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0292 | |
005 | 20230131173643 | |
007 | ta | |
008 | 230131s2014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61838948 ▼g 93350 | |
035 | ▼a (KERIS)BIB000013599859 | |
040 | ▼a 223009 ▼c 223009 ▼d 211009 | |
082 | 0 4 | ▼a 352.14 ▼2 23 |
085 | ▼a 352.14 ▼2 DDCK | |
090 | ▼a 352.14 ▼b 2014z4 | |
100 | 1 | ▼a 이청수 |
245 | 1 0 | ▼a 지방의회론 : ▼b 기초 이론에서 실무사례·개선 방향까지 지방의회에 관한 모든 것 / ▼d 이청수 지음 |
246 | 0 | ▼i 한자표제: ▼a 地方議會論 |
250 | ▼a 개정판 | |
260 | ▼a 서울 : ▼b 백산출판사, ▼c 2014 | |
300 | ▼a 561 p. : ▼b 삽화 ; ▼c 27 cm | |
504 | ▼a 참고문헌(p. 554-558)과 색인수록 |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2.14 2014z4 | 등록번호 11187530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청수(지은이)
마산고등학교 졸업 육군사관학교 졸업(문학사, 관리전공, 1974) 연세대학교 대학원(행정학 석사, 1982) 연세대학교 대학원(행정학 박사, 1986) 육군본부 군사연구실, 정책기획실, 기획관리 참모부 근무 국방참모대학, 국방정신교육원 근무 서울특별시의회 내무·행정자치·운영·교육문화·환경수자원위원회 전문위원·수석전문위원(1997.8.-2011.6.) 한양대학교 지방자치대학원·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경기대·경민대·상명대 외래강사(2001-2011) 서울특별시인재개발원·인천광역시인재개발원 강사(1998-2014) 서울시립대학교 겸임교수(2008)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외래강사·겸임교수(2009-2013) 서울신문 독자권익위원(2009.2.-2015.9) 성남시의회 입법고문(2011.3.-2013.2) 서울특별시 의정비심의위원회 위원(2012.11-2013.10) 서울특별시 공익사업선정위원회 위원(2012.10-2014.10) (사단법인)지방자치발전연구원장(2015.8.–현) 서천군의회 입법고문(2021.1–현) [저서 및 논문] 『지방의회론』, 2008, 지오넥스커뮤니케이션 『지방예산론』, 2010, 브렌즈 『지방의회론』, 2011, 브렌즈 『행정학개론』, 2013, 백산출판사 『지방의회론』, 2014, 백산출판사 국회 전자도서관 검색창(http://www.nanet.go.kr/main.do)에 이청수를 입력하면 지방의회, 지방자치 관련 등 저자 이청수의 국회도서관 소장 자료(논문 등)가 144건 이상 검색됨(2022. 10. 24. 현재)

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지방의회 쟁점 현안 논의 및 개선 방향 제1장 지방자치와 지방의회 제1절 의회정치와 민주주의 제2절 지방자치, 지방분권과 지방의회 제3절 우리나라 지방의회의 역사 제4절 국회와 지방의회제도 비교 제2장 지방의회제도 제1절 지방자치단체의 본질과 종류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 제3절 지방의회의 설치 제4절 지방의회 의원의 역할과 자질 제3장 지방의회의 조직 제1절 의장ㆍ부의장 제2절 위원회 제3절 지방의회의 교섭단체 제4절 의회사무기구 제4장 의회의 운영 제1절 의회운영의 원리 제2절 회의운영의 원칙 제3절 원 구성과 최초 임시회의 제4절 지방의회의 집회 제5절 의사일정 제5장 회의운영 제1절 개회ㆍ개의ㆍ산회ㆍ휴회 제2절 본회의의 의사(議事) 제3절 대집행부 질문ㆍ답변 제4절 위원회의 의사(議思) 제6장 의안심사 제1절 의안의 처리 제2절 동의(動議) 제3절 번안(飜案)ㆍ수정동의(修正動議) 제7장 조례입법심사 제1절 조례 입법 개관 제2절 조례의 입법절차 제3절 조례 제정권의 실태와 개선과제 제4절 지방의회 의원에 의한 조례안 발의 기법 제8장 예산안 심의ㆍ의결 제1절 지방예산의 의의와 기능 제2절 지방자치단체 예산제도의 이념과 특징 제3절 지방예산의 구조 제4절 지방예산의 심의ㆍ의결 제9장 결산안 심의 제1절 결산개요 제2절 결산 검사 제3절 결산 절차 제4절 복식부기 회계제도 도입과 결산 심사 제5절 결산안 심사 착안사항 제10장 청원ㆍ기타 의안심사 제1절 청원안 심사 제2절 동의안 제3절 승인안의 심사 제4절 건의안ㆍ결의안 제5절 의견청취 / 의견표명 제11장 행정사무감사 및 조사 제1절 개요 제2절 행정사무감사 및 조사의 준비 및 실시 제3절 행정사무감사 및 조사의 한계 제4절 행정사무감사ㆍ조사 결과의 처리 제12장 지방의회의 행정통제 제1절 지방의회 행정통제의 의의 제2절 행정통제의 목적과 수단 제3절 행정감시ㆍ통제의 방법 제13장 지방의회와 집행기관과의 관계 제1절 지방의회와 집행기관과의 관계 제2절 지방의회와 교육자치와의 관계 제3절 지방자치단체 기관 간의 갈등 제4절 재의 및 대법원 제소 제14장 지방의회협의체 제1절 지방의회협의체 설립 의의 제2절 일본의 지방의회협의체 참고문헌 용어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