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오직 딱 한 해만, 다정한 이기주의자 : 한 달에 한 번, 온전히 나를 아껴주는 열두 달의 자기돌봄

오직 딱 한 해만, 다정한 이기주의자 : 한 달에 한 번, 온전히 나를 아껴주는 열두 달의 자기돌봄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Carl, Verena, 1969- Otto, Anne, 1970-, 저 강민경, 역
서명 / 저자사항
오직 딱 한 해만, 다정한 이기주의자 = Only a year friendly egoist : 한 달에 한 번, 온전히 나를 아껴주는 열두 달의 자기돌봄 / 베레나 카를, 안네 오토 지음 ; 강민경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앵글북스,   2023  
형태사항
319 p. ; 21 cm
원표제
Ich bin dann mal bei mir : 12 Auszeiten für die Seele : ein Selbstversuch
ISBN
9791187512790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0017
005 20230127145556
007 ta
008 230126s2023 ulk b 000a kor
020 ▼a 9791187512790 ▼g 0318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ger
082 0 4 ▼a 158.1 ▼2 23
085 ▼a 158.1 ▼2 DDCK
090 ▼a 158.1 ▼b 2023z6
100 1 ▼a Carl, Verena, ▼d 1969-
245 1 0 ▼a 오직 딱 한 해만, 다정한 이기주의자 = ▼x Only a year friendly egoist : ▼b 한 달에 한 번, 온전히 나를 아껴주는 열두 달의 자기돌봄 / ▼d 베레나 카를, ▼e 안네 오토 지음 ; ▼e 강민경 옮김
246 1 9 ▼a Ich bin dann mal bei mir : ▼b 12 Auszeiten für die Seele : ein Selbstversuch
260 ▼a 서울 : ▼b 앵글북스, ▼c 2023
300 ▼a 319 p. ; ▼c 21 cm
504 ▼a 참고문헌 수록
700 1 ▼a Otto, Anne, ▼d 1970-, ▼e
700 1 ▼a 강민경, ▼e
900 1 0 ▼a 카를, 베레나, ▼e
900 1 0 ▼a 오토, 안네,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8.1 2023z6 등록번호 111875061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4-10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지금까지 열심히 살았는데 내게 남은 게 뭐지? 앞으로도 평생 이렇게 살아야 하나?’ 지구 반대편에서 워킹맘으로 일하랴 아이들 돌보랴 바쁘게 살아가던 저자 베레나도 이러한 질문에 맞닥뜨린다. 일상에 지쳐 매일을 어제처럼 살아가다가 불현듯 자신만의 삶이 사라졌음을 깨달은 그녀는, 심리학자인 친구 안네와 함께 ‘열두 달 행복 찾기 프로젝트’에 돌입한다. 직업인, 엄마, 아내로서의 나만큼이나 ‘그냥 나 자신’도 아껴주기로 한 그녀는, ‘한 달에 딱 한 번, 나부터 챙기는 시간’을 갖기로 결심한다.

안네의 처방전은 아주 단순했다. 가족과 잠시 떨어져 기분 좋은 고독을 즐기기나 가족들이 잘 먹는 음식 대신 내가 좋아하는 음식을 선택하기 등, 아주 소소한, 그렇지만 지금껏 무시당했던 ‘나의 욕구’에 충실할 것! 아주 간단한 실험이었지만 그 결과는 놀라웠다. 우선순위 맨 앞에 자신을 세우자마자 본인은 물론 주변 반응이 달라진 것이다. 스스로에게 집중할수록 여유가 생겨 가족과 타인을 따스하게 대하게 되었고, 그러자 다른 사람들도 그만큼 배려해주기 시작했다. 마음에도 없는 희생을 하며 화가 쌓였던 저자는, 이 경험을 통해 자신을 들여다보고 돌보는 행동이 나아가 타인을 배려하는 힘이 됨을 깨닫는다. 생각이 바뀌면 성격이 바뀌고, 성격이 바뀌면 운명이 바뀐다고 한다. 마찬가지로 삶 전체가 바뀌는 것 또한 하루의 변화에서 시작된다. 진정 나를 위한 삶을 되찾고 싶다면 이 책을 통해 딱 한 해만 내 마음이 시키는 대로 살아보길 권한다. 더 미루지 말고, 바로 지금 이 순간부터!

★★★독일 아마존 심리 분야 베스트셀러★★★

“스스로에게 너그러워지는 데도
연습이 필요하다!”

일상에 지친 워킹맘과 번아웃된 심리학자가 함께 기록한,
‘나부터 행복해지는’ 심리 실험과 작은 기적들

행복을 끌어당기려면 오로지 나에게만 집중하는
‘이기적인’ 시간이 필요하다!
하나뿐인 나를 소중하게 대하겠다는 선언, "지금부터 시작!"

“너무 바빠서 외로울 틈도 없어!”
업무와 가사에 치여 고독마저 사치인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자기 계발이나 자아 찾기는 뜬구름 잡는 이야기에 불과하다. 지친 몸과 마음을 돌볼 시간이 필요하다는 걸 알지만, 밀려드는 일을 해치우고 가족을 서포트하느라 바빠 정작 나 자신은 뒷전이다. 그러다 어느 날 문득, 허무함이 뼛골 깊숙이 스민다.
‘지금까지 열심히 살았는데 내게 남은 게 뭐지? 앞으로도 평생 이렇게 살아야 하나?’

지구 반대편에서 워킹맘으로 일하랴 아이들 돌보랴 바쁘게 살아가던 저자 베레나도 이러한 질문에 맞닥뜨린다. 일상에 지쳐 매일을 어제처럼 살아가다가 불현듯 자신만의 삶이 사라졌음을 깨달은 그녀는, 심리학자인 친구 안네와 함께 ‘열두 달 행복 찾기 프로젝트’에 돌입한다. 직업인, 엄마, 아내로서의 나만큼이나 ‘그냥 나 자신’도 아껴주기로 한 그녀는, ‘한 달에 딱 한 번, 나부터 챙기는 시간’을 갖기로 결심한다.

안네의 처방전은 아주 단순했다. 가족과 잠시 떨어져 기분 좋은 고독을 즐기기나 가족들이 잘 먹는 음식 대신 내가 좋아하는 음식을 선택하기 등, 아주 소소한, 그렇지만 지금껏 무시당했던 ‘나의 욕구’에 충실할 것! 아주 간단한 실험이었지만 그 결과는 놀라웠다. 우선순위 맨 앞에 자신을 세우자마자 본인은 물론 주변 반응이 달라진 것이다. 스스로에게 집중할수록 여유가 생겨 가족과 타인을 따스하게 대하게 되었고, 그러자 다른 사람들도 그만큼 배려해주기 시작했다. 마음에도 없는 희생을 하며 화가 쌓였던 저자는, 이 경험을 통해 자신을 들여다보고 돌보는 행동이 나아가 타인을 배려하는 힘이 됨을 깨닫는다. 생각이 바뀌면 성격이 바뀌고, 성격이 바뀌면 운명이 바뀐다고 한다. 마찬가지로 삶 전체가 바뀌는 것 또한 하루의 변화에서 시작된다. 진정 나를 위한 삶을 되찾고 싶다면 이 책을 통해 딱 한 해만 내 마음이 시키는 대로 살아보길 권한다. 더 미루지 말고, 바로 지금 이 순간부터!

이번만큼은 소홀했던 나와의 관계를 회복할 때!
12가지 심리 실험과 피드백을 통해
삶의 중심에 나를 세우는 ‘다정한 이기주의’ 프로젝트

이 책은 작지만 의미 있는 실험을 통해 자기 긍정의 경험을 쌓도록 돕는 심리 멘토링 북이다. 심리학자인 안네가 월별 미션을 제공하면, 저널리스트 베레나가 챌린지하듯 미션을 실행하고, 마지막에 안네가 다시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피드백을 제시한다. 두 사람은 이 과정을 서로에게 보내는 편지글에 고스란히 담아 독자에게 전달한다. 두 사람은 마치 학창시절 교환 일기를 나누는 것처럼 서로의 내밀한 감정을 편지글로 생생하게 드러낸다. 실험의 면면이 선명하게 채집된 너무나 인간적인 이 기록은 그 자체로 우리 모두의 공감대를 이끌어낸다.

너무 단순해서 효과가 있을까 싶은 미션에는 사실 과학적 근거와 다년간의 임상 심리학 경험이 깔려 있다. 심리학자인 안네는 이 책에 지식을 더해 감성과 지성의 밸런스를 맞추는 역할을 맡았다. 그녀의 활약이 두드러지는 부분은 월별 미션이 끝날 때마다 붙는 다정한 코칭 피드백 코너이다. 안네는 이번 미션이 어렵게 느껴졌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 그럼에도 이 미션이 중요한 과학적 이유 등을 찬찬히 답변한 다음, 독자를 위한 챌린지 파트도 따로 마련해둔다. 안네의 피드백을 통해 독자들은 지금 하는 행동이 목적 없는 일탈이 아닌 충분한 근거가 있는 자기돌봄 행위임을 인식하고, 모든 경험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딱 한 해만, 오직 내 마음이 시키는 대로!”
내 손으로 뭐든 만들어보기, 꿈 일기 쓰기, 짧은 여행 떠나기, SNS 끊기……
단순하지만 효과적인 ‘맞춤형’ 월별 미션 활용법!

이 책에 나오는 월별 미션은 매우 간단한다. 명상을 해보라는 1월 미션을 시작으로, 뜨개질이나 베이킹처럼 손으로 무언가를 만들어보기, 꿈 일기 쓰기, 내 감정과 거리를 두고 관찰하기, 짧은 여행 떠나기, 20분간 미술 작품 감상하기, 물건과 디지털 기기는 물론 사람까지 덜어내는 ‘줄이기’ 등, 그 범위 및 종류가 넓고 다양하다. 심지어 한 달 동안 매일 해야 하는 미션이 아니라, 일별 챌린지 형식으로 짧게 끊어가는 형태로 무척 행하기 쉽다. 그리고 이 작은 행동은 잔잔하던 일상에 긍정적인 파문을 일으킨다. 이 효과에 대해 베레나는 이렇게 말한다.

“이번 달 미션을 마치고 나니 내 일상에 약간의 변화가 생긴 것 같아. 갑자기 행운이 찾아온 것처럼 말이야. 안정적인 매일을 보내면서 계속해서 새로운 것들을 시도하고 있거든. 예를 들어 평소와 다른 길로 간다든지, 무심하게 지나쳤을 카페에 들어가 본다든지, 오랫동안 연락하지 않은 친구에게 전화를 해본다든지. 네 말이 맞았어. 살아 있는 걸 더 생생하게 느끼려면 때로는 아주 작은 변화가 필요해.”

같은 미션이라 하더라도 실천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활동에 도전해보라는 파트에서 베레나는 스포츠를 배웠지만, 집 근처에서 가보지 않았던 곳 가보기, 박물관이나 미술관 탐방, 꿈만 꿨던 일을 지금 당장 해보기 또한 훌륭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사람마다 선호도가 제각각이므로 같은 목적을 위한 행동이라도 끌리는 방법은 각자 다를 수밖에 없다. 안네는 베레나가 행한 것 외에도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이 있음을 구체적으로 알려주며 독자의 선택지를 넓히고, 적극적인 행동을 독려한다.

번아웃된 당신에게 필요한 건 ‘기분 좋은 고독의 시간’
소홀히 대했던 나부터 챙기는 다정한 이기주의가 필요한 이유

저자들은 번아웃을 겪는 사람에게는 필연적으로 혼자 있는 시간이 필요하며, 지금까지 해보지 않았던 행동을 통해 삶을 새롭게 시작할 수 있음을 강력하게 주장한다. 워킹맘으로 살아가는 두 저자에게 ‘개인적 시간’이란 그야말로 꿈만 같은 일이었다. 하지만 그럴수록 더욱, 자기만의 시간을 가져야 함을 그들을 알고 있었다. 이 책에서 제안하는 열두 가지 월별 미션은 매우 다양하지만, 그것을 관통하는 단 한 가지 원칙이 있다. 바로 아무도 끼어들지 않는 나만의 시간, 즉 ‘자발적 고독’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것! 모든 미션은 결국 나 자신을 돌아보고 나와의 관계를 개선하는 과정이다.

정확히 반년의 미션을 마친 시점에, 베레나는 편지로 고독에 대해 이렇게 고백한다.
“나는 혼자서 생각의 욕조에 풍덩 빠지는 게 좋아. 내가 원해서 고독해지는 순간은 자기돌봄에 아주 좋다고 생각해. 어쩔 수 없이 계속 타인과 대화하는 건 원치 않은 고독만큼이나 스트레스니까. 혼자만의 시간을 보내는 건 흔치 않기 때문에 더 소중한 기회야.”
따로 시간을 내지 않으면 고독할 수조차 없는 사람들에게 고독을 권유하는 다정한 멘트다.

세상일에 지친 우리에게는 소란스럽고 성가신 주변의 잡음을 끄고 오로지 나의 내면으로 침잠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저자들은 자발적 고독이 자칫 무기력한 나태함이 되지 않도록 ‘미션’을 통해 원기를 북돋고, 조금씩 스스로를 돌아보도록 이끌어준다. 1년 열두 달 동안 가끔은 실패하고 또 가끔은 엉뚱한 답을 내놓기도 하며 고군분투하던 베레나는, 행복이란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고 오로지 나를 돌보는 고독의 시간에서 비롯됨을 깨닫는다. 독자 또한 베레나와 함께 한 달에 한 번씩 미션을 수행하는 과정을 통해 기분 좋은 고독의 시간을 음미하고, 마음껏 자신을 사랑하게 될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베레나 카를(지은이)

독일 프라이부르크에서 태어나 뮌헨에서 자랐다. 대학원에서 저널리즘을 공부한 뒤 여성 잡지 《브리기테Brigitte》와 《메리안Merian》 등에 기고하며 저널리스트로 활동했다. 여러 권의 동화책과 소설을 발표하며 함부르크 문학 후원금을 두 차례나 받는 등, 문학가로서도 왕성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현재는 가족과 함께 함부르크에 거주 중이다.

안네 오토(지은이)

대학에서 의학을 전공했으며 심리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고 심리치료법 중 하나인 사이코드라마 관련 자격을 취득했다. 이후 청소년 보호소 및 여성 교도소 등에서 심리학자로 일했다. 현재는 《슈피겔Spiegel》, 《오늘의 심리학Psychologie Heute》, 《브리기테》 등에 기고하며 과학 저널리스트와 작가로 제2의 인생을 살고 있다.

강민경(옮긴이)

대학에서 독어독문학을 전공하고 졸업 후 독일계 회사를 다니며 글밥 아카데미 출판번역 과정을 수료했다. 독일 어학연수 후 현재 독일어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수레바퀴 아래서』, 『젊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 『이해의 공부법』, 『하얀 토끼를 따라가라』, 『시간 제어』, 『자연은 협력한다』, 『피터 틸』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프롤로그_ 한 달에 한 번은 오롯이 나에게 집중하세요

1월 내 안의 나와 거리를 줄이는 법
-감정을 있는 그대로 마주하기

2월 뜨개질, 빵 굽기, 뭐든 내 손으로
-손의 움직임에 몰두하기

3월 먹고, 마시고, 나를 사랑하라
-다이어트 대신 직관적 식사

4월 더 큰 변화를 위한 첫걸음
-마음을 다해 휴식하기

5월 밤의 언어가 말해주는 내면의 나
-의식적으로 꿈꾸기

6월 내 감정이 내가 아니라면 난 무엇일까?
-나를 괴롭히는 감정과 거리 두기

7월 온전한 몰입을 위한 단 20분의 기분 좋은 고독
-느리게 감상하기

8월 일상 속 마이크로 어드벤처, 지금부터 시작!
어제와 다른 새로움 발견하기

9월 영혼을 치료하는 시네마 테라피
- 깊게 바라보기

10월 아이로 돌아가게 만드는 숲, 바다, 비의 마법
-더 가까이 경험하기

11월 한 번쯤은 보이지 않는 친구까지 덜어내라
-일상 속의 ‘줄이기’

12월 타인에게, 자신에게 고맙다고 속삭이는 순간
-하루 한 번 나눔과 감사하기

* 에필로그_그렇게 나는 나를 찾았다
* 참고 도서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선희 (2023)
Wattles, W. D. (2023)
장한이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