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학부모의 당연한 권리,) 학교선택권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유재봉, 兪在奉, 1962-, 저 이종철, 저 박상진, 1958-, 저 허종렬, 許宗烈, 1957-, 저
Title Statement
(학부모의 당연한 권리,) 학교선택권 / 유재봉 [외]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쉼이있는교육,   2023  
Physical Medium
235 p. ; 23 cm
Series Statement
기독교학교교육연구신서 ;21
ISBN
9791198050298
General Note
공저자: 이종철, 박상진, 허종렬  
기획: 기독교학교교육연구소  
부록: 학부모의 학교선택권에 대한 학교구성원의 인식조사 설문지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1324
005 20230210171312
007 ta
008 230210s2023 ulk b 000a kor
020 ▼a 9791198050298 ▼g 0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1.2 ▼2 23
085 ▼a 371.2 ▼2 DDCK
090 ▼a 371.2 ▼b 2023
245 2 0 ▼a (학부모의 당연한 권리,) 학교선택권 / ▼d 유재봉 [외]지음
260 ▼a 서울 : ▼b 쉼이있는교육, ▼c 2023
300 ▼a 235 p. ; ▼c 23 cm
490 1 0 ▼a 기독교학교교육연구신서 ; ▼v 21
500 ▼a 공저자: 이종철, 박상진, 허종렬
500 ▼a 기획: 기독교학교교육연구소
500 ▼a 부록: 학부모의 학교선택권에 대한 학교구성원의 인식조사 설문지
504 ▼a 참고문헌 수록
700 1 ▼a 유재봉, ▼g 兪在奉, ▼d 1962-, ▼e▼0 AUTH(211009)62603
700 1 ▼a 이종철, ▼e
700 1 ▼a 박상진, ▼d 1958-, ▼e▼0 AUTH(211009)93317
700 1 ▼a 허종렬, ▼g 許宗烈, ▼d 1957-, ▼e▼0 AUTH(211009)91395
830 0 ▼a 기독교학교교육연구신서 ; ▼v 21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2 2023 Accession No. 11187645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학부모의 권리는 무엇인가? 학생과 부모는 학교를 선택할 수 있는가? 학교선택권을 보장하는 사립학교 체제는 무엇인가? 학교를 선택하면 학생 배정은 어떻게 되는가? 학교선택권은 법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는가? 등에 대한 책이다.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학부모의 당연한 권리, 학교선택권
- 학부모의 권리는 무엇인가?
- 학생과 부모는 학교를 선택할 수 있는가?
- 학교선택권을 보장하는 사립학교 체제는 무엇인가?
- 학교를 선택하면 학생 배정은 어떻게 되는가?
- 학교선택권은 법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는가?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허종렬(지은이)

서울교육대학교 명예교수, 교육과법·인권연구소 소장

박상진(지은이)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과 교수, 기독교학교교육연구소 소장

유재봉(지은이)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사교육혁신교육연구소 소장, 한국교육철학학회 회장

이종철(지은이)

한국교원대학교 겸임교수, 장로회신학대학교 객원교수, 기독교학교교육연구소 부소장

기독교학교교육연구소(기획)

기독교학교교육연구소는 교육의 본질과 방향을 제시하며, 현장의 필요에 응답하는 연구, 나눔과 성장이 있는 연수, 왜곡된 교육을 변혁하는 운동을 통해 하나님의 교육이 가득한 세상을 이루어갑니다. 이를 위해 기독교대안학교의 성장과 성숙, 기독교 사립학교의 회복과 갱신, 공교육에 기독교적 대안 제시, 교육 회복의 주체인 기독학부모 세우기, 가정과 학교를 연계하는 교회교육의 모색 등의 사역을 감당하고 있습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서문 ㆍ06

추천사 ㆍ10

제1장 학부모교육권과 학교선택권에 대한 철학적 논의 _ 유재봉 교수
Ⅰ. 들어가는 말 ㆍ019
Ⅱ. 아동의 원리와 교육권 ㆍ023
1. 아동의 교육권과 학부모의 교육권
2. 학부모 교육권에 대한 찬반논리
Ⅲ. 학부모의 교육권 ㆍ031
1. 아동의 교육권과 학부모의 교육권
2. 학부모 교육권에 대한 찬반논리
3. 학부모 교육권의 성격
Ⅳ. 학부모의 학교선택권 ㆍ038
1. 신자유주의와 학교선택권
2. 교육의 공적 성격과 사회정의
3. 학교선택권으로서의 종교교육 가능성
Ⅴ. 요약 및 결론 ㆍ050

제2장. 학부모의 교육권에 대한 학교 구성원의 인식 _ 이종철 박사
Ⅰ. 들어가는 말 ㆍ059
Ⅱ. 이론적 배경 ㆍ061
1. 학부모의 교육권
2. 국가의 교육권
3. 종합적 관점
Ⅲ. 연구방법 ㆍ068
1. 조사 내용
2. 조사 방법
3. 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ㆍ073
1. 국가의 교육권 vs 부모의 교육권
2. 의무교육제도
3. 국가 수준 교육과정
4. 학교 다양화 정책과 학부모의 학교선택권
5. 학생 배정 방식
Ⅴ. 결론 및 제언 ㆍ105

부록. 학부모의 학교선택권에 대한 학교구성원의 인식조사 설문지 ㆍ114

제3장. 학부모의 학교선택권 보장을 위한 사립학교 체제 _ 박상진 교수
Ⅰ. 들어가는 말 ㆍ123
Ⅱ. 학부모 학교선택권의 의미 ㆍ125
1. 부모의 교육권
2. 학부모 학교선택권
Ⅲ 해방이후 한국교육의 정책 및 제도 고찰: 학교선택권의 관점에서 ㆍ134
1. 평준화제도
2. 고교다양화 300 정책
3. 자사고 폐지
4. 고교학점제
5. 고교무상제
6. 사학 공영화 정책
7. 대안교육기관법
Ⅳ. 해외의 학부모 학교선택권 ㆍ153
1. 차터스쿨(Charter School)
2. 바우처 제도(voucher system)
3. 교육비 공제제도(Tuition Tax Credits)
Ⅴ. 학부모의 학교선택권 보장을 위한 원칙 ㆍ162
1. 교육의 1차적 주체로서 부모의 학교선택권은 존중되어야 한다.
2. 대한민국은 사립학교가 존재할 수 있는 나라가 되어야 한다.
3. 준공립화된 사학의 현실을 정당화하기보다 헌법적 가치를 추구하여야 한다.
4. 평준화제도는 사립학교의 특수성을 회복하는 방향으로 보완되어야 한다.
5. 교육의 다양성은 학교의 다양성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6. 수직적 다양성이 아닌 수평적 다양성을 추구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7. 사립학교 비중이 높은 학교급은 국,공립학교를 늘려가야 한다.
8. 사립대안학교도 넓은 의미의 사립학교 체제에 포함하여 논의해야 한다.
9. 사립학교는 자체적인 통제 역량을 개발하여야 한다.
10. 종교계 사립학교에서의 종교교육이 가능한 체제가 되어야 한다.
Ⅵ. 학교선택권을 보장하는 사립학교 체제 ㆍ169
1. 사립학교 유형에 대한 선행연구
2. 학교선택권 보장을 위한 사립학교 체제
Ⅶ. 나가는 말 ㆍ189

제4장. 학생과 학부모의 사립학교 선택권 보장에 관한 헌법재판소 판례 검토 _ 허종렬 교수
Ⅰ. 들어가는 말
Ⅱ. 분석 준거로서의 학교선택권 보장 법리
1. 학습자의 학습권과 학교선택권
2. 학부모의 교육권과 학교선택권
Ⅲ. 초·중등교육법상 초·중·고등학교의 구분과 입학전형 방법 및 학교선택권 보장 실태 ㆍ203
1.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학교 구분과 입학전형 방법 및 학교선택권 보장 실태
2. 고등학교의 학교 구분과 입학전형방법 및 학교선태권 보장 실태
Ⅳ. 사립학교선택권의 보장과 방법에 관한 헌법재판소 판단 내용 ㆍ210
1. 검토 대상 판례의 확인
2. 사건의 개요와 쟁점
3. 헌재의 판단 내용
Ⅴ. 헌재 판례에 대한 비판적 검토 ㆍ219
1. 반대의견의 존재
2. 헌법상 법률유보 원칙 및 교육제도법정주의 원칙의 위반 여부.
3. 위임입법의 한계 또는 포괄적 위임 입법 금지 원칙의 위반 여부 판단
4. 사립학교선택권의 침해 여부
5. 종교교육권의 침해 여부

Ⅵ. 결론 ㆍ232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민지 (2023)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2023)
이병환 (2023)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