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1413 | |
005 | 20230213165220 | |
007 | ta | |
008 | 230213s2022 ulk b 001c kor | |
020 | ▼a 9791191840261 ▼g 03300 | |
035 | ▼a (KERIS)BIB000016166019 | |
040 | ▼a 211028 ▼c 211028 ▼d 211009 | |
082 | 0 4 | ▼a 303.482 ▼a 305.8 ▼2 23 |
085 | ▼a 303.482 ▼2 DDCK | |
090 | ▼a 303.482 ▼b 2022z6 ▼c 1 | |
245 | 0 0 | ▼a 다문화 사회의 인문학적 시선 / ▼d 김영순 [외] |
260 | ▼a 서울 : ▼b yeondoo, ▼c 2022 | |
300 | ▼a 311 p. ; ▼c 22 cm | |
490 | 1 0 | ▼a 다문화 인문학 총서 ; ▼v 01 |
500 | ▼a 공저자: 박병기, 진달용, 임재해, 박인기, 오정미 | |
504 | ▼a 참고문헌(p. 292-305)과 색인수록 | |
650 | 0 | ▼a Multiculturalism ▼z Korea (South) |
650 | 0 | ▼a Cultural pluralism ▼z Korea (South) |
650 | 0 | ▼a Multiculturalism in literature |
650 | 0 | ▼a Cultural pluralism |
650 | 0 | ▼a Multiculturalism |
700 | 1 | ▼a 김영순, ▼g 金永洵, ▼d 1966-, ▼e 저 ▼0 AUTH(211009)39640 |
700 | 1 | ▼a 박병기, ▼g 朴炳基, ▼d 1962-, ▼e 저 ▼0 AUTH(211009)50979 |
700 | 1 | ▼a 진달용, ▼g 陳達鏞, ▼d 1964-, ▼e 저 ▼0 AUTH(211009)141096 |
700 | 1 | ▼a 임재해, ▼g 林在海, ▼d 1952-, ▼e 저 ▼0 AUTH(211009)22138 |
700 | 1 | ▼a 박인기, ▼g 朴寅基, ▼d 1951-, ▼e 저 ▼0 AUTH(211009)37749 |
700 | 1 | ▼a 오정미, ▼g 吳正美, ▼d 1976-, ▼e 저 ▼0 AUTH(211009)89992 |
830 | 0 | ▼a 다문화 인문학 총서 ; ▼v 01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3.482 2022z6 1 | Accession No. 11187651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다문화 인문학 총서 1권. 다문화 사회를 인문학적 시선으로 바라보는 노력을 담고 있다. 다시 말해 초국적 이주로 형성된 다문화 사회에서 구성원들을 위한 인문학적 감수성이 요구된다는 논리다. 이를 위해 인하대 다문화융합연구소에서는 다문화 인문학 시민 강좌 시리즈를 기획하고 시민들과 비대면 화상 강의를 통해 교감하였다. 본 저서는 바로 시민 강좌를 통해 발표되었던 강연자들의 글 아홉 편을 묶은 결과물로, 교양 저서로서 세상에 내놓는다.
이 책은 다문화 사회를 인문학적으로 읽기에 관심이 있는 모든 시민을 독자로 한다. 각 장은 다문화 시민 인문학 강좌에 초청된 강연자들이 바라본 다문화 사회의 인문학적 시선이다. 제각기 다른 전공 분야에서 바라보는 다문화 사회의 인문학적 시선은 말 그대로 다양하다. 그렇지만 읽는 우리로 하여금 인문학적 상상력을 불러일으키기에는 부족함이 없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박병기(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ㆍ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불교원전전문학림 삼학원에서 불교철학과 윤리를 공부했다. 서울 도봉여자중학교 교사와 전주교육대학교 교수(초등교육연구원장)를 거쳐 2005년부터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장, 종합교육연수원장, 교육부 민주시민교육자문위원장을 역임했고,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시안) 개발연구’ 총괄 책임자와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시안) 개발연구’ 총괄 책임자를 맡아 초ㆍ중ㆍ고 도덕과 교육과정의 방향을 ‘도덕함’을 중심으로 이론과 실천의 연계성 확보로 잡고자 노력했다. 대표적인 저서로 [윤리학과 도덕교육 1, 2](공저), [동양 도덕교육론의 현대적 해석], [의미의 시대와 불교윤리], [우리 시민교육의 새로운 좌표] 등이 있다.
박인기(지은이)
대학에서 국어교육과 한국 언어문화 연구에 관심을 쏟아온 국어교육학자이다. 한국어 교육의 미래 지형과 생태 변화에 대한 담론 생산에 앞장서왔으며, 이런 기조 위에서 재외동포 정체성 교육과 재외동포 이해 교육에 힘을 쏟아왔다. 서울대학교에서 교육학박사를 받았고,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원, 청주교육대학교·경인교육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경인교육대학교 명예교수이다. 한국독서학회 회장, 재외동포재단 자문위원, 교육부 교육과정심의위원, (사)유라시아 포럼 이사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국어교육학개론』(공저) 『문학교육의 구조와 이론』 『교사와 책』(공편) 『한국인의 말 한국인의 문화』 『스토리텔링과 수업기술』(공저) 『토론교육』(공저) 『언어적 인간, 인간적 언어』 등이 있다.
임재해(지은이)
민예총 안동지부장 / 경상북도 문화재위원 / 안동문화지킴이 대표 / 비교민속학회 부회장 / 저서_ 민속문화론 / 한국민속과 전통의 세계 / 한국민속과 오늘의 문화 / 민속마을 하회여행 / 한국민속학과 현실인식 / 지역문화와 문화산업 / 지역문화, 그 진단과 처방 / 민속문화의 생태학적 인식 / 안동문화와 성주신앙 등 다수.
김영순(지은이)
1965년 국토정중앙 배꼽마을 강원도 양구에서 출생했다. 중앙대학교를 졸업하고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인하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교수, 동대학원 다문화교육학과 학과장과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 소장을 겸직하고 있다. 사회활동으로 문화복지법인 ‘공존과이음’을 설립하고 사회적 소수자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있다. 늘 문학적 감수성의 자기치유 능력과 상호문화 소통을 통한 사회변화를 갈망한다.
진달용(지은이)
캐나다 사이먼프레이저대학교의 특훈교수이며,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Global Professor)이다. ≪문화일보≫에서 기자(사회부·경제부) 생활을 했으며, 일리노이 주립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리노이 주립대학교 시카고 캠퍼스에서 방문 조교수, 카이스트(KAIST)에서 부교수로 재직했으며 2014~2015년과 2021~2022년에는 연세대학교 방문교수로 근무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디지털 플랫폼과 게임 연구, 글로벌라이제이션과 초국가적 문화 흐름, 미디어 문화 정치경제학, 과학 저널리즘 등이다. 주요 저서로 Artificial Intelligence in Cultural Production: Critical Perspectives on Digital Platforms (Routledge, 2021), Transnational Korean Cinema: Cultural Politics, Film Genres, and Digital Technologies (Rutgers University Press, 2019), Globalization and Media in the Digital Platform Age (Routledge, 2019), New Korean Wave: transnational cultural power in the age of social medi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16), Digital Platforms, Imperialism and Political Culture (Routledge, 2015), Korea’s Online Gaming Empire (MIT Press, 2010) 등이 있다.
오정미(지은이)
건국대학교에서 설화의 문화교육에 관한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건국대학교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에서 전임연구원으로 활동하고, 경인교육대학교, 국민대학교 등에서 문화 및 다문화교육과 상호문화교육에 관한 강의를 했다. 주요 저서로는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의 옛이야기와 문화교육』 , 『미국 한인이주여성의 초국적 삶과 공동체』, 『다문화 사회의 인문학적 시선』 , 『다문화 현상의 인문학적 탐구』 , 『다문화 구비문학대계』 총 21권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서문 1장. 다문화 인문학:다문화 시대 인문학의 자리매김 2장. 다문화 사회의 시민과 타자 지향성의 철학 3장. 다문화 사회로서 한국의 미래와 시민윤리 4장. 다문화 시대의 관계 맺기:연기적 독존의 미학 5장. 다민족 사회에서의 문화 체험을 통한 모국가의 문화 전파와 확대 6장. 신한류 시대의 문화 혼종화와 문화 정치화 담론 7장. 다문화 사회의 재인식과 다중문화주의로 가는 미래 구상 8장. 다문화 인문학과 문화 교육 9장. 정주민을 위한 다문화 문학으로서의 설화에 대한 이해와 접근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