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0432 | |
005 | 20230202151922 | |
007 | ta | |
008 | 230201s2023 ulka 000c kor | |
020 | ▼a 9791191503913 ▼g 03350 | |
040 | ▼a 211092 ▼c 211092 ▼d 211092 | |
082 | 0 4 | ▼a 658.311 ▼2 23 |
085 | ▼a 658.311 ▼2 DDCK | |
090 | ▼a 658.311 ▼b 2023 | |
245 | 0 0 | ▼a #공공면접 = ▼x Servant interview : ▼b 이제는 면접이다 / ▼d 양기근 [외] 지음 |
246 | 3 0 | ▼a 공공면접 : ▼b 이제는 면접이다 |
260 | ▼a 서울 : ▼b 윤성사, ▼c 2023 | |
300 | ▼a 271 p. : ▼b 삽화 ; ▼c 23 cm | |
490 | 1 0 | ▼a 도서출판 윤성사 ; ▼v 180 |
500 | ▼a 공저자: 김영재, 고대유, 류상일, 박범준, 정병수, 정원희, 조민상, 채진 | |
500 | ▼a 부록: 1. 면접관의 행동 수칙, 2. 면접 관련 법령 | |
504 | ▼a 참고문헌: p. 262-269 | |
650 | 8 | ▼a 면접 시험[面接試驗] |
700 | 1 | ▼a 양기근, ▼e 저 |
700 | 1 | ▼a 김영재, ▼e 저 |
700 | 1 | ▼a 고대유, ▼e 저 |
700 | 1 | ▼a 유상일, ▼e 저 |
700 | 1 | ▼a 박범준, ▼e 저 |
700 | 1 | ▼a 정병수, ▼e 저 |
700 | 1 | ▼a 정원희, ▼e 저 |
700 | 1 | ▼a 조민상, ▼e 저 |
700 | 1 | ▼a 채진, ▼e 저 |
830 | 0 | ▼a 도서출판 윤성사 ; ▼v 180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658.311 2023 | Accession No. 131056945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4-10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은 면접의 기본 원리부터 면접의 방향까지 아우르며,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관점에서 공공부문 면접에 관한 모든 것을 담고 있습니다. 공공부문(경찰공무원, 소방공무원, 일반공무원, 공공기관) 면접을 준비하거나 해당 면접관분들에게도 유용한 책입니다. 면접에 관한 실용적인 부분도 QR코드를 통한 영상으로 충분히 제공하기도 하는 책입니다.
머리말
『#공공면접』은 공무원을 희망하거나 필기시험을 통과해 면접을 준비해야 하는 지원자와 면접관으로 참여한 분들이 읽어볼 수 있도록 집필한 책이다. 시중에 발간되는 수많은 면접 대비 서적은 철저하게 실용적이고 수험을 대비하려는 목적에 맞춰져 있다. 그렇지만 이 책은 면접의 기본 원리부터 면접의 방향까지 아우르고 있으며,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관점에서 공무원 면접을 살펴봤다는 점이 특징이다.
국가직무능력표준은 정부가 산업별로 직무능력을 표준화 해 전문대학, 대학, 산업계에 적용하고 있는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직무능력은 공직자에게도 그대로 적용되며 개인이나 조직은 직무능력을 향상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여기서 의미하는 ‘직무능력’은 ‘역량’이라고 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충분히 노력하면 얼마든지 계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역량을 얼마나 갖추었는지를 ‘면접’에서 확인하는 것이 한국을 이끌어 가는 올바른 공직자를 선발하는 면접의 진정한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더 넓게 보면 ‘면접’은 어느 조직이나 적합한 인재를 채용하는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구성은 첫째, ‘면접의 원리’에서 적합한 인재 채용, 역량 면접의 특징, 공공면접의 기준을 제시한다. 이는 공직만이 아니라 일반 기업에서도 이미 활용되는 내용이다. 둘째, ‘면접 평가 요소’는 면접 평정 개요를 비롯해 일반·소방·경찰 공무원 면접의 평정 기준을 소개한다. 아울러 면접 공통 질문과 채점 방식, 평가 요소와 등급 산정이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는지 설명한다.
셋째,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각 직업기초능력에 따른 관점과 면접 대비 요령을 서술한다. 이는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자원관리능력, 대인관계능력, 정보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으로 구분했으며, 수리능력을 부분적으로 포함한다. 넷째, 국내 면접과 해외 면접 사례를 수록했는데 이는 앞으로 공공면접의 변화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판단에서 비롯되었다. 그리고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공공면접에 도전하는 사람의 역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려면 국내외 주요 기업의 사례를 살펴봐야 한다. 마지막으로 직업윤리와 면접의 방향을 탐색하면서 인성 면접을 언급한다. 시대가 달라져도 공직자의 직업윤리는 매우 중요하며 면접 지원자의 인성을 알아보려는 노력은 계속되기 때문이다.
면접이 중요한 시대이다. 면접을 통하여 조직이 원하는 인재를 찾고, 면접을 통하여 나의 능력을 드러내는 시대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공공면접』이 나오기까지 함께 해준 저자들과 윤성사 정재훈 대표, 그리고 꼼꼼하게 편집과 교정으로 더 좋은 책이 될 수 있게 해 주신 모든 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23년 1월
저자 일동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정병수(지은이)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석사, 박사(범죄학) 현) 세한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경찰공무원 채용시험 출제위원 청원경찰 채용시험 출제위원 국가공인 신변보호사 출제위원
양기근(지은이)
경희대학교 행정학 박사 현(現) 원광대학교 소방행정학과 교수 소방청 제3기 자체평가위원회 위원 전(前) 국가위기관리학회 회장(2018년)
채진(지은이)
현)목원대학교 소방안전학부 교수(학부장) 목원대학교 신문·방송 주간 전)소방청 중앙소방학교 전임교수 경기도 소방학교 전임교수 충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졸업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행정학 석사,박사 [경력] 소방공무원 채용시험 출제위원 서울시 공무원 채용시험 출제위원 해양경찰청 자문위원 충청북도의회 자문위원 충북경제자유구역청 건축위원회 위원 [저서] #공공면접(윤성사, 2023,공저) 소방행정법총론(윤성사, 2022,공저) 키워드로 보는 생활과 안전(윤성사, 2022,공저) 소방학개론 제3판(윤성사, 2022,공저) 인명구조학개론(동화기술, 2021,공저) 소방정책학(윤성사, 2021,공저) 재난관리론(윤성사, 2020,공저) 화재진압론(동화기술, 2019) 안전관리론(동화기술, 2017) 방재학(구미서관, 2017) 소방행정실무(예스미디어, 2013,공저)
류상일(지은이)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학과 행정학박사(소방행정 및 재난행정)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북한학과 정책학 박사 과정(국가안보 및 통일정책) 현(現) 동의대학교 소방방재행정학과 교수 외교부 재외국민보호위원회 위원 소방청 정책자문위원 국가직 및 지방직 5급, 7급, 9급 공무원시험 출제위원
조민상(지은이)
순천향대학교 경찰학 박사 현(現) 신라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전(前) 한국융합과학회 편집위원장
정원희(지은이)
경희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건양대학교 국방경찰행정학부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인사, 조직, 과학기술정책, 기후변화, 갈등 등이며, 최근 주요 논문으로는 “Socio-ecological resilience of Oil spill: Focusing on the hebei spirit oil spill on the west coast of Korea”(2016),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K 대학교를 중심으로”(2017), “공공재로서의 안전과 안전복지 강화 방안: 충청남도를 중심으로”(2017), “IPA 매트릭스를 활용한 국립관리공단의 목표 및 과제 우선순위 분석: 보호지역 관리에 대한 TBL 지속가능성이론을 중심으로”(2017), 저서로 『쉽게 쓴 행정학』(2017) 등이 있다(chung0405@konyang.ac.kr).
김영재(지은이)
[약력] 단국대학교 대학원 졸업(행정학 박사) 한국행정사학회 간사 한국행정학회·한국정책개발학회 평생회원 현) 단국대학교 행정학과 초빙교수 [주요저서 및 논문] 『인권이야기』(윤성사, 2020) 『토착화 사례연구』(대영문화사, 2020) 『한국의 사회 문제』(윤성사, 2019) 『한국의 사회문화』(윤성사, 2018) 「조선조 역병과 코로나19바이러스에 대한 정부의 대응에 관한 소고」(한국행정사학지, 2020) 「한국 정부의 고용 정책 변천에 관한 소고」(한국행정사학지, 2018) koreafmkyj@hanmail.net
고대유(지은이)
- 대진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 학력 경희대학교, 동 대학원 졸(행정학 박사) -경력(현) 한국접경지역통일학회/한국지방행정학회/한국갈등학회 편집위원 국가위기관리학회 기획위원 한국정부학회 대외협력위원 한국행정학회 운영이사 -경력(전) 한국공공선택학회 총무위원장 서울연구원 안전환경연구실 초빙부연구위원 성균관대학교 거버넌스연구센터(SSK) 선임연구원 경희대학교 행정연구소 선임연구원 -논문 감염병 재난 거버넌스 비교연구-사스와 메르스 사례를 중심으로(한국정책학회보, 27권 1호, 2018) 한국의 행정문화를 적용한 침묵현상의 개념화와 측정도구 개발-순응적 침묵을 중심으로(한국행정학보, 51권 4호, 2017) 한국의 조직침묵 연구에 관한 메타분석(한국행정연구, 26권 1호, 2017) 외 다수
박범준(지은이)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박사수료 현(現) 건양대학교 연구전문교수

Table of Contents
일러두기
Ⅰ. 면접의 원리
#01 적합한 인재 채용
#02 역량 면접의 특징
#03 행동 사건 면접의 확대
#04 공공면접의 기준
#05 면접 준비 고려 사항
Ⅱ. 면접 평가 요소
#06 면접 평정 개요
#07 일반공무원 면접의 평정
#08 소방공무원 면접의 평정
#09 경찰공무원 면접의 평정
#10 면접 공통 질문과 채점 방식
#11 면접 평가 요소와 등급 산정
#12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면접의 특징
Ⅲ. 의사소통능력
#13 의사소통능력의 개념
#14 의사소통능력의 구성 요소
Ⅳ. 문제해결능력
#15 문제해결능력의 개념
#16 문제해결능력의 구성 요소
Ⅴ. 자기개발능력
#17 자기개발능력의 개념
#18 자기개발능력의 구성요소
Ⅵ. 자원관리능력
#19 자원관리능력의 개념
#20 자원관리능력의 구성요소
Ⅶ. 대인관계능력
#21 대인관계능력의 개념
#22 대인관계능력의 구성 요소
Ⅷ. 정보기술능력
#23 정보기술능력의 개념
#24 정보기술능력의 구성요소
Ⅸ. 조직이해능력
#25 조직이해능력의 개념
#26 조직이해능력의 구성요소
Ⅹ. 국내 면접 사례
#27 다양한 면접 유형
#28 국내 기업의 면접 사례
Ⅺ. 해외 면접 사례
#29 해외 기업의 면접 질문
#30 해외 기업의 면접 사례
Ⅻ. 직업윤리와 면접의 방향
#31 직업윤리와 인성 면접
#32 인성 면접의 중요성
맺음말
부록 1) 면접관의 행동 수칙
부록 2) 면접 관련 법령
Information Provided By: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