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1571 | |
005 | 20230214144416 | |
007 | ta | |
008 | 230214s2022 ulkd b 000a kor | |
020 | ▼a 9788957116647 ▼g 930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070.1 ▼2 23 |
085 | ▼a 070.1 ▼2 DDCK | |
090 | ▼a 070.1 ▼b 2022 | |
100 | 1 | ▼a 이현우 |
245 | 1 0 | ▼a 뉴스미디어 중장기 시장 전망 연구 / ▼d 이현우, ▼e 홍종윤, ▼e 이성민 |
260 | ▼a 서울 : ▼b 한국언론진흥재단, ▼c 2022 | |
300 | ▼a 161 p. : ▼b 도표 ; ▼c 23 cm | |
490 | 1 0 | ▼a 연구서 ; ▼v 2022-06 |
504 | ▼a 참고문헌: p. 157-161 | |
536 | ▼a 이 보고서는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음 | |
700 | 1 | ▼a 홍종윤, ▼g 洪鍾允, ▼d 1969-, ▼e 저 ▼0 AUTH(211009)50142 |
700 | 1 | ▼a 이성민, ▼g 李星旻, ▼d 1982-, ▼e 저 ▼0 AUTH(211009)72947 |
830 | 0 | ▼a 연구서 (한국언론진흥재단) ; ▼v 2022-06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70.1 2022 | 등록번호 11187657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70.1 2022 | 등록번호 5110575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5년 후를 기준시점으로 하여 우리나라 뉴스 미디어 시장이 어떤 모습으로 변화할 것인지 전망해보았다. 구체적으로 언론 산업 종사 인력, 비즈니스 모델, 이용자들의 뉴스 소비 방식, 뉴스 이용에 활용하는 플랫폼, 뉴스 관련 기술 발전, 뉴스 관련 지원 정책 변화 등 다양한 차원에서 뉴스 미디어 시장의 미래를 전망해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5년 후를 기준시점으로 하여 우리나라 뉴스 미디어 시장이 어떤 모습으로 변화할 것인지 전망해보았다. 구체적으로 언론 산업 종사 인력, 비즈니스 모델, 이용자들의 뉴스 소비 방식, 뉴스 이용에 활용하는 플랫폼, 뉴스 관련 기술 발전, 뉴스 관련 지원 정책 변화 등 다양한 차원에서 뉴스 미디어 시장의 미래를 전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전문가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 뉴스 미디어 시장 변화 시나리오 분석, 뉴스 이용자 서베이 결과를 근거로 하는 이용자 인식 분석,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뉴스 서비스 유료 이용 영향요인 분석 등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홍종윤(지은이)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의 언론정보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있다. 문화정책 결정 과정과 대중문화의 문제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논문으로 <방송 정책결정 과정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연구>, <한국 방송 정책결정 과정의 역동성> 등이 있고, 저서로는《팬덤문화》가 있다.
이성민(지은이)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는 《영상문화콘텐츠산업론》(공저), 《오징어게임과 콘텐츠 혁명》(공저), 《아이피, 모든 이야기의 시작》(공저), 《’21한류백서》(공저), 《1950년대 대출력 송신소 건설을 둘러싼 담론과 방송현실》(공저), 《한국의 초기 라디오 방송 문화 형성과 기독교 방송의 위치》등이 있다.
이현우(지은이)

목차
01.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구성 02. 뉴스 미디어 생태계 변동과 주요 요인 1. 디지털 뉴스 환경과 뉴스 비즈니스의 재구성 2. 뉴스 생산의 변화 3. 뉴스 유통의 변화 4. 뉴스 소비의 변화 5. 뉴스 환경의 변화 : 기술과 정책 03. 전문가 시나리오 분석 기반 뉴스 미디어 중장기 시장 전망 1. 전문가 조사 개요 2. 전문가 조사 결과 04. 뉴스 미디어 전망에 대한 이용자 인식 1. 조사 개요 2. 전반적인 콘텐츠 이용 전망 3. 뉴스미디어 관련 기술 전망 4. 뉴스미디어 관련 정책 전망 5. 뉴스 생산 영역 변화 전망 6. 뉴스미디어 수익 모델 전망 7. 뉴스미디어 이용 패턴 전망 8. 유료서비스 이용 패턴 전망 05.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뉴스 서비스 유료 이용 영향요인 분석 1. 분석 개요 2. 분석 요인(피처/타겟) 3. 모델 적합도 4. 분석 결과 06. 결론: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