고 있다.
이 책은 문재인 대통령의 2017년 5월 10일 ‘대통령 취임 선서문’부터 2021년 1월 ‘신년사’까지 총 18편의 연설문을 골라 뽑아 ‘쉬운 우리말’로 고쳐서 연설문 원문과 함께 수록했다. 연설문들은 사람 중심의 성장과 상생을 통해 국민이 주인이 되는 민주공화국을 실현하기 위해 달려온 문재인 정부 지난 5년의 족적과 정치‧사회의 흐름까지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나라의 모든 사안에서 대통령의 리더십이 어떻게 제시되고 구현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대통령 연설문의 중요성을 생각할 때 한 사람이라도 많은 국민이 그것을 정확히 이해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통령 연설문이 어느 글보다 쉽게 씌어야 하는 이유다.
이 책의 저자는 ‘공적 문서’의 대표 격인 대통령 연설문을 쉽고 바른 우리글로 써야 함을 강조하면서 ‘쉬운 우리글 쓰기 기준’(본문 16-17쪽 “일러두기: 다듬어 고친 기준” 참조)에 따라 문재인 대통령의 연설문을 다듬어 고쳤다.

공적 글쓰기의 기준: 어떻게 쓰면 온 국민이 알아들을 수 있을까?

저자는 ‘말은 서로 알아들을 수 있어야 하고, 글은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려면 말과 글이 하나가 되어야 하고, 말과 글이 반드시 하나가 되어야 하는 글의 가장 앞에 ‘대통령 연설문’이 있다고 말한다. 대통령 연설문은 초등학생이나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이라도 누구나 라디오나 텔레비전으로 들을 때 머리에 쏙쏙 들어와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야 대통령의 느낌과 생각이 국민 마음속에 흘러넘쳐서 다른 사람이 엉뚱한 말을 하더라도 그 말에 속아 넘어가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오랫동안 출판사에서 기획‧편집‧마케팅부터 경영‧관리 업무까지 두루 경험한 저자는 보리출판사 대표로 일할 때도 동료들과 문집을 만들고 〈월간 작은책〉을 창간한 것에서 알 수 있듯 보통 사람들의 ‘글쓰기’에 관심이 많았다. 1998년 충청북도 괴산으로 귀농해 살다가 “방송에 나오는 말의 절반도 못 알아먹는다”는 한 마을 아주머니의 말에 충격을 받고 그때부터 방송에 나오는 말들을 유심히 살피기 시작했다. 한자와 외래어가 넘쳐나는 TV 프로그램은 물론 마을 이장을 대상으로 한 정부 부처의 ‘공문’은 때때로 ‘대학 나온’ 저자조차 이해하기 어려운 낱말투성이였다.
국어기본법 제14조 1항에는 “공공기관 등은 공문서를 일반 국민이 알기 쉬운 용어와 문장으로 써야 하며, 어문 규범에 맞추어 한글로 작성해야 한다. 다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괄호 안에 한자 또는 다른 외국 글자를 쓸 수 있다”고 되어 있다. 저자는 묻는다. “과연 우리나라 공무원과 방송인은 이 조항을 알고나 있을까?”
한글을 만든 세종대왕이 쓴 훈민정음의 머리말을 되새기며, 말과 글은 쉬워야 한다고 주장하는 저자가 다듬어 고친 문재인 대통령 연설문을 한 문장 한 문장 살펴보면서 이해하기 쉬운 글을 쓰는 또 하나의 길을 찾아보자.

우리가 날마다 일하고 살면서 어떻게 말하나

저자는 ‘우리가 일하고 살면서 어떻게 말하나’를 기준으로 삼아 글을 써야 쉽고 바르게 쓸 수 있다고 말한다. 구어체와 문어체의 차이를 최대한 줄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 예시 작업을 위해 저자는 세종대왕을 닮고 싶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연설문을 선택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주요 연설문을 보다 많은 사람이 곧바로 쉽게 이해하도록 ‘다듬어 고친’ 저자의 문장들을 찬찬히 따라가면서 온갖 외래어와 줄임말이 차고 넘치는 가운데 어떻게 우리 말과 글의 고유함을 지켜내면서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을지 고민해보자.
책 앞부분의 “일러두기: 다듬어 고친 기준”은 이 책에서 어떤 기준으로 대통령 연설문을 고쳤는지 밝히는 동시에 쉬운 우리글을 쓰는 데 기본이 되는 내용을 알려준다. 그리고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연도별로 대통령 연설문 원문과 ‘다듬어 고친 내용’을 제시한다. 각 페이지 아래 조금 긴 ‘주’를 달아서 저자의 좀 더 친절한 설명을 덧붙였다. “부록: 찾아보기”는 낱말이나 문장을 고칠 때 찾아볼 수 있는 책 속 작은 사전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차광주(지은이)

1958년생.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했다.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깨어나야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믿음으로 산다. 노동 현장에 있을 때도 동료들과 함께 글을 쓰고 문집을 만드는 일을 했고, 보리출판사 대표로 일할 때도 〈월간 작은책〉을 창간하고 《일하는 사람들의 글쓰기》란 책을 엮었다. 1998년 충북 괴산으로 귀농해 마을공동체를 되살리는 일을 하다가 2012년 사람들과 괴산언론협동조합을 만들어 인터넷신문 〈느티나무통신〉을 펴내고 있다. 2014년부터 괴산 주민과 함께 틈틈이 글쓰기 공부를 했다. 세종대왕을 닮고 싶다는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할 때부터 연설문을 관심 있게 지켜보다가 이 책을 썼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추천하는 글
머리말

일러두기: 다듬어 고친 기준

1부 2017년: “대화하고 소통하는 대통령이 되겠습니다”
-대통령 취임 선서문
-제19대 대통령 취임식
-제37주년 5ㆍ18민주화운동 기념식
-노무현 대통령 서거 8주기 추도식
-제17주년 6ㆍ15남북공동선언 기념식
-원자력발전소 고리1호기 영구 정지 선포식
-김대중 대통령 서거 8주기 추도사

2부 2018년: “더 좋은 민주주의를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제31주년 6ㆍ10민주항쟁 기념식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날 기념식
-제73주년 광복절 및 정부수립 70주년 경축식
-장진호 전투 영웅 추도 메시지
-2018 인권의날 기념식

3부 2019년: “더디더라도 민주주의 절차를 존중하고 끝까지 지킬 것입니다”
-2019년 기해년 신년회
-대전의 꿈, 4차 산업혁명 특별시 보고회
-제100주년 3ㆍ1절 기념식
-근로자의날 메시지

4부 2020-2021년: “위기일수록 서로의 손을 잡고 함께 가야 합니다”
-2020년 신년사
-2021년 신년사

부록: 찾아보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정창수 (2022)
김대현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