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기후·환경 저널리즘의 범주와 활성화 방안

기후·환경 저널리즘의 범주와 활성화 방안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진민정 이봉현, 李逢鉉, 1965-, 저 문영은, 저
Title Statement
기후·환경 저널리즘의 범주와 활성화 방안 / 진민정, 이봉현, 문영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언론진흥재단,   2022  
Physical Medium
196 p. : 도표 ; 23 cm
Series Statement
연구서 ;2022-07
ISBN
9788957116654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193-196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1573
005 20230214145215
007 ta
008 230214s2022 ulkd b 000a kor
020 ▼a 9788957116654 ▼g 930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070.4/493637 ▼2 23
085 ▼a 070.4493637 ▼2 DDCK
090 ▼a 070.4493637 ▼b 2022
100 1 ▼a 진민정 ▼0 AUTH(211009)145660
245 1 0 ▼a 기후·환경 저널리즘의 범주와 활성화 방안 / ▼d 진민정, ▼e 이봉현, ▼e 문영은
260 ▼a 서울 : ▼b 한국언론진흥재단, ▼c 2022
300 ▼a 196 p. : ▼b 도표 ; ▼c 23 cm
490 1 0 ▼a 연구서 ; ▼v 2022-07
504 ▼a 참고문헌: p. 193-196
536 ▼a 이 보고서는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음
700 1 ▼a 이봉현, ▼g 李逢鉉, ▼d 1965-, ▼e▼0 AUTH(211009)131985
700 1 ▼a 문영은, ▼e
830 0 ▼a 연구서 (한국언론진흥재단) ; ▼v 2022-07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70.4493637 2022 Accession No. 11187657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과연 수용자들은 기후위기 보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을까? 수용자들이 기후위기 보도에 관심이 없는 것일까 아니면 언론이 그들이 원하는 방식으로 기후위기를 다루지 않는 것일까? 이 책은 바로 이런 의문들에서 출발했다.

이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이 책의 저자들은 MZ세대와 심층인터뷰를 진행했고, 2천 명의 수용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기후위기 보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 더불어 좋은 기후위기 보도 사례를 제시하고, 이 분야만의 특수성 혹은 제약을 극복하고자 하는 각국의 다양한 시도와 국내외 전문가들의 아이디어를 수집했다. 그리고 그 결과를 종합해 기후·환경 저널리즘의 전문성 강화 방안을 제시했다.

기후위기가 인류가 당면한 가장 중요한 문제로 부상하면서 전 세계의 수많은 언론사는 기후위기를 ‘우선순위’로 선정하고 뉴스룸을 개편하기 시작했다. 또한 기후·환경 저널리즘에 특화된 전문 교육을 실시하는 교육기관이나 언론사들도 늘고 있고, 기후위기 보도에 더 많은 공간을 할애할 것을 요구하는 시민사회의 목소리도 크다. 반면, 국내 언론에서 기후위기는 여전히 부차적인 주제로 인식되고 있다. 거기에는 수용자들이 기후위기 보도에 관심이 없을 것이라는 언론의 섣부른 추측도 주요 원인으로 자리하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수용자들은 기후위기 보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을까? 수용자들이 기후위기 보도에 관심이 없는 것일까 아니면 언론이 그들이 원하는 방식으로 기후위기를 다루지 않는 것일까? 이 책은 바로 이런 의문들에서 출발했다. 이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이 책의 저자들은 MZ세대와 심층인터뷰를 진행했고, 2천 명의 수용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기후위기 보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 더불어 좋은 기후위기 보도 사례를 제시하고, 이 분야만의 특수성 혹은 제약을 극복하고자 하는 각국의 다양한 시도와 국내외 전문가들의 아이디어를 수집했다. 그리고 그 결과를 종합해 기후·환경 저널리즘의 전문성 강화 방안을 제시했다.
본 연구가 기후위기 보도의 바람직한 방향을 고민하는 언론에 새로운 실마리를 제공하고, 나아가 국내 기후·환경 저널리즘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진민정(지은이)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이다. 한국외대 불어과를 졸업했으며, 파리10대학에서 정보커뮤니케이션학 석사학위를, 파리2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 연구 분야는 참여 저널리즘, 언론 산업, 소셜 미디어 시대의 집합행동 등이고, 현재 청소년 미디어 이용 방식에 적합한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을 연구 중이다. 저서로는 <밀레니얼 세대를 위한 뉴스 전략>(공저, 2019), <솔루션 저널리즘의 현황과 가능성>(2019), <저널리즘의 품질: 평가기준과 모델>(공저, 2014), 논문으로는 “Repertoires d’action collective a l’ere de la masse individualisee: le cas des manifestations aux bougies et du mouvement OWS”(2019) 등이 있다.

이봉현(지은이)

문영은(지은이)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01. 서론
1. 비상한 시대의 기후위기 보도
2. 기후위기 보도의 심화: 관점, 방향, 방법
3. 국내 기후위기 보도의 진화와 한계
4. 연구 방법 및 연구서 구성

02. 기후위기 보도의 특수성과 각국의 새로운 시도들
1. 기후위기 보도의 특수성
2. 미국, 기후위기 저널리즘의 전환
3. 프랑스,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기후위기 보도

03. 기후위기 보도에 대한 수용자 인식 조사
1. MZ세대 수용자 심층 인터뷰
2. 기후위기 및 기후위기 보도에 대한 수용자 인식 조사

04. 좋은 기후위기 보도 사례
1. 기후위기를 실감하도록 돕는 시각적 기사
2. 기후위기에 대한 인식과 행동 변화에 기여하는 기사

05. 기후위기 보도의 전문성 강화 방안
1. 교육과 재교육 확충
2. 기후위기 저널리즘 헌장 제정 등 규범화
3. 협력과 협업
4. 인센티브 강화

참고문헌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조용중 선생 추모문집간행위원회 (2022)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인터넷선거보도심의위원회 (2022)
엄기영 (2023)
김경모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