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1018 | |
005 | 20230207183813 | |
007 | ta | |
008 | 230207s2023 ulka b 000a kor | |
020 | ▼a 9788999727887 ▼g 0318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jpn |
082 | 0 4 | ▼a 616.85/8832 ▼2 23 |
085 | ▼a 616.858832 ▼2 DDCK | |
090 | ▼a 616.858832 ▼b 2023 | |
100 | 1 | ▼a 岡田尊司, ▼d 1960- ▼0 AUTH(211009)55604 |
245 | 1 0 | ▼a 카산드라 증후군 : ▼b 나와 가까운 사람이 아스퍼거증후군이라면? / ▼d 오카다 다카시 저 ; ▼e 김유숙, ▼e 최지원 공역 |
246 | 1 9 | ▼a カサンドラ症候群 : ▼b 身近な人がアスペルガーだったら |
246 | 3 | ▼a Kasandora shōkōgun : ▼b mijika na hito ga asuperugā dattara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23 | |
300 | ▼a 237 p. : ▼b 삽화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237 | |
650 | 0 | ▼a Asperger's syndrome ▼x Patients |
650 | 0 | ▼a Personality disorders |
650 | 0 | ▼a Husband and wife |
700 | 1 | ▼a 김유숙, ▼e 역 |
700 | 1 | ▼a 최지원, ▼e 역 |
900 | 1 0 | ▼a 오카다 다카시, ▼e 저 |
900 | 1 0 | ▼a Okada, Takashi, ▼e 저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16.858832 2023 | Accession No. 11187570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오카다 다카시(지은이)
도쿄대에서 철학을 공부했지만 중퇴하고 교토대 의과대학에 다시 들어가 정신과 의사가 된 특이한 경력의 소유자이다. 현재는 오카다 클리닉 원장이자 야마가타 대학의 객원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정신의학과 뇌 과학 분야 전문가로 주목받는 그가 꾸준히 주장하고 있는 ‘애착 이론’은 청소년 범죄의 근본적인 원인과 해결책을 제시했다는 점 때문에 일본 사회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나는 상처를 가진 채 어른이 되었다』, 『나는 왜 혼자가 편할까?』, 『나는 왜 저 인간이 싫을까?』가 대표작이며 『나만 바라봐』, 『예민함 내려놓기』, 『심리 조작의 비밀』, 『애착 수업』, 『나는 네가 듣고 싶은 말을 하기로 했다』 등 수많은 책이 국내에 소개되었다. 이 책 『나는 왜 저 인간이 싫을까?』(원제: 인간 알레르기人間アレルギー)는 사람이 사람을 싫어하게 되는 현상을 ‘인간 알레르기’라는 병리학적 증상을 통해 분석한 최초의 심층 보고서이자 심리 자기계발서이다. 출간 이후 꾸준히 심리 스테디셀러로 사랑받고 있다.
김유숙(옮긴이)
일본 도쿄(東京) 대학교 의학부에서 임상심리를 전공했으며, 개인을 둘러싼 환경에 대한 개입의 중요성을 깨닫고 일본 국립정신건강연구소 가족치료실에서 훈련을 받았다. 귀국한 후부터 현재까지 서울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후학에게 가족치료를 가르치는 동시에, 실천 현장에서 도움을 청하는 가족들을 꾸준히 만나고 있다. 한스카운셀링센터에서 수석상담위원직을 맡아 내담자를 만나고 있는데, 최근에는 그들과의 작업을 통해 이야기치료라는 접근이 가진 매력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흔적은 『심리치료이론과 가족치료』 『아동과 청소년 심리치료』 『놀이를 활용한 이야기치료』 등의 저서와 『사회구성주의와 심리치료』 『이야기치료』 『존엄치료』 『가계도』 『가족치료의 기술』 등의 역서에서 찾을 수 있다.
최지원(옮긴이)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상담 및 임상심리학 박사 상담심리사 1급, 전문상담사 1급, 내러티브상담전문가, 부부 및 가족치료사 1급 Dr. Daniel Siegel 대인관계 신경생물학 워크숍 수료 현 서울신학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상담교수 한스카운셀링센터 소장

Table of Contents
역자 서문 들어가는 글: 우울해하고 짜증을 내면서 남편을 비난하는 아내들 제1장 카산드라증후군이란 무엇인가 행복한 결혼은 끝났다 카산드라증후군이란 카산드라증후군의 의미와 진단 기준 나를 알아주지 않아서 생기는 괴로움 아스퍼거증후군(자폐스펙트럼장애)이란 아스퍼거증후군을 결혼 상대로 본다면 모르고 지나친 점은 무엇일까 공감 반응이 왜 중요한가 아스퍼거 타입에게 자주 나타나는 다른 특징 회피형 애착도 원인이 된다 애착이 불안정해지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소크라테스의 아내도 소세키의 아내도 카산드라증후군으로 괴로워했다 아스퍼거증후군이라도 잘 지내는 사례가 있다 숨은 카산드라증후군도 많다 Y의 사례 남편이 카산드라증후군인 사례도 있다 아내가 괴물이 되는 경우 제2장 원인은 아스퍼거증후군만이 아니다 아스퍼거만이 원인은 아니다 원인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상황 회피형 애착 유형 늘어나는 불안형의 사람들과의 차이 공포/회피형 애착 유형 잘 지내던 시기도 있었는데, 왜 이런 일이 생겼을까? 할로우 부부에게 생긴 일 아내가 느끼는 불공평함이 바탕에 깔려 있다 성격장애도 원인이 된다 자기애성 성격장애 물질적으로 어려움이 없더라도 강박성 성격장애 회피성 성격장애 조현성 성격장애와 조현형 성격장애 편집성 성격장애 그 외의 정신질환과 뇌기능장애의 경우 제3장 카산드라증후군의 정체 애정을 유지하는 방법 애착은 건강과 행복의 토대 애착의 형성과 유지에 반드시 필요한 공감 반응 카산드라증후군으로 생기는 일 불안형의 사람이 카산드라증후군이 되기 쉬운 이유 불안정한 애착은 신체 증상에도 영향을 미친다 숨어 있는 카산드라증후군이었던 M의 사례 곤란해하고 있을 때일수록 도와주지 않는다 서로 다른 스트레스 대처법 엇갈린 아내와 남편의 견해 제4장 카산드라증후군과 섹스에 대한 고민 섹스에 관한 누적된 고민 단 몇 번뿐인 결혼 생활에서의 섹스 밤이 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 바탕에 깔려 있는 공감 능력의 문제 제5장 부모 자식 간의 문제가 생기기 쉽다 본가와의 관계가 얽힌 경우도 많다 남편보다 친정이 우선이었던 N의 경우 자신의 부모와의 불화도 얽혀 있다 언제나 남동생이 우선 친정이 개입하여 헤어지게 한 것은 좋지만 제6장 남편이 할 수 있는 것-카산드라증후군의 비극을 피하기 위해 이혼 후의 괴로운 현실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도 적지 않다 괴물이 된 아내와 사는 것도 힘들다 문제를 자각하는 것이 관계 개선의 첫걸음 자신의 특성을 감안한 대응 방식 안전기지가 되기 위해서는? 안전과 질서를 지키기 분노의 말투가 되지 않기 위해 할 일 자신도 알지 못한 내재된 공격성 상호 반응성 상대의 기분보다 옳음에 얽매이다 공감 반응 성실한 접촉이 애착을 안정시킨다 귀가 시간을 알려 주는 연락만으로도 효과적 소소한 사정을 설명하는 힘 집안일을 함께해서 아내의 부담을 줄인다 경고 사인으로 위험을 알린다 알코올이나 약물은 공감 반응과 감정 통제에 영향을 준다 인간으로서 친절하게 대한다 가족회의 및 가족모임을 권유한다 절대로 감사와 위로를 잊지 않는다 제7장 아내가 할 수 있는 것 -다정한 남편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1. 안전기지가 되기 위한 시도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아스퍼거증후군의 경우 회피형의 경우 악순환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 안전기지를 쟁취하기 위해 내가 먼저 안전기지가 된다 회피형인 남편과 의사소통을 잘하기 위해 필요한 것 아스퍼거증후군인 남편은 말해 주지 않으면 모른다 상호 협력 관계를 만들어 간다 관심사를 적극적으로 공유한다 심리학자 할로우가 얻게 된 행복 2. 장애나 특성을 수용한다 기대치를 낮춘다 방관이라는 비법 남편을 계속 이끌어 온 Y 공감 반응이 어려운 배우자와 행복하게 지내기 소세키의 아내는 살기 위해서 이렇게 극복했다 부족함은 다른 부분으로 채운다 접촉 시간을 줄이고 역할을 교대한다 3. 위기감을 초래하는 방식 자각이 없는 남편을 움직이기 거부 반응이 심한 경우의 결단 정신적인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 이혼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두 번의 카산드라증후군을 경험한 끝 이혼할 때의 주의점 제8장 관계 회복을 위한 시도 관계 회복을 위해서 필요한 상호 협력 헤어지게 하는 사람, 회복하게 하는 사람 관계를 회복하기 위한 시도 회복의 작업흐름도 도움을 요청하는 쪽이 아내인 경우 의학 모델에 의한 치료의 한계 도움을 요청하는 쪽이 남편인 경우 부부가 함께 도움을 요청하는 경우 상처받은 마음과 이분법적 사고가 회복을 방해한다 과거를 돌이켜 보는 힘과 공감 능력이 필요하다 아스퍼거증후군이나 회피형에게는 구체적인 지도가 필요하다 의사소통 방식의 문제가 드러난다 절박한 상황은 변화를 부르는 기회 카산드라증후군 개념 자체의 한계 카산드라증후군 체크 리스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