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미래학교는 역량을 가르친다 : '6년의 배움' 학교교육과정 이야기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장계영, 저 도영록, 저 김다혜, 저 서수정, 저 김인철, 저 김진수, 저 이지혜, 저 윤미정, 저 박호용, 저
Title Statement
미래학교는 역량을 가르친다 : '6년의 배움' 학교교육과정 이야기 / 장계영 [외]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에듀니티,   2023  
Physical Medium
295 p. : 삽화 ; 23 cm
기타표제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요구하는 기초소양과 역량 교육을 앞서 실천한 학교학습공동체의 기록
ISBN
9791164251384
General Note
공저자: 도영록, 김다혜, 서수정, 김인철, 김진수, 이지혜, 윤미정, 박호용  
부록: 1. 구미봉곡초등학교 역량 배움 지도(기초소양). 2. 기초소양별 역량 잣대, 3. 구미봉곡초등학교 역량 배움 지도(핵심역량) 외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1030
005 20230208091445
007 ta
008 230207s2023 ulka 000c kor
020 ▼a 9791164251384 ▼g 13370
035 ▼a (KERIS)BIB000016609124
040 ▼a 249002 ▼c 249002 ▼d 211009
082 0 4 ▼a 372.19 ▼2 23
085 ▼a 372.19 ▼2 DDCK
090 ▼a 372.19 ▼b 2023
245 0 0 ▼a 미래학교는 역량을 가르친다 : ▼b '6년의 배움' 학교교육과정 이야기 / ▼d 장계영 [외]지음
246 1 3 ▼a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요구하는 기초소양과 역량 교육을 앞서 실천한 학교학습공동체의 기록
260 ▼a 서울 : ▼b 에듀니티, ▼c 2023
300 ▼a 295 p. : ▼b 삽화 ; ▼c 23 cm
500 ▼a 공저자: 도영록, 김다혜, 서수정, 김인철, 김진수, 이지혜, 윤미정, 박호용
500 ▼a 부록: 1. 구미봉곡초등학교 역량 배움 지도(기초소양). 2. 기초소양별 역량 잣대, 3. 구미봉곡초등학교 역량 배움 지도(핵심역량) 외
700 1 ▼a 장계영, ▼e
700 1 ▼a 도영록, ▼e
700 1 ▼a 김다혜, ▼e
700 1 ▼a 서수정, ▼e
700 1 ▼a 김인철, ▼e
700 1 ▼a 김진수, ▼e
700 1 ▼a 이지혜, ▼e
700 1 ▼a 윤미정, ▼e
700 1 ▼a 박호용, ▼e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19 2023 Accession No. 111875553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6-14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경상북도 구미봉곡초등학교 교사들이 지난 몇 년간 학교혁신을 고민하면서 전문적학습공동체를 만들고 ‘6년의 배움’이라는 학교교육과정을 만들어 공동으로 실천한 이야기를 담은 기록이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은 국가교육과정이지만 국민과 교사들과 같이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이라는 목표를 갖고 많은 국민과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나아가 지역교육과정과 학교교육과정이 앞으로 더욱 중요하게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초등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은 6년간 무엇을 배울까?
학년마다 새로 맞이하는 담임마다 다른 것은 아닐까?
학교는 지식만을 배우는 곳인가, 미래를 대비하는 역량을 기르는 곳인가?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요구하는 기초소양과 역량 교육을
앞서 실천한 학교학습공동체의 기록


『미래학교는 역량을 가르친다』는 경상북도 구미봉곡초등학교 교사들이 지난 몇 년간 학교혁신을 고민하면서 전문적학습공동체를 만들고 ‘6년의 배움’이라는 학교교육과정을 만들어 공동으로 실천한 이야기를 담은 기록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다시 개정하기 위한 교육부의 움직임이 2022년에 이루어졌다. 이는 2025년부터 고교학점제를 도입하기 위해 교육과정을 전면 개편해야 하는 이유가 가장 컸지만 그동안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진 교사들의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비판과 문제 제기 그리고 국가교육과정만이 아니라 지역교육과정과 학교교육과정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 등이 이루어지면서 국가교육과정을 새롭게 개편해야 할 필요성도 있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역사적으로 국가교육과정에 대해 꾸준히 발전해왔지만 최근에는 국가교육과정만이 아니라 시도 차원의 지역교육과정과 학교 차원의 학교교육과정도 국가교육과정만큼 중요하다는 인식이 갈수록 강화되고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은 국가교육과정이지만 국민과 교사들과 같이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이라는 목표를 갖고 많은 국민과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나아가 지역교육과정과 학교교육과정이 앞으로 더욱 중요하게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2000년 이후 진행되는 학교혁신의 역사적 흐름을 배경으로 하면서, 그 학교혁신이 바로 학교 단위 교육과정의 혁신을 중심으로 진행된 혁신학교들이 전국적으로 많이 있다. 하지만 가장 보수적인 지역이라고 보통 거론되는 경상북도 구미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이 교육과정 논의에서도 가장 혁신적인 역량 교육과정을 학교교육과정으로 스스로 만들어 실천하고 이렇게 기록한 경우는 정말 귀한 기록물이 아닐 수 없다. 미래학교가 가야 할 길을 학교혁신이 가장 쉽지 않다고 예상했던 경상북도에서 보석처럼 나타난 것이다. 그것도 미래학교에 가장 걸맞은 역량을 고민의 핵심 지점으로 잡은 것이다.

이들이 이렇게 보석처럼 귀한 실천이라고 부르는 이유가 있다.

첫째, 학생들에 대한 애정이 남다른 것이다. 진보와 보수의 이념도 아니고 교육계의 유행에 민감해서도 아니다. 교사들이 학생들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학교가 해야 할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해 같이 진지하게 고민한 결과가 오히려 가장 미래에 맞는 학교의 모습을 만든 것이다.

둘째, 이런 학생들에 대한 애정을 교사들 각각 개인적 노력에 그치지 않고 학교 내에서 전문적학습공동체를 만들고 공동작업을 했다는 것이다. 특히 ‘6년의 배움’이라는 학교교육과정을 완결성 있게 만들어낸 것은 보석같이 빛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여기에 기초소양으로 문해력, 수리력, 디지털 소양을 정하고, 핵심역량으로 자기 관리 역량, 고차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공동체 역량을 정한 것은 단위 학교에서 교사들이 현장에 기반한 고민을 정확히 정리한 것이다.

셋째, 이런 학교교육과정을 만드는 노력이 2015 개정 교육과정, 2022 개정 교육과정 등 국내의 교육계 흐름만이 아니라 OECD, UNESCO 등 국제적 교육 흐름에 맞는 역량을 키우는 교육과정으로 방향을 잡았다는 것이다. 결코 쉽지 않은 것임에도 지식 위주의 배움에만 그치지 않고 학생들이 미래의 주인공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역량과 핵심역량을 찾아 정리하고 이를 6년간 어떻게 배울 수 있도록 할지를 지도처럼 만들었다는 것이다.

물론 아직 충분한 실천이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일부에서는 문제점도 드러나고 고민되는 지점들도 있다. 하지만 봉곡초등학교 교사들은 외친다. 다른 학교들도 같이 해보자고. 그래서 이런 실천들을 같이 나누자고. 그 실천의 기록을 모으고 쌓아서 진짜 제대로 된 학교혁신을 이루고 모든 학교가 자기들의 교육과정을 만들어보자고. 그래서 미래를 대비하는 역량 교육과정이 우리 학교에 자리 내리고 결국 우리 아이들이 행복한 미래를 만들자고.

● 출판사 서평

이 책은 경상북도 구미의 한 초등학교에서 몇 년에 걸쳐 교사들이 같이 전문적학습공동체를 운영하면서 역량에 기반한 학교교육과정을 ‘6년의 배움’이라는 이름으로 만들어내고 실천한 기록들이다.

이런 기록들은 학교와 교사들에 대한 국민들의 곱지 않은 시선 속에서 아이들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6년간 학생들의 배움을 기획하고 교수활동의 방향을 같이 설정한 드문 경우에 대한 이야기이다.

특히 지식 위주의 학교 교육 속에서 역량을 중심에 두고 교사들이 공동으로 연구하고 실천한 뒤 이를 정리하여 구체적으로 교육과정으로 엮어낸 결코 쉽게 찾아보기 힘든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이 책은 크게 네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1부는 ‘왜 역량을 가르쳐야 하는가?’라는 제목으로 봉곡초등학교에서 교사들의 연구와 실천을 전체적으로 이끈 장계영 교감선생님의 글이 들어 있다. 일반적으로 학교혁신을 이루기 위한 혁신학교들은 학교의 비전과 핵심적인 가치를 중심으로 학교교육과정이 이루어지고 이어서 학년별 추상적 가치를 앞세우는 교육과정과 달리 역량을 중심에 두고 6년간의 통합적 배움을 기획했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지를 밝히고 있다.

1부에서 우리는 역량을 기반으로 하는 학교교육과정이 왜 미래교육에 필요하며, 어떤 어려움을 극복했고, 결국 봉곡초등학교에서는 어떤 생각으로 이런 노력이 이루어졌는지를 자세히 밝히고 있다. 아마도 다른 혁신학교들과는 다르게 봉곡초등학교 교사들이 무슨 생각을 했으며 어떤 노력을 하려고 했는지 자세히 알 수 있게 정리되어 있다.

2부는 ‘역량 교육을 어떻게 설계할까?’라는 제목으로 ‘6년의 배움’을 주도적으로 기획하고 설계한 도영록 교무부장의 글이 실려있다. 초등학교에 입학한 학생들이 졸업하기까지 6년 동안 학교에서 일관된 목표와 흐름을 바탕으로 교사 전체의 도움을 받아 성장하도록 돕는 학교교육과정인 ‘6년의 배움’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밝히고 있다. 다른 학교들도 크게 도움이 되는 내용이 될 것이다.

3부는 ‘기초소양을 어떻게 키울까?’라는 제목으로 봉곡초등학교에서 같이 설정한 3개의 기초소양에 대해 구체적인 실천 경험을 기록하고 있다. 문해력, 수리력, 디지털 소양에 대해 3명의 교사가 자기 학년에서 구체적으로 실천한 것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어 다른 학교의 교사들에게도 실천적 참고가 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보다는 기초소양을 3가지로 설정한 이유와 그렇게 단위 학교에서 이를 교사들이 토론을 통해 결정한 과정도 중요하다. 그 뒤 이를 실천하는 구체적인 과정들이 있어야 할 것인데 이를 설명하면서 나아가 다른 학교 교사들과 같이 이런 경험을 나누고 토론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4부는 ‘핵심역량을 어떻게 키울까?’라는 제목으로 역시 봉곡초등학교에서 같이 설정한 4개의 핵심역량에 대해 구체적인 실천 경험을 기록하고 있다. 자기 관리 역량, 고차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공동체 역량에 대해 4명의 교사들이 자기 학년에서 구체적으로 실천한 것을 역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들은 학생들의 학년별 성장 과정을 참고하면서 각 학년별 교육과정이 학년별로 연계되도록 하면서도 학생별 성장에 맞추어 교수학습을 하는 구체적인 사례들을 설명하고 있다. 다른 학교 교사들도 참고하면서 같이 토론할 거리를 던져주고 있는 것이다.

이제 교육과정은 국가교육과정만 있는 시대는 지났다. 학교 단위에서 교사들이 전문적학습공동체를 통해 같이 토론하면서 학교교육과정을 스스로 만들어갈 시대가 된 것이다. 특히 지식 위주에만 머물지 않고 역량을 키우는 새로운 미래형 교육과정을 학교 단위에서 만들어가는 것이 더 일반화되기를 바란다. 그래서 많은 학교들이 서로 같이 이에 대해 토론하고 더 발전시켜나감으로써 현장에 기반한 진정한 의미의 올바른 교육과정들이 자리 잡기를 바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인철(지은이)

현재 구미봉곡초등학교에서 정보부장 및 실과 전담 교사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AI교육을 전공하였고, 대구교대 영재교육원 정보영재 강사로 활동 중입니다. 프로젝트 수업과 로봇을 활용한 SW-AI교육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 초등 프로젝트 수업(지식프레임, 2018), 교과서 속 신나는 컴퓨터과학(핸즈온테크놀러지, 2021)이 있습니다.

장계영(지은이)

학교를 19년간 등교했고, 27년째 출근하고 있어 인생의 대부분을 학교에서 보내고 있습니다. 교사 시절에는 협동학습과 사회과 수업에 관심이 많았고, 경상북도교육청연수원에 근무하면서 전문적학습공동체를 확산하고자 노력했습니다. 현재는 구미봉곡초등학교 교감으로 새로운 학교 모델을 만드는데 함께 하고 있습니다.

도영록(지은이)

13년 차 경력의 교사입니다. 2016년부터 프로젝트 수업에 관심을 가지고 학년 선생님들과 함께 실천해왔습니다. 학습공동체 활동으로 프로젝트 수업을 이어가고 싶어 2018년 구미봉곡초등학교로 왔습니다. 3년간 5학년 담임교사로 20여 차례 프로젝트 수업을 실천하였고, 2021년부터 연구부장으로 학교교육과정과 경북미래학교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김다혜(지은이)

구미봉곡초에서 2학년 담임을 맡고 있는 22년차 교사입니다.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아동문학을 강의하며 아동문학 평론을 쓰고 있습니다. 교내 문해력 동아리 ‘도담도담’ 활동을 3년째 이어오고 있습니다. 문학과 연계된 국어수업에 관심을 두고 교사 동아리 ‘책걸음’에서 옛이야기와 그림책을 나누고 있습니다.

서수정(지은이)

16년 차 교사입니다.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교육과정을 전공하였고, 교사 동아리(경북초등성장연구소)에서 백워드 교육과정, 개념 기반 교육과정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현재 구미봉곡초에서 5학년 담임을 맡고 있습니다. 저서로는 '초등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와 실천 이야기'(공저)가 있습니다.

김진수(지은이)

더 좋은 수업을 하고자 프로젝트학습과 역량 교육에 대해 열심히 배우고 있는 13년차 교사입니다. 구미봉곡초에서 4년째 4학년 담임을 맡고 있으며, 프로젝트학습 및 과정중심평가를 주제로 교사 동아리 활동을 하면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지혜(지은이)

16년차 교사입니다. 교육과정 설계에 관심이 많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교육과정을 전공했습니다. 현재는 구미봉곡초등학교에서 2년째 5학년 담임을 맡고 있으며, 훌륭한 선생님들을 만나서 다양한 수업 디자인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좋은 선생님이 되고 싶어 노력하고 있습니다.

윤미정(지은이)

수업 전문가 공모전에 참가하면서 '학생들을 위한 교육이 무엇일까?' 고민할 때 구미봉곡초등학교를 알게 되었고, 이 학교에서 프로젝트 수업을 함께 하고 싶었습니다. 2019년부터 구미봉곡초등학교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4년째 3학년 담임을 맡아 학년 교육과정과 프로젝트수업을 계획, 운영하고 있습니다.

박호용(지은이)

16년차 교사로 교실 수업 개선 활동에 관심이 많아 실천사례 연구와 다양한 교육 공동체에 참여하여 공부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수업을 제대로 하고 싶어 구미봉곡초등학교에 오게 되었습니다. 2021년은 코로나 시기였지만 6학년 학습공동체 선생님들과 의미있는 프로젝트수업을 운영하였고, 현재는 업무팀 교무부장으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추천사 : “역량 있는 교사들의 역량 교육 실천 이야기”를 읽고
-이혁규, 온정덕, 장경원, 김희수, 황석수, 박재휘, 권향례

서문 : 역량을 키우는 ‘6년의 배움’을 만들기까지

1부_왜 역량을 가르쳐야 하는가
1. 미래 사회와 역량
2. 역량 교육 동향
3. 역량 교육을 바라보는 시선
4. 역량 교육이 어려운 까닭
5. 학교에서 역량을 교육하려면

2부_역량 교육을 어떻게 설계할까
1. ‘6년의 배움’의 준비
2. ‘6년의 배움’ 설계
3. ‘6년의 배움’ 교수학습 방법
4. 함께 만들어가는 학교교육과정 ‘6년의 배움’

3부_기초소양을 어떻게 키울까?
1. 삶을 바꾸는 힘, 문해력
2. 수학의 진짜 힘, 수리력
3. 사고와 도구의 힘, 디지털 소양

4부_핵심역량을 어떻게 키울까?
1. 스스로를 키우는 힘, 자기 관리 역량
2. 생각하는 힘, 고차적 사고 역량
3. 마음의 힘, 심미적 감성 역량
4. 함께 하는 힘, 공동체 역량

부록
1. 구미봉곡초등학교 역량 배움 지도(기초소양)
2. 기초소양별 역량 잣대
3. 구미봉곡초등학교 역량 배움 지도(핵심역량)
4. 핵심역량별 역량 잣대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한성심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