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1398 | |
005 | 20230213152846 | |
007 | ta | |
008 | 230213s2022 ulk b 000a kor | |
020 | ▼a 9791169190657 ▼g 938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895.714 ▼2 23 |
085 | ▼a 897.16 ▼2 DDCK | |
090 | ▼a 897.16 ▼b 김현승 2022z1 | |
100 | 1 | ▼a 박경자 ▼0 AUTH(211009)77092 |
245 | 1 0 | ▼a 김현승 시(詩) 세계 심층 연구 / ▼d 박경자 지음 |
246 | 3 | ▼a 김현승 시 세계 심층 연구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22 | |
300 | ▼a 374 p. ; ▼c 24 cm | |
504 | ▼a 참고문헌: p. 369-374 | |
600 | 1 4 | ▼a 김현승, ▼g 金顯承, ▼d 1913-1975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16 김현승 2022z1 | 등록번호 11187638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김현승과 그의 시를 다각도에서 고찰한 다음, 한국 시문학사의 보편적이면서도 독창적인 텍스트로 자리매김하는 데 중점을 둔 책이다. 이는 그의 시가 지닌 특성을 새롭게 조명해 그 시세계에 대한 폭넓은 관심과 이해를 미래지향적 시각에서 추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길잡이 역할을 수행하게 될 이 작업은 김현승 시의 심층적 독해와 더불어 한국 시문학의 지평을 넓히는 과제 수행의 일단이기도 했다.
이와 같은 취지에서 구성상 7부로 나누어 김현승의 성장 배경과 정신세계, 김현승의 시세계, 김현승 시의 특징, 김현승 시와 신앙의 시기별 특징, 김현승과 릴케·니체·아우구스티누스와의 문학·철학·신앙적 접점, 김현승의 문학사적 성취와 기여, 김현승 시의 치유적 텍스트로서의 가치 등에 관해 그 핵심과 자장을 깊고 넓게 유기적으로 기술했다.
정신주의와 주지적 모더니즘의 진수를 새롭게 조명한 김현승 시문학의 결정판!
이 책은 김현승과 그의 시를 다각도에서 고찰한 다음, 한국 시문학사의 보편적이면서도 독창적인 텍스트로 자리매김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는 그의 시가 지닌 특성을 새롭게 조명해 그 시세계에 대한 폭넓은 관심과 이해를 미래지향적 시각에서 추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길잡이 역할을 수행하게 될 이 작업은 김현승 시의 심층적 독해와 더불어 한국 시문학의 지평을 넓히는 과제 수행의 일단이기도 했다. 이와 같은 취지에서 구성상 7부로 나누어 김현승의 성장 배경과 정신세계, 김현승의 시세계, 김현승 시의 특징, 김현승 시와 신앙의 시기별 특징, 김현승과 릴케·니체·아우구스티누스와의 문학·철학·신앙적 접점, 김현승의 문학사적 성취와 기여, 김현승 시의 치유적 텍스트로서의 가치 등에 관해 그 핵심과 자장을 깊고 넓게 유기적으로 기술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박경자(지은이)
E-mail - luvpoem@hanmail.net http://blog.daum.net/luvpoem • 문학박사/시인 • 조선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어국문학 전공 • 동신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어교육학 전공 • 조선대학교 한국어학당 및 언어교육원 강의 역임 • 현) 동신대학교 한국어교원학과 • 한국어 교육 실습 강의교수 저서 한국어 교육 실습, 독서토론과 문학치유, 인문학 독서토론, 동양문학의 이해와 감상, 오래 묵은 고요(시집), 한국어 어휘 교육과 글쓰기, 쉼, 시, 김현승 시세계 심층연구

목차
김현승 시세계의 약도(略圖)-김현승 재평가의 필요성 제1부 불안의 그림자와 고독의 배경 Ⅰ. 뿌리 깊은 정서적 내향성 Ⅱ. 원초적 불안과 아니마 Ⅲ. 금속성 속의 따뜻한 눈물 제2부 정신의 극점과 혼신의 언어 Ⅰ. 고차적 정신주의 Ⅱ. 주지적 모더니즘 Ⅲ. 생명성과 자아의식 제3부 변증법적 역설과 함축의 미학 Ⅰ. 역설과 모순어법 Ⅱ. 독창적 은유와 이미지 Ⅲ. 절제와 함축미 Ⅳ. 다양한 부호 사용 제4부 고독한 영혼들의 지문 대조 Ⅰ. 릴케와의 시적 접점-초기 Ⅱ. 니체와의 사상적 접점-중기 Ⅲ. 아우구스티누스와의 신앙적 접점-후기 제5부 시기별 시와 신앙 Ⅰ. 시와 고독의 함수관계 Ⅱ. 신과 자아의 갈등과 화해 제6부 문학사적 성취와 재평가 필요성 Ⅰ. 한국 현대시와 김현승 Ⅱ. 저평가의 외적 요인 Ⅲ. 문학사적 기여와 남도 문학 제7부 시치유 텍스트로서의 실효적 특장 Ⅰ. 정신 건강과 시치유 Ⅱ. 고밀도의 치유적 잠재력 Ⅲ. 시치유를 위한 실효적 요건 주석 및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