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0968 | |
005 | 20230208101133 | |
007 | ta | |
008 | 230207s2023 ggk 000a kor | |
020 | ▼a 9788908124813 ▼g 038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895.73409 ▼2 23 |
085 | ▼a 897.3609 ▼2 DDCK | |
090 | ▼a 897.3609 ▼b 2023 | |
100 | 1 | ▼a 조충숙 |
245 | 1 0 | ▼a 완독의 기쁨 : ▼b 대하소설 비교 읽기 / ▼d 조충숙 |
260 | ▼a 파주 : ▼b 범우사, ▼c 2023 | |
300 | ▼a 320 p. ; ▼c 23 cm | |
500 | ▼a 부록: 일제강점기 역사 요약표 |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3609 2023 | 등록번호 11187568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국 대하소설 대표작 박경리 <토지>(전 21권) · 조정래 <아리랑>(전 12권) · 김주영 <객주>(전 10권)의 소개와 줄거리, 읽은 후 느낌, 이슈별 검토를 통해 각 작품이 담고 있는 이야기와 그려내는 시대상과 역사, 작품 속에 드러나는 문제 등에 귀 기울이며 대하소설 작품에 조심스레 말을 거는 책이다.
또한 비교 읽기를 통해 소설 속 중요한 역사적 사실과 그 역할을 정리하고 <아리랑>과 <객주>에서 같고도 확연히 다른 방식으로 등장하는 보부상에 대한 검토, 작가가 가장 사랑한 작품 속 인물에 대한 탐색과 표로 정리한 <토지> <아리랑> <객주>의 등장인물 이름 비교,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 간 주고받는 감정과 사랑 장면 비교, 첫 문장·마지막 문장 비교, 우리말의 기쁨을 느낄 수 있게 해주고 소설 속 상황을 더욱 선명하게 해주는 속담과 비유를 따로 정리해 수록했다.
부록으로 일제강점기 역사 요약표를 수록하여 일제의 식민통치와 그에 맞선 독립운동, 사회·문화 활동을 표로 정리했다.
‘큰 강〔대하大河〕’과 같은 규모와 흐름으로 한 사람 혹은 가계의 삶과 역사,
‘세상에 태어나 삶을 잇는 서러움’을 총체적으로 다루는 한국 대하소설 비교 읽기
대하소설 읽기를 통해 발견하는
《완독의 기쁨》
이 책은 한국 대하소설 대표작 박경리 《토지》(전 21권) · 조정래 《아리랑》(전 12권) · 김주영 《객주》(전 10권)의 소개와 줄거리, 읽은 후 느낌, 이슈별 검토를 통해 각 작품이 담고 있는 이야기와 그려내는 시대상과 역사, 작품 속에 드러나는 문제 등에 귀 기울이며 대하소설 작품에 조심스레 말을 건다.
또한 비교 읽기를 통해 소설 속 중요한 역사적 사실과 그 역할을 정리하고 《아리랑》과 《객주》에서 같고도 확연히 다른 방식으로 등장하는 보부상에 대한 검토, 작가가 가장 사랑한 작품 속 인물에 대한 탐색과 표로 정리한 《토지》 《아리랑》 《객주》의 등장인물 이름 비교,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 간 주고받는 감정과 사랑 장면 비교, 첫 문장·마지막 문장 비교, 우리말의 기쁨을 느낄 수 있게 해주고 소설 속 상황을 더욱 선명하게 해주는 속담과 비유를 따로 정리해 수록했다. 또한 부록으로 일제강점기 역사 요약표를 수록하여 일제의 식민통치와 그에 맞선 독립운동, 사회·문화 활동을 표로 정리했다.
저자는 ‘왜 대하소설을 읽는가’ 하는 질문에 대한 답으로 ‘인간의 유한성을 극복하는 수단으로서 타인의 삶 엿보기’의 측면과 작품 속에 등장하는 공간적 배경, 지역에 따른 사투리와 속담을 통해 깨닫는 ‘모국어의 아름다움’ 《토지》 《아리랑》 《객주》가 시간적 배경으로 삼고 있는 시기는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전반으로 우리나라 역사의 격변기를 다루는 만큼 ‘한국인만이 느낄 수 있는 역사적 감정’을 담고 있으며, 대하소설은 소설 중에도 ‘문학과 역사가 함께하는 장르’로서 두 가지를 같이 즐길 수 있다는 점을 꼽는다.
“문학 작품이든 미술 작품이든 음악이든 일단 완성되고 나면 창작자의 손을 떠나 그 작품을 감상하는 사람에 의해 평가되고 향유되므로, 백 명이 하나의 작품을 감상하면 백 개의 작품으로, 천 명이 감상하면 천 개의 작품으로 다시 태어난다. 그러므로 내가 읽은 《토지》 《아리랑》 《객주》는 나에 의해 새로이 창조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책을 읽는 행위는 드라마, 영화를 보는 것과 달리 책의 여백에 나의 상상을 가미해서 읽게 되므로 일정 부분 창작에 참여한 것이라 봐도 무리가 없겠다.”
저자는 총 43권, 방대한 분량의 대하소설 3종 《토지》 《아리랑》 《객주》를 완독하고 느낀 감상을 가다듬어 이 책 한 권에 담아냈다.
다양한 문화와 콘텐츠를 향유해온 저자는 “박경리 《토지》를 완독하고 나자 웬만한 책은 잘 읽어낼 것 같은 말도 안 되는 자신감이 들었다”고 말한다. 뭔가 해낸다는 것, 어쩌면 그것이 끝까지 읽고 자기 성장과 자기만의 결론에 도달하는 자기 인생의 ‘완독의 기쁨’인지도 모른다.
시대와 역사라는 큰 강의 흐름을 따라 흐르는 한 인물과 다양한 인간상 그리고 삶, ‘세상에 태어나 삶을 잇는 서러움’과 그 극복과 성장, 발전을 총체적으로 다루는 대하소설을 통해 우리는 현재 ‘주어진 삶을 어떻게 살아낼 것인가’ 질문해볼 수 있으며, 바닥에 발을 딛고 완독을 향해 가며 소설 속 인물들과 따로 또 함께 우리가 향유하는 문학과 현실 앞에 놓인 또 하나의 산을 넘을 수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목차
들어가는 말 ㆍ 7 대하소설이란? ㆍ 11 왜 대하소설을 읽는가 ㆍ 13 박경리 《토지》 소개 ㆍ 21 줄거리 ㆍ 26 읽은 후 느낌 ㆍ 72 이슈별 검토 ㆍ 100 조정래 《아리랑》 소개 ㆍ 115 줄거리 ㆍ 117 읽은 후 느낌 ㆍ 150 이슈별 검토 ㆍ 163 김주영 《객주》 소개 ㆍ 173 줄거리 ㆍ 177 읽은 후 느낌 ㆍ 197 이슈별 검토 ㆍ 208 대하소설 비교 읽기 중요 역사적 사실 ㆍ 219 소설 속 역사적 사실의 역할 ㆍ 228 보부상에 대한 검토 ㆍ 241 작가가 가장 사랑한 인물 ㆍ 243 등장인물 이름 비교 ㆍ 253 소설 속 사랑 장면 비교 ㆍ 282 첫 문장 비교 ㆍ 292 마지막 문장 비교 ㆍ 295 속담 모아 보기 ㆍ 300 부록 일제강점기 역사 요약표 부록을 만든 이유 ㆍ 307 맺는 말 ㆍ 319 표 차례 〈표 1〉 《토지》 등장인물 ㆍ 254 〈표 2〉 《아리랑》 등장인물 ㆍ 266 〈표 3〉 《객주》 등장인물 ㆍ 277 〈표 4〉 일제의 식민 통치 ㆍ 308 〈표 5〉 일제의 식민 통치에 맞선 독립운동 ㆍ 311 〈표 6〉 일제의 식민 통치에 맞선 사회 · 문화 활동 ㆍ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