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0964 | |
005 | 20230208131438 | |
007 | ta | |
008 | 230207s2022 ulk b AC 001c kor | |
020 | ▼a 9788971551905 ▼g 94910 | |
020 | 1 | ▼a 9788971550731 (세트) |
035 | ▼a (KERIS)BIB000016610291 | |
040 | ▼a 211048 ▼c 211048 ▼d 211009 | |
082 | 0 4 | ▼a 325.519 ▼a 951.901 ▼2 23 |
085 | ▼a 325.53 ▼2 DDCK | |
090 | ▼a 325.53 ▼b 2022z6 | |
100 | 1 | ▼a 이바른 |
245 | 1 0 | ▼a 고려시대 외국인 이주 연구 / ▼d 이바른 지음 |
260 | ▼a 서울 : ▼b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c 2022 | |
300 | ▼a 386 p. ; ▼c 23 cm | |
490 | 1 0 | ▼a 民族文化硏究叢書 ; ▼v 162 |
504 | ▼a 참고문헌(p. [365]-377)과 색인수록 | |
536 | ▼a 이 책은 용운장학재단이 한국학 연구의 발전과 신진 연구자의 연구성과 확산을 위해 지원하는 <용운 한국학 연구교수 지원사업>에 의하여 출판되었음 | |
830 | 0 | ▼a 민족문화연구총서 ; ▼v 162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5.53 2022z6 | Accession No. 11187567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고려의 외국인 수용(혹은 이주) 정책은 국가 간의 관계, 고려의 국가 및 민족 인식, 고려 내부의 사회 성격 등에 따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시대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고려사> 속 외국인 유입 형태를 분석해 고려의 외국인 정책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어 집필된 책이다. 저자는 외국인 유입 용례를 살펴보고 용어에 내포된 의미를 도출하여 그 유형을 구분한 다음, 고려 전기부터 후기까지의 외국인 유입에서 변화하는 특징을 통시적으로 조망하였다.
이 책은 그간 고려시대의 외국인 유입과 관련하여 유교 이념에 입각한 것이라고 본 관점에 의문을 제기하고 『고려사』 속 외국인 유입 형태를 분석해 고려의 외국인 정책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필자는 외국인 유입 용례를 살펴보고 용어에 내포된 의미를 도출하여 그 유형을 구분한 다음, 고려 전기부터 후기까지의 외국인 유입에서 변화하는 특징을 통시적으로 조망하였다. 결국 이 책의 주요 내용은 고려의 외국인 수용(혹은 이주) 정책이 국가 간의 관계, 고려의 국가 및 민족 인식, 고려 내부의 사회 성격 등에 따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시대마다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에 있다. 이처럼 이 책은 외국인 이주의 실제상을 그려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1장. 고려시대 외국인 이주 용례와 성격 2장. 고려 전기 외국인의 이주 사례와 특징 3장. 女眞의 고려 往來와 ‘內附’ 성격 4장. 金과의 외교 관계 성립과 외국인 수용 정책의 변화 5장. 원간섭기·고려 말 외국인 이주의 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