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1514 | |
005 | 20230214105341 | |
007 | ta | |
008 | 230214s2023 ulka 000a kor | |
020 | ▼a 9788957945223 ▼g 933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001.2 ▼2 23 |
085 | ▼a 001.2 ▼2 DDCK | |
090 | ▼a 001.2 ▼b 2023 | |
100 | 1 | ▼a 소진광, ▼g 蘇鎭光, ▼d 1955- ▼0 AUTH(211009)94147 |
245 | 2 0 | ▼a (어느 대학 교수의) 못다 한 강의 : ▼b 현실 세계와 학문 세계 = ▼x Lectures undelivered on real world and academic world / ▼d 소진광 지음 |
260 | ▼a 서울 : ▼b 한강, ▼c 2023 | |
300 | ▼a 278 p. : ▼b 삽화 ; ▼c 24 cm | |
500 | ▼a 부록: 강의 총평-스승의 제자 총평 | |
900 | 1 0 | ▼a So, Jinkwang, ▼e 저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01.2 2023 | Accession No. 11187649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소진광의 <못다 한 강의>. 저자의 전공 분야인 지방자치와 지역개발에 국한된 학술서가 아니라 학문을 통해 얻고자 하는 ‘무지로부터의 자유’에 이르는 일반 교양서 성격을 띠고 있다. 이 책이 종래 대학교수들이 정년을 맞아 퇴직하면서 그때까지의 대표적인 연구실적을 골라 책으로 펴냈던 ‘정년 기념 논문집’과 확연히 다른 이유다. 자녀를 둔 학부모가 이 책을 읽는다면 자녀가 공부에 길드는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소 교수는 33년 반을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다 코로나바이러스가 창궐하던 2020년 8월 정년을 맞아 퇴직하였다. 저자는 대학 강단을 떠나면서 마침 창궐하던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통상적으로 기대됐던 재직 중 ‘고별 강의’ 기회를 놓쳤다. 정규 강의 시간에는 과목 진도에 맞추느라 교과 내용 밖의 이야기를 할 수 없었다. 퇴직하는 교수에게 별도의 ‘고별 강의’는 학문 여정(Academic Odyssey)에서 겪은 시행착오를 털어놓을 좋은 기회다.
준비한 ‘고별 강의’ 내용은 그렇게 세월 속으로 묻혀 가고 있었다. 하지만 소 교수는 준비했던 ‘고별 강의’ 내용을 현실 세계와 학문 세계의 차이에 초점을 두고 보완하여 책자로 출간하였다. 그래서 책 제목이 <못다 한 강의-현실 세계와 학문 세계>다.
이 책은 저자의 전공 분야인 지방자치와 지역개발에 국한된 학술서가 아니라 학문을 통해 얻고자 하는 ‘무지로부터의 자유’에 이르는 일반 교양서 성격을 띠고 있다. 이 책이 종래 대학교수들이 정년을 맞아 퇴직하면서 그때까지의 대표적인 연구실적을 골라 책으로 펴냈던 ‘정년 기념 논문집’과 확연히 다른 이유다. 자녀를 둔 학부모가 이 책을 읽는다면 자녀가 공부에 길드는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소 교수는 33년 반을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다 코로나바이러스가 창궐하던 2020년 8월 정년을 맞아 퇴직하였다. 저자는 대학 강단을 떠나면서 마침 창궐하던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통상적으로 기대됐던 재직 중 ‘고별 강의’ 기회를 놓쳤다. 정규 강의 시간에는 과목 진도에 맞추느라 교과 내용 밖의 이야기를 할 수 없었다. 퇴직하는 교수에게 별도의 ‘고별 강의’는 학문 여정(Academic Odyssey)에서 겪은 시행착오를 털어놓을 좋은 기회다. 준비한 ‘고별 강의’ 내용은 그렇게 세월 속으로 묻혀 가고 있었다. 하지만 소 교수는 준비했던 ‘고별 강의’ 내용을 현실 세계와 학문 세계의 차이에 초점을 두고 보완하여 책자로 출간하였다. 그래서 책 제목이 『못다 한 강의-현실 세계와 학문 세계』다.
이 책은 크게 6개의 강의로 구성되어 있다. 6개 강의는 전체적으로 저자의 학문 여정을 담고 있다. 즉, 저자는 공부하면서 ‘현실의 당위성과 이론의 한계를 느끼고(제1강)’, ‘두려움을 호기심으로 바꾸며(제2강)’, ‘거꾸로 생각하고 되묻다가(제3강)’, ‘원칙과 예외의 중간에 서서(제4강)’, ‘내 주장도 펼쳤다(제5강).’ 그리고 제6강 ‘못다 한 일’은 필자가 20여 년 넘게 꿈꿔왔던 세계가난재단(World Foundation on Poverty) 설립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소진광(지은이)
충남 부여군의 조그만 농촌 ‘꿩바위’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7년 3월 한양대학교 사회과학대학에서 대학 강의를 시작하여 내무부 지방행정연수원 교수를 거쳐 1990년 3월 경원대학교(현 가천대학교)로 옮겨와 사회교육원장, 법정대학장, 사회정책대학원장과 부총장을 역임하였으며 2020년 8월 정년퇴직하였다. 한국행정학회 부회장, 한국지방자치학회 제11대 회장, 한국지역개발학회 제14대 회장과 새마을운동중앙회 제23대 회장을 역임하면서 이론과 실천을 접목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특히 저자는 개발도상국과의 국제개발협력(ODA)에 큰 관심을 갖고 베트남, 우간다 등 30여 나라의 지역개발사업에 관여하였다. 30여 권의 저서와 180여 편의 학술논문을 발표하였다.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제1강 현실의 당위성과 이론의 한계를 느끼고 1. 현실의 당위성 2. 이론의 한계 3. 바르게 생각하고 공부하기 제2강 두려움을 호기심으로 바꾸며 1. 호기심으로 공부에 길들기 1) 공부를 통해 행복의 조건 가꾸기 2) 공부해야 하는 이유 3) 두려움과 호기심 4) 공부에 길들기 5) 배우고 가르치기 2. 학문에 이르는 길 1) 학문의 주류와 변두리 2) 학문과 종교 3) 학문의 과정과 단계 3. 학문의 정의 1) 묻고 답하기 2) 덕德을 실천하기 3) 학문의 단계 4. 학문의 얼개 1) 판단의 유형 2) 학문의 분류 5. 지식의 유형과 계층성 1) 지식의 분류 2) 지식의 계층성 제3강 거꾸로 생각하고 되묻다가 1. 주변이 있어서 내가 존재한다 2. 존재는 조건과 연결되어 있다 3. 질문이 해답을 찾는다 4. 그래도 인간은 알 수 없다 5. 개별 특수성과 집단 보편성은 비대칭적이다 제4강 원칙과 예외의 중간에 서서 1. 원칙과 예외 1) 원칙의 개념 2) 원칙을 받쳐주는 공리公理 3) 원칙의 필요성 4) 원칙의 효능과 예외의 존재 범위 5) 원칙의 활용 2. 관점과 좌표에 의한 착시현상 1) 좌표의 중요성 2) 주관적 좌표에 의한 착시현상 3) 분석 틀에 의한 현상의 왜곡 3. 근대화의 착시현상: 사다리 효과 1) 발전의 단계와 계층성 2) 사다리 효과 3) 사다리 효과로 인한 근대화의 착시현상 제5강 내 주장도 펼쳤다 1. 바른 마음으로 1) 양심의 오염과 미래 2) 같은 시행착오의 반복과 발전 3) 문명의 아름다운 해체 2. 생각하며 1) 미래 창조가 후손들의 역사 2) 이야기가 만드는 도시 3) 지방자치 부활 30년 회고 4) 도시의 빛과 색깔 5) 지역 격차 재인식 6) 지방의 다양성과 국가발전 3. 속내를 비치다 1) 정부의 적정규모에 관한 논의 2) ‘농촌의 날’ 제안 3) 이중 거주지 등록제 제안 4) 지구촌 새마을운동의 현지화와 현재화 제6강 못다 한 일-‘세계가난재단(WFP)’ 설립 1. 자유와 가난 2. 가난의 유형과 원인 3. 가난과 사회 불평등 4. 세계가난재단WFP 출범을 고대하며 1) 세계가난재단의 성격과 필요성 2) 세계가난재단 설립의 접근방식 3) 세계가난재단의 조직구성 □부록: 강의 총평-스승의 제자 총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