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민사고의 특별한 수업 : 세계가 주목한 민사고 융합영재교육의 비밀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선, 1982-, 저 이상형, 저 최민성, 저 박제우, 저
서명 / 저자사항
민사고의 특별한 수업 : 세계가 주목한 민사고 융합영재교육의 비밀 / 김선 [외]지음
발행사항
서울 :   혜화동,   2022  
형태사항
271 p. : 삽화, 도표 ; 21 cm
ISBN
9791190049283
일반주기
공저자: 이상형, 최민성, 박제우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0702
005 20230203170647
007 ta
008 230203s2022 ulkad 000c kor
020 ▼a 9791190049283 ▼g 43370
035 ▼a (KERIS)BIB000016197814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82 0 4 ▼a 371.95 ▼2 23
085 ▼a 371.95 ▼2 DDCK
090 ▼a 371.95 ▼b 2022
245 0 0 ▼a 민사고의 특별한 수업 : ▼b 세계가 주목한 민사고 융합영재교육의 비밀 / ▼d 김선 [외]지음
260 ▼a 서울 : ▼b 혜화동, ▼c 2022
300 ▼a 271 p. : ▼b 삽화, 도표 ; ▼c 21 cm
500 ▼a 공저자: 이상형, 최민성, 박제우
700 1 ▼a 김선, ▼d 1982-, ▼e▼0 AUTH(211009)8790
700 1 ▼a 이상형, ▼e
700 1 ▼a 최민성, ▼e
700 1 ▼a 박제우,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1.95 2022 등록번호 11187548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민사고에서는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적 합리성을 교육한다는 목표 아래 융합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고 있는데, 이 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세계 각지의 대학으로 진학하면서 민사고 융합교육이 전 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다. 3년간 민사고 자문위원으로 활동한 교육학자 김선과 민사고 24기 3명의 학생이 함께 쓴 <민사고의 특별한 수업>은 민사고 교육의 비밀을 밝힌다.

책은 융합이란 무엇인지, 융합교육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융합교육으로 학생들이 얻을 수 있는 역량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게 한다. 또한 융합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학계에서 논의되는 다양한 이론과 영국, 미국, 핀란드, 이스라엘, 스탠퍼드 대학 등 다른 나라의 융합교육 사례도 소개한다. 민사고 학생과 교사의 인터뷰는 융합교육에 대한 학교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전한다. 여기에 교육학자 김선이 융합교육에 대한 5가지 정의를 덧붙였다.

더불어, 융합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알고 싶은 이들을 위해 민사고 융합독서 수업 주요 도서 목록과 수업 지도안, 그리고 융합 프로젝트 발표회에서 우수작으로 선정된 프로젝트들의 보고서를 수록하였다.

다각도로 탐색하고 소통하고 협업하고
실패를 통해서 배우는 민사고의 특별한 수업

민사고의 융합교육 프로그램 3단계
융합독서 ․ 융합 상상력 ․ 융합 프로젝트

◎ 민사고의 수업을 엿보다


학생들이 학교 뒷산에 올라가 사진을 찍고, 신발을 기울어진 판에서 미끄러뜨려 보고, 아크릴판에 붙은 초파리를 센다. 융합 수업 중 민사고 학생들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모습이다. 교내 VR 지도를 만드는 프로젝트, 캄보디아 어린이들을 위한 싸고 편하고 안전한 신발을 만드는 프로젝트, 친환경적인 벌레 퇴치기를 만드는 프로젝트, 학교의 역사를 담은 박물관을 만드는 프로젝트 등 모두 민사고 융합수업의 일부다.
미래 사회는 새로운 인재상을 요구한다. 지금 학생들이 배우는 지식의 절반은 졸업 후에는 시대에 뒤떨어진 것이 된다고 예측한다. 그래서 ‘무엇을 아는가(What to know)’보다 ‘어떻게 아는가(How to know)’가 중요하다. 미래 사회 핵심 역량으로 꼽히는 창의력, 비판적 사고, 복합적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인지적 유연성’을 기르는 것이 필수다. 융합교육은 학생의 인지적 유연성을 어떻게 배양 발전시킬 수 있느냐를 초점으로 한다. 실리콘밸리 기업의 리더들을 가장 많이 배출한 것으로 유명한 스탠퍼드 대학의 ‘상징체계 수업’ 역시 ‘융합’에 그 비밀이 있다.
민사고에서는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적 합리성을 교육한다는 목표 아래 융합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고 있는데, 이 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세계 각지의 대학으로 진학하면서 민사고 융합교육이 전 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다. 3년간 민사고 자문위원으로 활동한 교육학자 김선과 민사고 24기 3명의 학생이 함께 쓴 《민사고의 특별한 수업》은 민사고 교육의 비밀을 밝힌다.

◎ 융합교육, 어떻게 해야 할까?

책은 융합이란 무엇인지, 융합교육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융합교육으로 학생들이 얻을 수 있는 역량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게 한다. 또한 융합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학계에서 논의되는 다양한 이론과 영국, 미국, 핀란드, 이스라엘, 스탠퍼드 대학 등 다른 나라의 융합교육 사례도 소개한다. 민사고 학생과 교사의 인터뷰는 융합교육에 대한 학교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전한다. 여기에 교육학자 김선이 융합교육에 대한 5가지 정의를 덧붙였다. 융합은 팀 사이언스이며, 대화와 소통의 과정이고, 문제 해결 과정이다. 실행과 반복을 통해 답을 찾아가는 메타인지 과정이기도 하다.
학생들은 수업 시간에 실생활과 연관된 주제 기반 프로젝트를 하면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스스로 모형을 만들어 보고, 시험해 보고, 다시 정교하게 고쳐 보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를 통해 단순히 지식을 습득하고 사용하는 것을 넘어서 의미 있는 생산을 하게 되고, 주체성과 창조성을 발현한다. 이런 의미에서 융합교육은 스스로 무언가를 창조해 볼 수 있게 격려하고 이에 알맞은 교육적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라 하겠다.
책 속에는 융합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알고 싶은 이들을 위해 민사고 융합독서 수업 주요 도서 목록과 수업 지도안, 그리고 융합 프로젝트 발표회에서 우수작으로 선정된 프로젝트들의 보고서를 수록하였다.

◎ 민사고의 특별한 수업, 융합교육 3단계

문과, 이과, 예술 분양의 단순한 지식적 통합이 아니라 각 분야가 가지고 있는 철학적 인식론 기반과 방법론을 연결하고 통합하여 새롭고 독창적인 결과를 만들어 내는 것을 추구한다. 이런 융합교육의 특징은 융합 독서, 융합 상상력, 융합 프로젝트 3단계로 구성된 프로그램에서 잘 드러난다.
1학년 때는 충분한 독서와 생각을 통해 지식 기반 및 사고력을 쌓도록 융합독서 수업을 수강한다. 인문, 사회, 과학, 수학, 예술 과목 교사 9명이 팀을 이루어 수업을 진행하는데, 학생들은 책만 읽는 것이 아니라 독서 후 글을 쓰고, 발표와 토론을 한다.
두 번째 단계는 인문사회와 자연과학 분야를 통합하는 융합 상상력 수업으로 2학년 1학기부터 3학년 1학기까지 3학기에 걸쳐서 진행된다. ‘포스트 휴머니즘’ 수업에서는 신경 과학 및 인지과학의 발견을 바탕으로 인간의 자유의지에 대해 생각해 보고, ‘현대미술과 물리’ 수업에서는 상대성 이론의 관점으로 현대미술의 해석을 시도한다.
세 번째 단계가 민사고 융합교육의 핵심인 융합 프로젝트 수업이다. 학생들은 2학년에서 3학년 때 2~7명이 팀을 구성하고 탐구 주제를 정하고 연구를 한다. 그리고 연구 결과를 보고서로 작성하고, 발표회를 갖는다.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프로젝트 수행 능력을 키우고, 다른 사람과 소통하고 협력하고 배려하는 법을 배운다.
학생들은 다각도로 탐색하고 소통하고 협업하며 실패를 통해 배워 나간다. 《민사고의 특별한 수업》이 보여준 민사고 융합교육 사례가 하나의 융합교육 모델로서 융합교육에 대한 길잡이가 되어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선(지은이)

영국 옥스퍼드대 출신 비교교육학 박사. 민족사관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학생으로는 최초로 옥스퍼드대에 입학했다. 철학, 정치, 경제(PPE) 통합 과정 학부를 졸업한 후 비교교육학 석·박사 과정을 마쳤다. 서울대학교 통일 평화연구원 연구교수 및 한국교육개발원 부연구위원을 역임했고, EBS 「교육저널」 메인 패널로 출연한 바 있다. 『교육의 차이』, 『Re-스타트, 다시 시작하는 교육』, 『언어의 쓸모』, 『처음 시작하는 비폭력 수업』 등 교육과 관련된 다수의 책과 논문을 펴냈다. 민사고만의 특별한 수업인 융합교육 프로그램에 자문위원으로 참여해 온 김선은 3년 여 동안의 성과를 『민사고의 특별한 수업』에 담았다. 이 책을 통해 융합교육을 어떻게 교육과정에 효과적으로 풀어낼 수 있을지 그 실마리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상형(지은이)

민족사관고등학교 24기 졸업. 민사고 융합 프로젝트 ‘민사고 융합 연구회’ 팀의 리더로서 전체 기획과 연락, 그리고 인터뷰를 맡았다. 경제학을 공부하여 전 세계적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고 데이터 기반 경제학의 기초를 확립하고자 한다.

최민성(지은이)

민족사관고등학교 24기 졸업. 민사고 융합 프로젝트 ‘민사고 융합 연구회’ 팀에서 전체 기획 및 인터뷰를 담당하였다. 앞으로 경영학을 전공하고 사회에 값진 기여를 할 수 있는 사람이 되고자 한다.

박제우(지은이)

민족사관고등학교 24기 졸업. 민사고 융합 프로젝트 ‘민사고 융합 연구회’ 팀에서 홈페이지를 제작하고 운영하였다. 컴퓨터 공학 및 인공지능을 전공하여 대한민국 국방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프롤로그 - 민사고 융합교육이 갖는 의미

1장 왜 융합교육일까?
융합교육이 대두된 필연적 이유
- 챌린저호 사건 / 달라져야 할 교육 패러다임 / 더욱 중요해진 사회정서적 능력 / 사회 변화를 반영하는 교과란? / 융합의 세 가지 개념 / 제3의 공간
융합형 인재를 키우기 위한 세계의 노력
- 핀란드의 현상기반학습 / 영국의 LIS(London Interdisciplinary School) / 이스라엘의 ‘화학의 맛’ 수업 / 미국의 HTH(High Tech High) / 스탠포드 대학의 상징체계 수업
우리나라 융합교육의 현실
- STEAM 교육 / 수학 과학 중심의 영재교육 / 우리나라 융합교육의 방향

2장 민사고 융합교육 3단계
민사고 융합교육의 목표
- 전 세계가 주목한 학교 / 민사고 융합영재교육의 특징
융합독서 수업
융합 상상력 수업
융합 프로젝트 수업

3장 VR Campus 프로젝트 - 융합은 팀 사이언스
VR Campus 프로젝트 소개
프로젝트 진행 과정
팀원들과의 인터뷰
지도교사 인터뷰
VR Campus 프로젝트로 본 융합교육

4장 소사 박물관 프로젝트 - 융합은 대화와 소통
소사 박물관 프로젝트 소개
프로젝트 진행 과정
팀원들과의 인터뷰
지도교사 인터뷰
소사 박물관 프로젝트로 본 융합교육
5장 민사킬라 프로젝트 - 융합은 문제 해결
민사킬라 프로젝트 소개
프로젝트 진행 과정
팀원들과의 인터뷰
민사킬러 프로젝트로 본 융합교육

6장 설레발 프로젝트 - 융합은 실행과 반복설레발 프로젝트 소개
프로젝트 진행 과정
팀원들과의 인터뷰
설레발 프로젝트로 본 융합교육

7장 민사고 융합연구회 프로젝트 - 융합은 메타인지
민사고 융합연구회 프로젝트 소개
프로젝트 진행 과정
팀원들과의 인터뷰
민사고 융합연구회 프로젝트로 본 융합교육

8장 학생의 주체성을 키워주는 교육
융합교육의 궁극적인 목적
- 변혁적 역량 / 전환 학습으로의 융합 영재교육
민사고 융합교육이 주는 시사점
- 융합교육에 대한 민사고 교사들의 피드백 / 진화하는 교육

관련분야 신착자료

이병환 (2023)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