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0672 | |
005 | 20230206110432 | |
007 | ta | |
008 | 230203s2022 ulka b 000a kor | |
020 | ▼a 9791160735987 ▼g 934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510.71 ▼2 23 |
085 | ▼a 510.71 ▼2 DDCK | |
090 | ▼a 510.71 ▼b 2018z6 ▼c 2022 | |
245 | 0 0 | ▼a 예비 수학 교사교육 = ▼x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 ▼b 교사교육 프로그램과 과제 / ▼d 권나영, ▼e 신보미 편집 ; ▼e 강현영 [외] |
260 | ▼a 서울 : ▼b 경문사, ▼c 2022 | |
300 | ▼a 230 p. : ▼b 삽화 ; ▼c 27 cm | |
490 | 1 0 | ▼a 한국수학교육학회·대한수학교육학회 연보 = ▼a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yearbook ; ▼v 2022 |
500 | ▼a 공저자: 김상룡, 김연, 김진호, 김희정, 방정숙, 여승현, 이봉주, 조호윤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700 | 1 | ▼a 강현영, ▼e 저 |
700 | 1 | ▼a 김상룡, ▼e 저 |
700 | 1 | ▼a 김연, ▼e 저 |
700 | 1 | ▼a 김진호, ▼e 저 |
700 | 1 | ▼a 김희정, ▼e 저 |
700 | 1 | ▼a 방정숙, ▼e 저 |
700 | 1 | ▼a 여승현, ▼e 저 |
700 | 1 | ▼a 이봉주, ▼e 저 |
700 | 1 | ▼a 조호윤, ▼e 저 |
700 | 1 | ▼a 권나영, ▼e 편 |
700 | 1 | ▼a 신보미, ▼e 편 |
830 | 0 | ▼a 한국수학교육학회·대한수학교육학회 연보 ; ▼v 2022 |
830 | 0 | ▼a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and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yearbook ; ▼v 2022 |
945 | ▼a ITMT | |
949 | ▼a 대한수학교육학회·한국수학교육학회 ; ▼v 2022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510.71 2018z6 2022 | 등록번호 11187545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수학교육 연구자 및 교육자에게 예비 수학교사교육의 미래 비전과 방향, 다양한 쟁점 및 과제를 탐색하여 적절한 실행 방안을 연구하고 제안할 것을 요구한다. 이에 2022년 연보는 예비 수학교사교육에 관해 살펴보고 앞으로의 비전에 대해 논하기 위한 시작점을 제공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 머리말 중에서
이 책에서 다루는 주제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 수학 교사교육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예비 수학교사교육에서 생각해 볼 이슈를 중심으로
• 예비 수학교사교육의 여러 연구 및 실습 사례들을 소개
• 예비 수학교사교육의 방향을 논하기 위해 실습 학기의 시범 운영 사례를 소개
정보제공 :

저자소개
방정숙(지은이)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수학교육) 교수 -서울교육대학교 졸 / 미국루이지애나주립대 대학원 박사
김상룡(지은이)
현재 대구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로, 경북대학교 통계학과에서 수학(이학박사)하였으며, 주된 관심분야는 ‘통계학습과 지도’, ‘생활수학’ 분야이다. 최근 연구물로는 저서 <생활과 수학의 만남(2003)>, <내 마음 속의 수학풍경(2011)>과 논문 “학습자와 함께 하는 수학게임 및 퍼즐 활용에 관한 연구(2010)”, “수학교육에서 상황인지이론의 적용 방안(2012)” 등이 있다.
권나영(지은이)
.미국 University of Georgia 수학교육전공(Ph.D.) .현) 인하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
이봉주(지은이)
신보미(지은이)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교수
강현영(지은이)
부산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 목원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
김진호(지은이)
교과서 집필진, 대구교대 수학교육과
여승현(지은이)
.미국 University of Missouri 수학교육전공(Ph.D.) .현) 미국 University of Alabama 초등수학교육 교수
김연(지은이)
현) 신라대학교 수학교육학과 교수 미시간 대학교 박사 학위(Ph.D. from the University of Michigan)
김희정(지은이)
조호윤(지은이)

목차
제 1 장 수학교사교육 연구의 동향 및 예비 수학교사교육의 이슈_방정숙 Ⅰ. 서론 1 Ⅱ. 수학교사교육 연구의 동향 4 Ⅲ. 예비수학교사 교육의 이슈와 방향 9 Ⅳ. 결론 21 제 2 장 마이크로티칭의 이론과 운영 사례_이봉주 Ⅰ. 예비 수학교사교육에서 마이크로티칭 27 Ⅱ. 협력 마이크로티칭 운영 사례 33 제 3 장 중등 예비 수학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포트폴리오 활용_강현영 Ⅰ. 예비 수학교사교육과 교수 포트폴리오 49 Ⅱ. 교사의 수업 능력 개발 53 Ⅲ. 중등 예비 수학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수-학습 포트폴리오 55 Ⅳ. 마치며 72 제 4 장 수학 수업 관찰 도구 활용이 예비 수학 교사의 주목하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_김연 Ⅰ. 서론 79 Ⅱ. 이론적 배경 80 Ⅲ. 자료 및 연구 방법 83 Ⅳ. 결과 89 Ⅴ. 결론 및 제언 94 제 5 장 협력적 수업연구를 접목한 예비 수학교사교육 사례_김희정 Ⅰ. 서론 101 Ⅱ. 협력적 수업연구 102 Ⅲ. 예비 수학교사교육에서 협력적 수업연구 접목 운영 사례 107 Ⅳ. 논의 및 제언 113 제 6 장 예비교사를 위한 수업 탐구대회: 교육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_김진호 Ⅰ. 서문 119 Ⅱ. 좋은 수업 탐구대회: 수업 실연을 중심으로 121 Ⅲ. 제언 141 제 7 장 교대의 교육실습 사례_김상룡 Ⅰ. 서론 및 이론적배경 151 Ⅱ. 대구교육대학교 교생 실습 관련 교육프로그램 153 Ⅲ. 결론 및 시사점 164 제 8 장 미국 초등 예비 수학교사 실습교육 사례: 면담과제를 활용한 관행기반 교사교육_여승현 Ⅰ. 서론 177 Ⅱ. 미국의 실습교육 사례 182 Ⅲ. 논의 및 결론 195 제 9 장 미국 중등 예비 수학교사 실습교육 사례: 3단계 실습 모델_조호윤 Ⅰ. 서론 201 Ⅱ. Capital University 중등 예비 수학교사 프로그램 202 Ⅲ. 결론 211 제 10 장 예비 수학교사교육의 방향과 과제_권나영, 신보미 Ⅰ. 서론 213 Ⅱ. 수업 실행 능력 개발을 위한 예비 수학교사교육 215 Ⅲ. 예비 수학교사교육의 과제와 실습학기제 220 Ⅳ. 제언 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