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경제학들의 귀환

경제학들의 귀환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홍훈, 1955-, 저 박순성, 朴淳成, 1957-, 저 박만섭, 朴萬燮, 1959-, 저 조은주, 趙恩珠, 1974-, 저 김양희, 金良姬, 1965-, 저 박동천, 朴東泉, 1958-, 저 류동민, 柳東民, 1965-, 저 안현효 安賢孝, 1965-, 저 김진방, 金鎭邦, 1958-, 저 전강수, 田剛秀, 1959-, 저 유종성, 柳鍾星, 1956-, 저 김종철, 1970-, 저
Title Statement
경제학들의 귀환 / 홍훈 [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박영률출판사,   2022  
Physical Medium
xiv, 572 p. : 삽화, 도표, 초상화 ; 19 cm
ISBN
9791128891298
General Note
공저자: 박순성, 박만섭, 조은주, 김양희, 박동천, 류동민, 안현효, 김진방, 전강수, 유종성, 김종철  
기획: 한국사회과학연구회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0451
005 20230202145036
007 ta
008 230201s2022 ulkacd b 000c kor
020 ▼a 9791128891298 ▼g 03320
035 ▼a (KERIS)BIB000016215730
040 ▼a 247009 ▼c 247009 ▼d 211009
082 0 4 ▼a 330.1 ▼2 23
085 ▼a 330.1 ▼2 DDCK
090 ▼a 330.1 ▼b 2022z4
245 0 0 ▼a 경제학들의 귀환 / ▼d 홍훈 [외]
260 ▼a 서울 : ▼b 박영률출판사, ▼c 2022
300 ▼a xiv, 572 p. : ▼b 삽화, 도표, 초상화 ; ▼c 19 cm
500 ▼a 공저자: 박순성, 박만섭, 조은주, 김양희, 박동천, 류동민, 안현효, 김진방, 전강수, 유종성, 김종철
500 ▼a 기획: 한국사회과학연구회
504 ▼a 참고문헌 수록
700 1 ▼a 홍훈, ▼d 1955-, ▼e▼0 AUTH(211009)130100
700 1 ▼a 박순성, ▼g 朴淳成, ▼d 1957-, ▼e▼0 AUTH(211009)103961
700 1 ▼a 박만섭, ▼g 朴萬燮, ▼d 1959-, ▼e▼0 AUTH(211009)26836
700 1 ▼a 조은주, ▼g 趙恩珠, ▼d 1974-, ▼e▼0 AUTH(211009)121753
700 1 ▼a 김양희, ▼g 金良姬, ▼d 1965-, ▼e▼0 AUTH(211009)133105
700 1 ▼a 박동천, ▼g 朴東泉, ▼d 1958-, ▼e▼0 AUTH(211009)71865
700 1 ▼a 류동민, ▼g 柳東民, ▼d 1965-, ▼e▼0 AUTH(211009)37872
700 1 ▼a 안현효 ▼g 安賢孝, ▼d 1965-, ▼e▼0 AUTH(211009)128576
700 1 ▼a 김진방, ▼g 金鎭邦, ▼d 1958-, ▼e▼0 AUTH(211009)17130
700 1 ▼a 전강수, ▼g 田剛秀, ▼d 1959-, ▼e▼0 AUTH(211009)98095
700 1 ▼a 유종성, ▼g 柳鍾星, ▼d 1956-, ▼e▼0 AUTH(211009)71669
700 1 ▼a 김종철, ▼d 1970-, ▼e▼0 AUTH(211009)67431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30.1 2022z4 Accession No. 12126205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한국사회과학연구회가 기획하고 KB금융공익재단이 후원한 <경제학 고전 강의>가 책으로 태어났다. 강의자들은 아리스토텔레스부터 토마 피케티까지 경제사상사의 거장 12명을 소개했다. 이 책은 강의의 내용을 보완해 사상가들의 아이디어가 우리나라 경제 현안에 어떤 답을 줄 수 있는지 충실히 기록했다.

여기서 멈추지 않고 강의 현장에서의 질문들을 모아 강의자들의 심도 깊은 대답을 담았다. 수학과 공식 위주의 주류 경제학뿐만 아니라 카를 마르크스 등의 비주류 경제사상가의 문제의식들이 이 책에 담겼다. 부동산, 기본소득 등 우리의 현실에 대답할 수 있는 경제학의 내러티브들이 이 책 안에 있다.

KB금융공익재단 홈페이지(kbfoundation.or.kr)에서 『경제학들의 귀환』 강의를 무료로 들으실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후 '온라인교육'에서 '경제학 고전 강의' 1~12강을 들어보세요.

경제학은 현실에 대답해야 한다.
숫자와 공식의 ‘경제학’으로는 부족하다.
우리는 현실에 대답하기 위해 ‘경제학들’을 귀환시킨다.

왜 ‘경제학들’인가?
지금 우리나라의 경제학은 수학과 공식의 주류 경제학 위주로 편성되어 ‘경제학’이 곧 ‘수학’을 말하는 시대가 되었다. 하지만 이 책의 중심이 되는 것은 경제사상사다. 경제학을 만든 아이디어들을 돌아보는 것이다. 이 아이디어들에는 역사와 이야기, 오류와 정답이 있다. 이 책은 하나의 공식으로는 관통되지 않는 역사적 삶의 흔적들이 ‘경제학’이 아닌 복수의 ‘경제학들’을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 책은 『경제학의 귀환』이 아니라 『경제학들의 귀환』이다.

무엇이 귀환하는가?
경제사상가들이 귀환한다. 2400년 전 아리스토텔레스부터 오늘날 토마 피케티까지 경제사상사의 거장들이 우리나라 경제학 전문가들의 입을 통해 귀환한다. 이 책은 2021년 사회과학연구회와 KB금융공익재단이 연 <경제학 고전 강의>를 책으로 엮은 것이다.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경제사상가들의 삶과 아이디어를 밀도있게 정리했다. 나아가 사상가들의 아이디어를 통해 지금-여기의 문제에 대답하고자 했다.

어떻게 대답하는가?
질문을 허공에서 시작할 수는 없다. 대답하기 위해선 질문이 있어야 한다. 우리는 독자들에게 아이디어를 던짐과 동시에 질문을 얻었다. 강의 현장에서 독자들이 궁금할 법한 청중들의 생생한 질문을 모았다. 누군가는 데이비드 리카도가 살아있다면 보유세를 어떻게 평가할지 물었다. 또 누군가는 카를 마르크스가 인공지능 노동을 어떻게 평가할지 물었다. 필자들은 현장에서의 답변을 충실히 보완해 원고로 남겼다. 이 방식으로 동시대를 관통하는 질문과 대답들을 모을 수 있었다.

그 대답은 유효한가?
물론이다. 이 책은 경제학들로 가득한 열두 개의 내러티브다. 내러티브는 유연하다. 맥락이 있다. 이 책의 내러티브는 시장경제를 말해야할 때 애덤 스미스로 시장경제를, 착취를 말해야할 때 마르크스로 착취를, 기본소득을 말해야 할 때 판 파레이스로 기본소득을 말한다. 그러나 경제 위기를 말해야 할 때는 열 두개의 내러티브가 여러 소리를 내며 독자를 자극한다. 하나의 경제학 공식으로는 내러티브를 만들 수 없다. 『경제학들의 귀환』이 제공하는 대답이 유효한 이유는 간단하다. 당신이 무엇을 고민하든, 이 책에서 그 고민을 만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 고민이 기다리던 내러티브를 말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홍훈(지은이)

연세대학교 명예교수다. 연세대학교와 뉴욕 사회과학대학에서 경제학을 공부한 후, 경제사상, 정치경제학, 경제이념, 행동경제학 등을 가르치며 연구해왔다. 현재는 신고전학파 경제학의 이념과 이론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박동천(지은이)

1958년 전라남도 목포에서 태어나서 진도에서 중학교까지 다녔다. 그 후 서울 여의도 고등학교를 졸업했고, 서울대학교 철학과에 들어갔다가 2학년 때 그만두었다. 무슨 대단한 이유가 있었던 것은 아니고, 시대와 자신을 화해시킬 길을 찾지 못했을 뿐이라고 회상한다. 국민대학교 정치학과에 새로 들어가 2학년 때 군대에 갔는데, 1980년 5월 이등병으로 휴가 나왔다가 ‘서울의 봄’을 실감했다. 책을 읽어야겠다는 기특한 생각을 오랜만에 되살리고는 헤겔의 《역사철학강의》를 사 들고 귀대했다. 그 다음날이 5월 17일이었다. 책을 다시 읽기 시작한 것은 1982년부터였다. 복학하고 대학원에 가고, 기회가 닿아 미국에도 갔다. 처음엔 미국에서 경영학 석사를 취득해 취직하고 결혼하고 애 낳아 기를 생각이었다. 하지만 공부에 대한 미련이 가시지 않은데다가 마침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장학금을 주겠다고 하여 정치철학을 하는 데까지 해보기로 마음먹었다. 그리고 플라톤과 비트겐슈타인을 전공해 정치학 박사가 되었다. 소크라테스에게서는 무지의 자각을 배웠고 비트겐슈타인에게서는 일반성을 추구하는 병에 대한 경계심을 배웠다. 그리고 은사였던 고 피터 윈치 교수에게서 지적 정직과 인간적 성실을 배웠다. 여러 대학에서 정치사상과 정치이론을 강의했고, 2001년부터 전북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 재직하고 있다. 그동안 〈소크라테스의 의무〉, 〈시몬 베유의 삶과 철학: 가담과 관조의 균형〉, 〈사회적 규칙과 사회연대〉, 〈올리버 크롬웰과 자유주의〉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주요 저서로 《깨어 있는 시민을 위한 정치학 특강》, 《이상국가론》(공저), 《서양 근대 정치사상사》(공저), 《플라톤 정치철학의 해체》 등이 있고, 역서로 《근대 정치사상의 토대 I》, 《이사야 벌린의 자유론》이 있다.

류동민(지은이)

학사·석사·박사과정을 모두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서 마쳤다. 몸을 움직이지 않고 말과 글로 먹고사는 일만 해온 것을 부끄럽게 여기고 있다. 현재는 충남대학교 경제학과 교수이며, 정치경제학, 경제학설사, 분배와 민주주의의 경제학 등의 교과목을 강의한다. 지은 책으로는 《9명의 경제학자들》, 《시간은 어떻게 돈이 되었는가?》, 《기억의 몽타주》, 《이상하고 아름다운 밥벌이의 경제학》 등이 있다.

박순성(지은이)

동국대학교 북한학과 교수다. 북한연구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사회경제학회 편집위원장,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소장, 민주정책연구원 원장을 역임했다. 북한 주민 인도적 지원과 인권개선운동을 전개하는 ‘좋은벗들’ 이사를 맡고 있다.

김진방(지은이)

인하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듀크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 조교수로 경제학의 역사와 방법을 연구해왔고, 귀국 후 한국 재벌에 대한 실증 연구를 수행했다.

박만섭(지은이)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다. 학생들에게 대부분의 경제학 교과서가 취하는 시각과 다른 시각으로 경제와 경제학을 보도록 가르치고 있다. 정치경제학, 경제와 철학, 자본과 분배, 화폐와 성장 등에 관하여 연구한다.

김종철(지은이)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다. 요크대학교 정치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막스플랑크사회연구소, 카를로스 3세 왕립대학, 컬럼비아 법학대학 연구교수로 재직했다. 2014년 미국 진화경제학회에서 올해의 논문상을 받았다.

김양희(지은이)

동경대학교 경제학 박사다. 삼성경제연구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등을 거쳐 대구대학교 경제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대학을 휴직하고 국립외교원에서 개방형 직위인 경제통상개발연구부장을 맡고 있다.

안현효(지은이)

대구대학교 일반사회교육과 교수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사단법인 혁신더하기연구소 소장으로, 고등교육정책, 화폐정책, 기본소득, 에너지와 전력 등 경제 문제를 연구한다.

전강수(지은이)

대구가톨릭대학교 경제금융부동산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부터 헨리 조지 경제학을 연구했다. 토지 연구로부터 한국의 부동산 정책에 관심을 두게 되었다.

유종성(지은이)

가천대학교 가천리버럴아츠칼리지 겸 사회정책대학원 교수다.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고 YMCA 전국연맹 간사와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정책실장 및 사무총장을 역임했다. 하버드대학교에서 공공정책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조은주(지은이)

전북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생산과 재생산의 정치에 주목하면서 통치성의 맥락에서 가족 및 인구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비판사회학회 연구위원장, 한국사회학회 총무이사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가족과 통치: 인구는 어떻게 정치의 문제가 되었나』(2018), 『사회과학 지식의 담론사』(공저, 2019), 『경제학들의 귀환』(공저, 2022), 논문으로 「인구통계와 국가형성」(2014), 「발전국가와 젠더: 통치의 성별화, 성별화된 주체화」(2021), “Making the ‘Modern’ Family: The Discourse of Sexuality in the Family Planning Program in South Korea”(2016)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머리말 경제학 고전에서 삶의 길을 찾다 / 이일영

Ⅰ 경제학의 대답: 역사
01 아리스토텔레스와 시장경제 / 홍훈
02 애덤 스미스와 ‘애덤 스미스 문제’ / 박순성
03 데이비드 리카도와 『정치경제학 원리』 / 박만섭
04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와 인구, 디스토피아 / 조은주
05 프리드리히 리스트와 21세기 보호주의 / 김양희
06 존 스튜어트 밀과 사회적 자유주의 / 박동천
07 카를 마르크스와 오늘날의 『자본론』 / 류동민
08 피에르 조제프 프루동과 미완의 혁명 / 안현효
09 윌리엄 스탠리 제번스와 한계혁명 / 김진방

Ⅱ 경제학의 대답: 현실
10 헨리 조지와 시장친화적 토지공개념 / 전강수
11 필리프 판 파레이스와 실질적 자유, 기본소득 / 유종성 
12 토마 피케티와 조세국가 / 김종철

대담 시대와 경제학 고전을 읽다 / 이일영 류동민 정준호 전병유 허현희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Acemoglu, Daron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