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0191 | |
005 | 20230201135755 | |
007 | ta | |
008 | 230130s2022 ulka b 001c kor | |
020 | ▼a 9791165193249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6553965 | |
040 | ▼a 247009 ▼c 247009 ▼d 211009 | |
082 | 0 4 | ▼a 375 ▼2 23 |
085 | ▼a 375 ▼2 DDCK | |
090 | ▼a 375 ▼b 2022z6 | |
245 | 0 0 | ▼a 개념 기반 교육과정과 수업 사례 / ▼d 조호제 [외] |
246 | 1 4 | ▼a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비한 개념 기반 교육과정과 수업 사례 |
260 | ▼a 서울 : ▼b 박영story : ▼b 피와이메이트, ▼c 2022 ▼g (2023 중쇄) | |
300 | ▼a 307 p. : ▼b 삽화 ; ▼c 25 cm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조호제, ▼d 1963-, ▼e 저 ▼0 AUTH(211009)63446 |
700 | 1 | ▼a 김남준, ▼e 저 |
700 | 1 | ▼a 김정숙, ▼e 저 |
700 | 1 | ▼a 김정윤, ▼d 1967-, ▼e 저 ▼0 AUTH(211009)14901 |
700 | 1 | ▼a 박은하, ▼e 저 |
700 | 1 | ▼a 박일수, ▼g 朴一洙, ▼d 1976-, ▼e 저 ▼0 AUTH(211009)54016 |
700 | 1 | ▼a 백종민, ▼e 저 ▼0 AUTH(211009)57403 |
700 | 1 | ▼a 안희숙, ▼e 저 |
700 | 1 | ▼a 최은아, ▼g 崔恩娥, ▼d 1966-, ▼e 저 ▼0 AUTH(211009)148145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5 2022z6 | Accession No. 11187525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학생들이 개념적 이해에 도달하도록 돕기 위해 교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개념 기반 수업은 어떻게 실행되어야 하는가? 무엇보다 학교교육에서는 이와 같은 개념 기반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 저자들은 이러한 문제 인식과 질문들을 출발점으로 개념 기반 교육의 본질과 배경을 고찰하고, 현대 사회에서 개념 기반 교육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토론하였으며, 학교 현장에서 실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에 대해 머리를 맞대고 탐색하였다.
서 문
“혁신을 위해서는 전통적 학문의 근본적이고 힘 있는 개념(powerful concept)의 창조적 전이(creative transfer)가 필요하다”
- J. Stern et al., 2017.
최근 교육 분야에서는 지식교육, 개념 기반 교육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무엇보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 시안에서 교육과정 개발 방향의 하나로 ‘깊이 있는 학습’을 제시한 것은 이러한 맥락과 관련이 있다. 역량교육과 지식교육이 상반된 것이 아니며, 역량교육을 위해 지식교육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잘 반영되어 있는 것이다.
역량을 위해 지식이 필요하지만, 사실적 지식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그런 의미에서 사실적 지식의 차원에 머물러있던 교육을 비판하는 것은 일면 정당하다. 특히 서로 연결되지 않은 지식의 조각들은 지식 자체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도 역량의 함양을 위해서도 유용하지 않다. 지식에는 사실적 지식, 절차적 지식, 개념적 지식 등 여러 층위의 지식이 있으며, 서로 다른 층위의 지식이 서로 연결되어 시너지를 낼 때 깊은 이해에 도달할 수 있고, 깊은 이해에 이르렀을 때야 비로소 필요한 역량이 발휘될 수 있다. 불확실하고 가변적인 현대사회에서, 뜻밖에 직면한 문제를 해결할 열쇠는 심층에서 길어 올린 개념적 지식에서 찾을 수 있고, 여기에 생동하는 역량의 원천이 흐르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학생들이 개념적 이해에 도달하도록 돕기 위해 교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개념 기반 수업은 어떻게 실행되어야 하는가? 무엇보다 학교교육에서는 이와 같은 개념 기반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
저자들은 이러한 문제 인식과 질문들을 출발점으로 개념 기반 교육의 본질과 배경을 고찰하고, 현대 사회에서 개념 기반 교육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토론하였으며, 학교 현장에서 실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에 대해 머리를 맞대고 탐색하였다. 이 책은 이러한 과정에서 만들어진 작은 성과이다.
책은 크게 4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교육과정의 의미,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이해,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각론의 주요 특징과 수업 설계 및 평가 등을 개관하였다. 2부에서는 ‘개념’이 무엇인지를 되짚어 본 후, 개념 형성의 이론과 전략을 고찰한 다음 평가 방법 및 관련 교수·학습 모형 등을 폭넓게 살펴보았다. 3부에서는 개념 기반 교수·학습 설계의 목적과 기본방향, 단원 계획의 과정, 개념 기반 교수·학습 설계 모형 및 각 단계의 전략을 제시하여 구체적인 수업 탐색방안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4부에서는 국어과, 수학과, 사회과, 과학과, 영어과 등 5개 교과에서, 단원 개요, 단원 구조, 단원의 지도계획, 학습활동 설계 방안을 중심으로 개념 기반 수업의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였다.
개념 기반 수업에서 추구하는 지식에 대한 깊은 이해는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역량과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혁신의 토대이고,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인 학습자로, 자율적인 인간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동력이 되리라 믿는다. 이 책이 이와 같은 비전을 갖고 학교에서 깊은 학습을 실천할 수 있는 좋은 길잡이가 되길 바란다. 마지막으로 책의 출판을 위해 수고해주신 박영스토리 관계자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박일수(지은이)
공주교육대학교 교수 전) 토월초, 매원초, 원천초 교사, 한국교원대학교 강사 [학력] 경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교육학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과 교육과정 전공(교육학석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과 교육과정 전공(교육학박사) [저서 및 연구] 현직 및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평가의 이해(2022) 교육과정과 수업(2020) 통합교과의 이론과 실제(2020) 예비교사를 위한 학교현장실습(2020) 현장교사를 위한 토의수업의 이론과 실제(2012)
김남준(지은이)
(현) 서울용원초등학교 수석교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초등수학교육(석사) 경남대학교 수학교육과(학사) 2018 대한민국 수학교육상 수상 2015 개정 수학과 검정 교과용 도서 집필 2015 개정 수학과 교과용도서 심의위원 「이렇게 생긴 수학 1~3권」 공저(2022) 「개념연결 유아수학사전」 공저(2021) 「개념연결 연산의 발견 1~12권」 공저(2020) 아이들이 행복한 수학교실을 위해 꾸준히 연구해왔으며 교육과정 총론, 수학과 교육과정, 수업 코칭 등에 관심을 가짐.
조호제(지은이)
(현) 고려대학교 및 숭실대학교 겸임교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과정학(박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초등체육교육(박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교육과정학(석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초등체육교육(석사)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심의위원장(교육부) 「개념 기반 교육과정과 수업 사례」 공저(2022) 「최신교육과정 재구성의 이론과 실제」 공저(2021) 「ON 교육과정 재구성」 공저(2020) 「체육과 교육과정」 공저(2008)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 38편 게재 교육과정 총론 기준, IB PYP, 교수·학습과 평가 등에 관심을 가짐.
안희숙(지은이)
(현) 서울신길초등학교 수석교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교육학(석사) 인천교육대학교(학사) 「최신교육과정 재구성의 이론과 실제」 공저(2021) 「개념기반 교육과정 및 평가의 이론과 실제」 공저(2021) 「ON 교육과정 재구성」 공저(2020) 사회과와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수법, 초등학생들의 인성교육에 관심을 가짐.
최은아(지은이)
(현) 전주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 교수 「배우며 가르치는 음악교육」 공저(2022) 「음악중심 통합교육」 공저(2022) 「최신교육과정 재구성의 이론과 실제」 공저(2021) 「개념기반 교육과정 및 평가의 이론과 실제」 공저(2021) 「미래를 향한 새로운 음악교육」 공역(2021) 「On 교육과정 재구성」 공저(2020) 2015 개정 음악과 검정 교과용 도서 집필 IB PYP, 주제중심 통합교육, 음악과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방법 등에 관심을 가짐.
백종민(지은이)
(현) 서울 석관중학교 수석교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과정학(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물리교육(석사)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물리교육과(학사) 「2009,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 및 지도서」 집필 「가르쳐주세요 전자에 대하여」 (2008) 「수업 컨설팅 바로하기」 공저(2007) IB MYP 틀을 적용한 중학교 과학 수업 개발 과정 연구(2022) 국내외 사범대학의 교육목표와 교육과정 편성 비교 연구(2021) 외 IB MYP, 과학 교수·학습, 교육과정과 수업·평가의 연계, 과정중심평가 등에 관심을 가짐.
김정윤(지은이)
(현) 서울남성초등학교 수석교사, 서울대학교 객원연구원, 숙명여자대학교 강사 서울대학교 교육과정학(박사)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교육과정(석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영어교육(석사)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개념 기반 교육과정과 수업 사례」 공저(2022) 개념 기반 교육과정, 통합교육과정, 교육과정 설계, 교육과정 실천 등에 관심을 가짐
박은하(지은이)
(현) 서울봉은초등학교 교사 건국대학교 대학원 교육과정학(박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유아교육(석사)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개념 기반 교육과정과 수업 사례」 공저(2022) 2009 개정 체육과 검정 교과용 도서 집필 교수·학습 설계 및 평가, 교사 교육 등에 관심을 가짐.
김정숙(지은이)
(현) 서울면남초등학교 교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석사) 청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개념 기반 교육과정과 수업 사례」 공저(2022) 교육환경보호원(교육부) 생명존중예방 프로그램 개발(2021) 과정중심평가 문항 개발 및 적용(2020) 다문화 수용성 함양을 위한 놀이 중심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2020) 교사교육과정, 통합교육과정 설계 및 실천 등에 관심을 가짐.

Table of Contents
PART 01 교육과정의 이해 1. 교육과정의 기본 질문과 의미3 2.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이해6 3. 수업 설계14 4. 평가의 방향 28 참고문헌35 PART 02 개념 형성과 수업 설계 모형 1. 개념의 특성39 2. 개념의 형성40 3. 개념 형성 이론43 4. 개념 형성 전략47 5. 개념의 발달 및 이해도 평가49 6. 개념 형성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54 참고문헌69 PART 03 개념 기반 교육과정과 수업 설계 1. 개념 기반 수업 설계의 목적77 2. 개념 기반 수업 설계의 기본 방향 78 3. 단원 계획89 4. 개념 기반 수업 설계 모형 및 단계별 전략96 참고문헌108 PART 04 개념 기반 교육과정과 수업 사례 01 국어과113 ▶국어과 개념 기반 수업 설계 (1)◂ 114 ▶국어과 개념 기반 수업 설계 (2)◂ 122 ▶주제통합 개념 기반 수업 설계 (5~6학년군)◂ 133 02 수학과143 ▶수학과 개념 기반 수업 설계 (1)◂ 144 ▶수학과 개념 기반 수업 설계 (2)◂ 155 ▶주제통합 개념 기반 수업 설계 (3~4학년군)◂ 165 03 사회과175 ▶사회과 개념 기반 수업 설계 (1)◂ 176 ▶사회과 개념 기반 수업 설계 (2)◂ 187 ▶사회과 개념 기반 수업 설계 (3)◂ 204 ▶주제통합 개념 기반 수업 설계 (5~6학년군)◂ 220 04 과학과231 ▶과학과 개념 기반 수업 설계 (1)◂ 232 ▶과학과 개념 기반 수업 설계 (2)◂ 245 ▶주제통합 개념 기반 수업 설계 (5~6학년군)◂ 255 05 영어과271 ▶영어과 개념 기반 수업 설계 (1)◂ 272 ▶영어과 개념 기반 수업 설계 (2)◂ 282 ▶주제통합 개념 기반 수업 설계 (3~4학년군)◂ 291 참고문헌301 찾아보기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