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알랭 바디우 세미나 : 자크 라캉 (Loan 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Badiou, Alain, 1937- 박영진, 역
Title Statement
알랭 바디우 세미나 : 자크 라캉 = Le séminaire : Jacques Lacan / 알랭 바디우 지음 ; 박영진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문예출판사,   2023  
Physical Medium
358 p. ; 22 cm
Varied Title
Lacan : l'antiphilosophie 3 : 1994-1995
ISBN
9788931023022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39-343)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Psychoanalysis
주제명(개인명)
Lacan, Jacques,   1901-1981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0452
005 20230209135448
007 ta
008 230201s2023 ulk b 001c kor
020 ▼a 9788931023022 ▼g 03160
035 ▼a (KERIS)REQ000058270494
040 ▼a 247009 ▼c 247009 ▼d 211009
041 1 ▼a kor ▼h fre
082 0 4 ▼a 150.19/5092 ▼2 23
085 ▼a 150.195092 ▼2 DDCK
090 ▼a 150.195092 ▼b 2023
100 1 ▼a Badiou, Alain, ▼d 1937- ▼0 AUTH(211009)31694
245 1 0 ▼a 알랭 바디우 세미나 : ▼b 자크 라캉 = ▼x Le séminaire : Jacques Lacan / ▼d 알랭 바디우 지음 ; ▼e 박영진 옮김
246 1 9 ▼a Lacan : ▼b l'antiphilosophie 3 : 1994-1995
246 3 1 ▼a Séminaire : ▼b Jacques Lacan
260 ▼a 서울 : ▼b 문예출판사, ▼c 2023
300 ▼a 358 p. ; ▼c 22 cm
504 ▼a 참고문헌(p. 339-343)과 색인수록
600 1 0 ▼a Lacan, Jacques, ▼d 1901-1981
650 0 ▼a Psychoanalysis
700 1 ▼a 박영진, ▼e▼0 AUTH(211009)27656
900 1 0 ▼a 바디우, 알랭, ▼e
945 ▼a ITMT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150.195092 2023 Accession No. 11187552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150.195092 2023 Accession No. 12126205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150.195092 2023 Accession No. 11187552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150.195092 2023 Accession No. 12126205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알랭 바디우가 1994~1995년에 진행한 세미나를 엮은 책이다. 바디우는 라캉의 여러 텍스트를 ‘반철학’이라는 키워드로 독해한다. 반철학은 철학의 제일 목표인 ‘진리’를 해임하고자 하는 담론을 말한다. 따라서 반철학의 관건은 철학자라고 하는 지독하게 아픈 인간을 낫게 하는 것이다. 서구 사유의 역사가 철학과 반철학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보는 바디우는 라캉의 텍스트를 정교하게 독해한 후 라캉을 ‘최후의 반철학자이자 가장 정교한 반철학자’라고 규정한다. 나아가 라캉 반철학의 비판으로부터 철학을 옹호하며 라캉 반철학 담론이 무엇을 놓치고 있는지를 지적한다.

요컨대 바디우는 끝내 라캉 반철학으로부터 철학을 옹호해내고, 라캉의 급진성을 철학 내부로 끌어온다. “저는 철학에 대항합니다”라는 라캉의 선언을 철학의 역사로 편입하는 것이다. 라캉과 바디우의 사유를 아끼는 독자라면, 동시대 가장 위대한 지성 중 하나인 바디우가 반철학이라는 키워드로 또 다른 거목인 라캉의 정신분석을 일관되게 독해한 <알랭 바디우 세미나 : 자크 라캉>에서 새로운 기쁨을 맛볼 수 있을 것이다.

라캉 정신분석은 최후의 반철학이자
가장 정교한 반철학이다

마르크스에게 레닌이 있다면
프로이트에게는 자신이 있다고 주장하는 라캉
그리고 이에 대한 알랭 바디우의 반박


《알랭 바디우 세미나: 자크 라캉》은 알랭 바디우가 1994~1995년에 진행한 세미나를 엮은 책이다. 바디우는 라캉의 여러 텍스트를 ‘반철학’이라는 키워드로 독해한다. 반철학은 철학의 제일 목표인 ‘진리’를 해임하고자 하는 담론을 말한다. 따라서 반철학의 관건은 철학자라고 하는 지독하게 아픈 인간을 낫게 하는 것이다. 서구 사유의 역사가 철학과 반철학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보는 바디우는 라캉의 텍스트를 정교하게 독해한 후 라캉을 ‘최후의 반철학자이자 가장 정교한 반철학자’라고 명명한다. 나아가 라캉 반철학의 비판으로부터 철학을 옹호하며 라캉 반철학 담론이 무엇을 놓치고 있는지를 지적한다.

‘진리’를 ‘실재’로 대체한 라캉
그로부터 정교화되는 라캉의 반철학


라캉은 철학의 진리를 ‘실재(트라우마, 성, 죽음, 오르가즘, 악몽, 육체적 증상 등)’로 대체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명백한 반철학자다. 바디우는 헤라클레이토스와 파르메니데스, 사도 바울과 그리스 철학자, 파스칼과 데카르트, 루소와 백과전서파, 키르케고르와 헤겔, 니체와 플라톤, 비트겐슈타인과 러셀 등 철학과 반철학의 역사를 경유하여 라캉 반철학을 역사화한다. 나아가 다른 반철학과 구분되는 라캉 반철학만의 특징을 제시한 후, 라캉 정신분석과 반철학이 맺고 있는 관계를 면밀히 검토하여 왜 라캉 정신분석이 최후의 반철학이자 가장 정교한 반철학인지를 논한다.

철학자들이 반철학의 문제의식을 다루지 않은 것은 아니었다. 칸트, 하이데거 등의 작업에도 반철학의 주제가 깃들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들은 반철학의 문제의식을 ‘철학’이라는 틀 내부에서 다루고자 했다. 무엇보다 그들에게는 ‘일관되게 철학을 하나의 병리성으로 지칭하는 급진적인 추월의 명제’가 부재하다는 것, 때문에 그들은 반철학자가 아니라는 것이 바디우의 해석이다.

반철학자 라캉이 빠진 함정
왜 라캉은 결국 철학으로 복귀할 수밖에 없는가?


바디우는 라캉 반철학의 주요 특징을 분석한다. 그는 라캉 반철학이 ‘철학은 수학에 막혀 있으며, 정치의 구멍을 메우고, 사랑을 담론의 중심에 배치한다’는 세 가지 핵심 공식을 갖고 있다고 명료화한 뒤, 이들 공식에 관한 해석을 차근히 전개해나간다. 나아가 진리를 탐구하는 철학 작업을 실재에 대한 지식 축적으로 대체하고자 하는 라캉 반철학의 시도를 면밀히 분석한다. 바디우는 철학에 대한 라캉의 비판이 날카롭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반복적으로 라캉의 공격으로부터 철학을 지켜내고자 하는데, 이 과정에서 바디우만의 독창적 라캉 해석이 빛을 발한다.

나아가 바디우는 라캉 반철학이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물음에 제대로 답변하지 못한다는 결정적 약점을 지녔다고 비판한다. 이 물음에 답하지 못하기 때문에 라캉 반철학이 철학으로 복귀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바디우의 진단이다. 바디우가 보기에 라캉은 정신분석의 실천과 치료에 대한 구체적 해명을 제공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는 필연적이다. 애초에 분석 행위가 일어나는 장소를 이론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면, 그것은 반철학이 아닌 철학이기 때문이다. 바디우는 세미나 참석자들의 강한 반발에도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는다. 바로 여기에 라캉 반철학 담론으로부터 철학을 옹호할 결정적 근거가 내재하기 때문이다.

요컨대 바디우는 끝내 라캉 반철학으로부터 철학을 옹호해내고, 라캉의 급진성을 철학 내부로 끌어온다. ‘저는 철학에 대항합니다’라는 라캉의 선언을 철학의 역사로 편입하는 것이다. 라캉과 바디우의 사유를 아끼는 독자라면, 동시대 가장 위대한 지성 중 하나인 바디우가 반철학이라는 키워드로 또 다른 거목인 라캉의 정신분석을 일관되게 독해한 《알랭 바디우 세미나: 자크 라캉》에서 새로운 기쁨을 맛볼 수 있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알랭 바디우(지은이)

모로코의 라바(Rabat)에서 태어났다. 프랑스 파리고등사범학교 출신으로 젊은 시절에는 사르트르주의자였고, 이후 알튀세르의 작업에 참여하여 1968년 과학자를 위한 철학 강의에서 ‘모델의 개념’이라는 제목으로 강연을 하기도 했다. 그러다 68년 5월 혁명 이후 확고한 마오주의 노선을 취하며 알튀세르와 결별했고, 1970년대 내내 마오주의 운동에 투신했다. 하지만 이후 프랑스에서 마오주의 운동이 쇠락하자 다른 정치적, 철학적 대안을 찾고자 노력한다. 마침내 바디우는 1988년 『존재와 사건』을 출판하여 철학의 새로운 전망을 열었고, 이후 2006년에 『존재와 사건』의 2부인 『세계의 논리』를 출간하고, 2018년에는 3부인 『진리들의 내재성』을 내놓음으로써 그의 진리 철학에 방점을 찍는다. 또한 그는 정치적 투사로서 2000년 이후 중요한 정치적 사안에 개입하여 신자유주의 정치를 신랄하게 비판하는 한편, ‘당 없는 정치’를 주창하며 의회민주주의에 대한 가장 근본적인 비판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정치적 개입은 『정황들』 연작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파리8대학 교수로 재직했고, 1999년부터 파리고등사범학교 교수로 활동했으며, 2002년에는 고등사범학교 부설 프랑스현대철학연구소를 창설했다. 현재는 미국과 영국 등지에서 활발한 강연 활동을 하고 있으며 프랑스현대철학연구소의 소장 직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철학을 위한 선언』, 『수와 수들』, 『조건들』, 『윤리학』, 『사도 바울』, 『세기』, 『유한과 무한』, 『투사를 위한 철학』, 『철학과 사건』, 『행복의 형이상학』, 『참된 삶』 등이 있다.

박영진(옮긴이)

연세대에서 학부와 대학원을 마치고, 캐나다 토론토대학교에서 라캉과 바디우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정신분석을 강의하고 있으며, ‘라캉정신분석연구소’에서 분석가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 『사랑 그 절대성의 여정』 『여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라캉, 사랑, 바디우』와 옮긴 책으로는 『임상사례로 읽는 라캉의 정신분석』 『라캉의 사랑』 등이 있다. 네이버 카페 ‘라캉 정신분석’ 운영 중.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자크 라캉을 다룬 1994~1995년 세미나에 관하여

1강 1994년 11월 9일
2강 1994년 11월 30일
3강 1994년 12월 21일
4강 1995년 1월 11일
5강 1995년 1월 18일
6강 1995년 3월 15일
7강 1995년 4월 5일
8강 1995년 5월 31일
9강 1995년 6월 15일

감사의 말
참고문헌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알랭 바디우 세미나 목록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