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양자계산과 양자정보 (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Nielsen, Michael A., 1974- Chuang, Isaac L., 1968- 이승준, 역
서명 / 저자사항
양자계산과 양자정보 / 마이클 A. 닐슨, 아이작 L. 추앙 지음 ; 이승준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에이콘,   2022  
형태사항
943 p. : 삽화 ; 26 cm
원표제
Quantum computation and quantum information (10th anniversary ed.)
ISBN
9791161756806
일반주기
부록: A1. 기본적인 확률론에 대한 참고사항, A2. 군론, A3. 솔로베이-키타예프 정리 외  
서지주기
참고문헌(p. [893]-910)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Quantum computers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0381
005 20230201144916
007 ta
008 230201s2022 ulka b 001c kor
020 ▼a 9791161756806 ▼g 93000
035 ▼a (KERIS)BIB000016556489
040 ▼a 248019 ▼c 248019 ▼d 24801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0 ▼a 004.1 ▼2 23
085 ▼a 004.1 ▼2 DDCK
090 ▼a 004.1 ▼b 2022
100 1 ▼a Nielsen, Michael A., ▼d 1974-
245 1 0 ▼a 양자계산과 양자정보 / ▼d 마이클 A. 닐슨, ▼e 아이작 L. 추앙 지음 ; ▼e 이승준 옮김
246 1 9 ▼a Quantum computation and quantum information ▼g (10th anniversary ed.)
260 ▼a 서울 : ▼b 에이콘, ▼c 2022
300 ▼a 943 p. : ▼b 삽화 ; ▼c 26 cm
500 ▼a 부록: A1. 기본적인 확률론에 대한 참고사항, A2. 군론, A3. 솔로베이-키타예프 정리 외
504 ▼a 참고문헌(p. [893]-910)과 색인수록
650 0 ▼a Quantum computers
700 1 ▼a Chuang, Isaac L., ▼d 1968-
700 1 ▼a 이승준, ▼e
900 1 0 ▼a 닐슨, 마이클 A., ▼e
900 1 0 ▼a 추앙, 아이작 L.,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004.1 2022 등록번호 121262096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4-21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004.1 2022 등록번호 12126228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양자계산과 양자정보의 바이블로 불리는 이 책은 명저로 평가받으며 이 분야에서 최고의 교재로 자리 잡고 있다. 출간된 지 22년이 지났어도 1990년대 양자 컴퓨팅 격동기의 지식이 고스란히 집약돼 있다. 그리고 현재의 기술이 그 지식에 바탕을 두고 있으므로 지금까지도 책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풍부한 그림과 연습 문제가 수록돼 있어 해당 주제의 과정을 섭렵하기에 좋으며 물리학, 컴퓨터 과학, 수학, 전기공학 분야 등의 고급 대학생에서부터 연구자에 이르기까지 흥미를 갖고 읽을 만한 책이다.

◈ 이 책의 구성 ◈

구체적인 내용을 먼저 소개한 뒤에 좀 더 일반적인 내용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양자정보보다 양자계산을 먼저 알아볼 것이다. 구체적인 양자 오류정정 코드를 먼저 다룬 뒤에 좀 더 일반적인 양자정보이론의 결과들을 설명한다. 그리고 책 전반에 걸쳐서 예제를 먼저 소개한 후, 일반적인 이론을 전개하고자 시도할 것이다.
1부에서는 양자계산 및 양자정보 분야의 주요 아이디어와 결과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를 다루고 양자계산 및 양자정보를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필요한 컴퓨터 과학, 수학, 물리학의 배경지식으로 나아간다. 1장은 이 분야의 역사적 발전과 근본적인 개념을 알아보는 개론 장이며 주요 미해결 문제를 언급한다. 여기 지식은 컴퓨터 과학이나 물리학 배경 없이도 알 수 있게 구성했다.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는 배경지식은 2장과 3장에 다루며, 양자역학과 컴퓨터 과학의 기본 개념을 깊이 있게 설명한다. 자신의 지식 정도에 따라 1부의 각 장을 집중적으로 봐도 되고, 나중에 양자역학 및 컴퓨터 과학의 기본 지식에 미흡한 점이 있을 때 다시 1장에서 3장을 들춰봐도 좋다.
2부에서는 양자계산에 관해 자세히 설명한다. 4장에서는 양자계산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근본 요소에 대해 설명하고 좀 더 정교한 양자계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기초 연산을 많이 제시한다.
5장과 6장에서는 현재 2개의 근본 알고리듬으로 알려진 양자 푸리에 변환과 양자탐색 알고리듬에 대해 기술한다. 5장에서는 인수분해 및 이산대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자 푸리에 변환을 사용하는 방법과 이들 결과가 암호 기법에 끼친 중요성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7장에서는 실험실에서 성공적으로 입증된 몇 가지 실현 사례를 사용해 양자 컴퓨터의 물리적 구현을 위한 일반적인 설계 원칙과 기준을 설명한다.
3부는 양자정보에 관한 것이다. 양자정보란 무엇인지, 양자상태를 사용해 어떻게 정보를 표현하고 전달하는지, 양자정보 및 고전정보의 손상을 어떻게 묘사하고 처리하는지 다룬다.
8장에서는 현실적인 양자정보 처리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양자 노이즈의 특성 그리고 양자 노이즈를 이해하기 위한 강력한 수학 도구인 양자연산 형식체계에 관해 설명한다.
9장에서는 양자정보에 대한 거리측도(distance measure)를 설명하는데 이는 양자정보의 두 항목이 유사하다고 말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양적으로 정밀하게 알려준다.
10장에서는 양자 오류정정 코드에 대해 설명하는데 이 코드를 사용해 노이즈 영향으로부터 양자계산을 보호할 수 있다. 10장의 중요한 성과는 임계값 정리(threshold theorem)인데, 이 정리는 현실적인 노이즈 모델의 경우 노이즈는 원칙적으로 양자계산에 심각한 방해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11장에서는 엔트로피의 기본정보이론 개념을 소개하며 고전정보이론과 양자정보이론 양쪽의 많은 엔트로피 특성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12장에서는 양자상태와 양자통신 채널의 정보 전달 특성에 대해 논의하며, 고전정보 및 양자정보를 전송할 때와 비밀 정보를 전송할 때 시스템이 지닐 수 있는 이상하고 흥미로운 특성을 자세히 설명한다.
많은 확인문제와 연습문제가 포함하고 있다. 확인문제는 기본 지식을 잘 이해하게 하며 본문 중에 나온다. 짧은 시간 내에 풀 수 있을 것이다. 연습문제는 각 장의 끝에 나오며 본문에서 충분히 다루지 않은 새롭고 흥미로운 지식을 소개한다. 연습문제는 종종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어느 정도 깊이 있는 사고력을 요한다. 어떤 문제는 이 책이 출판될 당시 미해결 상태였다. 이런 문제에 대해서는 언급해놓았다.

부록 1에서는 기본 정의, 표기법 그리고 기본적인 확률론의 결과를 알아본다. 여기 자료는 독자에게 익숙할 것이며 쉽게 참조할 수 있게 했다.
마찬가지로 부록 2에서는 군론의 기본 개념들을 알아보는데 주로 편의상 포함시킨 것이다.
부록 3에는 양자계산에 있어서 중요 결과인 솔로베이-키타예프(Solovay-Kitaev) 정리에 대한 증명을 넣었는데 이 증명으로 양자 게이트의 유한집합을 사용해 임의의 양자 게이트를 빠르게 근사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부록 4에서는 인수분해 및 이산대수에 관한 양자 알고리듬과 RSA 암호체계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정수론의 기초 자료를 알아보고 부록 5에서는 그 암호체계 자체를 살펴본다.
부록 6에서는 리브(Lieb) 정리를 알아보는데, 이 정리는 양자계산 및 양자정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결과 중 하나이며 유명한 강한 준가법성 부등식(strong subadditivity inequality)과 같은 중요 엔트로피 부등식의 선구자 역할을 했다. 솔로베이-키타예프 정리와 리브 정리에 관한 증명은 아주 길어서 본문과 별개로 취급하는 게 낫겠다고 느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마이클 닐슨(지은이)

퀸즐랜드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뉴멕시코대학교에서 풀 브라이트 장학생으로 다녔다. 로스 알라모스 국립연구소에서 근무했고 칼텍에서는 리처드 체이스 톨먼 펠로우였으며, 퀸즐랜드대학교의 양자정보 과학재단 교수이자 연맹 펠로우였고 페리미터(Perimeter) 이론 물리학 연구소의 선임 교수였다. 오픈 사이언스(open science)에 관한 책을 집필하기 위해 페리미터 연구소를 떠났으며 지금은 캐나다 토론토에서 살고 있다.

아이작 추앙(지은이)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전기공학부와 컴퓨터과학부, 물리학과 겸임 교수다. MIT 전자 연구소의 울트라콜드 아톰 센터에서 양자 연구 그룹을 이끌며 물리계의 기본 성분인 원자, 분자로부터 정보 기술과 지식을 알아내고 창조하는 일을 추구한다.

이승준(옮긴이)

연세대학교에서 천문학을 전공했고 한아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근무했으며, 현재 프리랜서로 일하고 있다. 에이콘출판사에서 출간한 『(개정판) C & C++ 시큐어 코딩』(2015), 『닷넷 개발자를 위한 AngularJS』(2016), 『파이썬 분산 컴퓨팅』(2016), 『Angular 2 컴포넌트 마스터』(2016), 『유니티 게임 개발을 위한 절차적 콘텐트 생성』(2017), 『React 16 핵심 정리 2/e』(2018), 『자연어 처리의 이론과 실제』(2018), 『React 16 Tooling』(2018)을 번역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1부. 기본 개념

1장. 소개와 개요
__1.1 전체적 관점
__1.1.1 양자계산 및 양자정보의 역사
__1.1.2 향후 방향
__1.2 양자비트
__1.2.1 다수 큐비트
__1.3 양자계산
__1.3.1 단일 큐비트 게이트
__1.3.2 다수 큐비트 게이트
__1.3.3 계산기저 이외의 기저에서의 측정
__1.3.4 양자회로
__1.3.5 큐비트 복사 회로?
__1.3.6 예: 벨 상태
__1.3.7 예: 양자 텔레포테이션
__1.4 양자 알고리듬
__1.4.1 양자 컴퓨터에서의 고전 계산
__1.4.2 양자 병렬성
__1.4.3 도이치 알고리듬
__1.4.4 도이치-조사 알고리듬
__1.4.5 양자 알고리듬 요약
__1.5 실험적 양자정보 처리
__1.5.1 슈테른-게를라흐 실험
__1.5.2 실제적인 양자정보 처리에 대한 전망
__1.6 양자정보
__1.6.1 양자정보이론: 예제 문제
__1.6.2 더 넓은 맥락에서의 양자정보
__역사와 추가자료

2장. 양자역학 입문
__2.1 선형대수
__2.1.1 기저와 선형독립
__2.1.2 선형연산자와 행렬
__2.1.3 파울리 행렬
__2.1.4 내적
__2.1.5 고유벡터와 고윳값
__2.1.6 수반 연산자와 에르미트 연산자
__2.1.7 텐서곱
__2.1.8 연산자 함수
__2.1.9 교환자와 반교환자
__2.1.10 극분해와 특이값 분해
__2.2 양자역학의 공준
__2.2.1 상태공간
__2.2.2 진화
__2.2.3 양자 측정
__2.2.4 양자상태 구별
__2.2.5 사영 측정
__2.2.6 POVM 측정
__2.2.7 위상
__2.2.8 복합계
__2.2.9 양자역학: 세계관
__2.3 응용: 초고밀도 코딩
__2.4 밀도연산자
__2.4.1 양자상태의 앙상블
__2.4.2 밀도연산자의 일반 특성
__2.4.3 환산밀도연산자
__2.5 슈미트 분해와 정화
__2.6 EPR과 벨 부등식
__역사와 추가자료

3장. 컴퓨터과학 입문
__3.1 계산모델
__3.1.1 튜링머신
__3.1.2 회로
__3.2 계산문제 분석
__3.2.1 계산 자원을 정량화하는 방법
__3.2.2 계산 복잡도
__3.2.3 결정 문제와 복잡도 클래스 P 및 NP
__3.2.4 수많은 복잡도 클래스
__3.2.5 에너지와 계산
__3.3 컴퓨터과학에 대한 관점
__역사와 추가자료

2부. 양자계산

4장. 양자회로
__4.1 양자 알고리듬
__4.2 단일 큐비트 연산
__4.3 제어형 연산
__4.4 측정
__4.5 보편적 양자 게이트
__4.5.1 2레벨 유니타리 게이트는 보편적이다
__4.5.2 단일 큐비트와 CNOT 게이트는 보편적이다
__4.5.3 보편적 연산들의 이산집합
__4.5.4 임의의 유니타리 게이트를 근사시키는 것은 일반적으로 어렵다
__4.5.5 양자계산 복잡도
__4.6 양자회로 계산모델에 대한 요약
__4.7 양자계의 시뮬레이션
__4.7.1 시뮬레이션 작동
__4.7.2 양자 시뮬레이션 알고리듬
__4.7.3 설명 예제
__4.7.4 양자 시뮬레이션에 대한 관점
__역사와 추가자료

5장. 양자 푸리에 변환과 그 응용
__5.1 양자 푸리에 변환
__5.2 위상추정
__5.2.1 성능 및 요구사항
__5.3 응용: 위수 구하기와 인수분해
__5.3.1 응용: 위수 구하기
__5.3.2 응용: 인수분해
__5.4 양자 푸리에 변환의 일반적인 응용
__5.4.1 주기 구하기
__5.4.2 이산로그
__5.4.3 숨은 부분군 문제
__5.4.4 그 외의 양자 알고리듬?
__역사와 추가자료

6장. 양자탐색 알고리듬
__6.1 양자탐색 알고리듬
__6.1.1 오라클
__6.1.2 절차
__6.1.3 기하학적 시각화
__6.1.4 성능
__6.2 양자 시뮬레이션으로서의 양자탐색
__6.3 양자 카운팅
__6.4 NP-완비 문제 해결 속도 향상
__6.5 비정형 데이터베이스의 양자탐색
__6.6 탐색 알고리듬의 최적성
__6.7 블랙박스 알고리듬 한계
__역사와 추가자료

7장. 양자 컴퓨터: 물리적 실현
__7.1 기본 원칙
__7.2 양자계산을 위한 조건
__7.2.1 양자정보의 표현
__7.2.2 유니타리 변환의 성능
__7.2.3 기준이 되는 초기상태에 대한 준비
__7.2.4 출력 결과 측정
__7.3 조화진동자 양자 컴퓨터
__7.3.1 물리장치
__7.3.2 해밀토니안
__7.3.3 양자계산
__7.3.4 단점
__7.4 광학 광자 양자 컴퓨터
__7.4.1 물리장치
__7.4.2 양자계산
__7.4.3 단점
__7.5 광학 공진기 양자전기역학
__7.5.1 물리장치
__7.5.2 해밀토니안
__7.5.3 단일광자 단일원자 흡수 및 굴절
__7.5.4 양자계산
__7.6 이온트랩
__7.6.1 물리장치
__7.6.2 해밀토니안
__7.6.3 양자계산
__7.6.4 실험
__7.7 핵자기공명
__7.7.1 물리장치
__7.7.2 해밀토니안
__7.7.3 양자계산
__7.7.4 실험
__7.8 그 외의 구현 체계
__역사와 추가자료

3부. 양자정보

8장. 양자 노이즈와 양자연산
__8.1 고전 노이즈와 마르코프 과정
__8.2 양자연산
__8.2.1 개요
__8.2.2 환경과 양자연산
__8.2.3 연산자-합 표현
__8.2.4 양자연산에 대한 공리적 접근법
__8.3 양자 노이즈 및 양자연산의 예
__8.3.1 대각합과 부분대각합
__8.3.2 단일 큐비트 양자연산의 기하학적 그림
__8.3.3 비트반전 채널과 위상반전 채널
__8.3.4 탈분극 채널
__8.3.5 진폭감쇠
__8.3.6 위상감쇠
__8.4 양자연산의 응용
__8.4.1 지배방정식
__8.4.2 양자 프로세스 단층촬영
__8.5 양자연산 형식체계의 한계
__역사와 추가자료

9장. 양자정보에 대한 거리측도
__9.1 고전정보에 대한 거리측도
__9.2 두 양자상태는 얼마나 가까울까?
__9.2.1 대각합 거리
__9.2.2 충실도
__9.2.3 거리측도 간의 관계
__9.3 양자채널은 정보를 얼마나 잘 보존할까?
__역사와 추가자료

10장. 양자 오류정정
__10.1 소개
__10.1.1 3큐비트 비트반전 코드
__10.1.2 3큐비트 위상반전 코드
__10.2 쇼어 코드
__10.3 양자 오류정정 이론
__10.3.1 오류 이산화
__10.3.2 독립적 오류 모델
__10.3.3 퇴화 코드
__10.3.4 양자 해밍경계
__10.4 양자 코드 제작
__10.4.1 고전 선형 코드
__10.4.2 칼더뱅크-쇼어-스테인 코드
__10.5 안정자 코드
__10.5.1 안정자 형식체계
__10.5.2 유니타리 게이트와 안정자 형식체계
__10.5.3 안정자 형식체계에서의 측정
__10.5.4 고테스만-닐 정리
__10.5.5 안정자 코드 제작
__10.5.6 예제
__10.5.7 안정자 코드의 표준형
__10.5.8 인코딩, 디코딩, 정정을 위한 양자회로
__10.6 결함허용 양자계산
__10.6.1 결함허용: 전체 윤곽
__10.6.2 결함허용 양자 논리
__10.6.3 결함허용 측정
__10.6.4 탄력적인 양자계산의 요소
__역사와 추가자료

11장. 엔트로피와 정보
__11.1 섀넌 엔트로피
__11.2 엔트로피의 기본 특성
__11.2.1 2진 엔트로피
__11.2.2 상대 엔트로피
__11.2.3 조건부 엔트로피와 상호정보
__11.2.4 데이터 처리 부등식
__11.3 폰 노이만 엔트로피
__11.3.1 양자 상대 엔트로피
__11.3.2 엔트로피의 기본 특성
__11.3.3 측정과 엔트로피
__11.3.4 준가법성
__11.3.5 엔트로피의 오목성
__11.3.6 양자상태 혼합의 엔트로피
__11.4 강한 준가법성
__11.4.1 강한 준가법성의 증명
__11.4.2 강한 준가법성: 기초 응용
__역사와 추가자료

12장. 양자정보이론
__12.1 양자상태 구별과 접근가능 정보
__12.1.1 홀레보 경계
__12.1.2 홀레보 경계의 적용 예
__12.2 데이터 압축
__12.2.1 섀넌의 무노이즈 채널 코딩 정리
__12.2.2 슈마허의 양자 무노이즈 채널 코딩 정리
__12.3 노이즈 양자채널에서의 고전정보
__12.3.1 노이즈 고전채널에서의 통신
__12.3.2 노이즈 양자채널을 통한 통신
__12.4 노이즈 양자채널에서의 양자정보
__12.4.1 엔트로피 교환과 양자 파노 부등식
__12.4.2 양자 데이터 처리 부등식
__12.4.3 양자 싱글톤 경계
__12.4.4 양자 오류정정, 냉동, 맥스웰의 도깨비
__12.5 물리적 자원으로서의 얽힘
__12.5.1 양분 순수상태 얽힘에 대한 변환
__12.5.2 얽힘 증류와 얽힘 희석
__12.5.3 얽힘 증류와 양자 오류정정
__12.6 양자 암호학
__12.6.1 개인 키 암호기법
__12.6.2 비밀성 증폭과 정보조정
__12.6.3 양자 키 분배
__12.6.4 비밀성과 결맞음 정보
__12.6.5 양자 키 분배 보안
__역사와 추가자료

부록 A1. 기본적인 확률론에 대한 참고사항
부록 A2. 군론
부록 A3. 솔로베이-키타예프 정리
부록 A4. 정수론
부록 A5. 공개 키 암호기법과 RSA 암호체계
부록 A6. 리브 정리 증명

관련분야 신착자료

Culkin, John, (Software architect) (2023)
Dejonghe, Derek (2022)
Shrivastava, Saurabh (2022)
Qureshi, Hamid Mahmood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