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중국 영화사 : 초기 무성영화 시대의 변역과 발전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金海娜 孫萍, 역
Title Statement
중국 영화사 : 초기 무성영화 시대의 변역과 발전 / 찐하이나 지음 ; 쑨핑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미다스북스,   2023  
Physical Medium
324 p. : 삽화 ; 23 cm
Varied Title
中國無聲電影翻譯研究
기타표제
세계 영화에 융합하기 위한 최초의 노력, 번역!
ISBN
9791169101219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Silent films --Production and direction --China  Motion pictures --Translating --China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0012
005 20230127163539
007 ta
008 230126s2023 ulka 000c kor
020 ▼a 9791169101219 ▼g 93680
035 ▼a (KERIS)BIB000016606676
040 ▼a 244009 ▼c 244009 ▼d 211009
041 1 ▼a kor ▼h chi
082 0 4 ▼a 791.430951 ▼2 23
085 ▼a 791.430951 ▼2 DDCK
090 ▼a 791.430951 ▼b 2023
100 1 ▼a 金海娜
245 1 0 ▼a 중국 영화사 : ▼b 초기 무성영화 시대의 변역과 발전 / ▼d 찐하이나 지음 ; ▼e 쑨핑 옮김
246 1 3 ▼a 세계 영화에 융합하기 위한 최초의 노력, 번역!
246 1 3 ▼a 중국의 초기 영화 번역으로 보는 역사적 평가와 해석
246 1 9 ▼a 中國無聲電影翻譯研究
246 3 ▼a Zhongguo wu sheng dian ying fan yi yan jiu
260 ▼a 서울 : ▼b 미다스북스, ▼c 2023
300 ▼a 324 p. : ▼b 삽화 ; ▼c 23 cm
650 0 ▼a Silent films ▼x Production and direction ▼z China 
650 0 ▼a Motion pictures ▼x Translating ▼z China 
700 1 ▼a 孫萍, ▼e
900 1 0 ▼a 찐하이나, ▼e
900 1 0 ▼a Jin, Haina, ▼e
900 1 0 ▼a 쑨핑, ▼e
900 1 0 ▼a Sun, Ping, ▼e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91.430951 2023 Accession No. 11187505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중국 영화 번역사에 대한 앞으로의 연구를 위해 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만들어졌다. 중국 역사에서 나타난 현장 해설, 자막 번역, 더빙 번역, 구술 영상 등 다양한 형식의 영화 번역 활동에 대해 고찰하고 이에 대한 역사적 평가와 해석을 통해 중국 영화 번역 활동의 생성 기제와 발전 규칙을 밝힌다. 이 책 한 권에 영화 번역 활동의 사회 역할과 역사 작용에 대한 총정리가 되있는 것이다.

중국 정부는 국내 영화의 해외진출과 해외 시장에서 중국 영화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번역을 조직적이고 대규모적으로 시행했다. 이렇게 초기 영화의 번역과 자막을 통해 당시 중국의 시대상과 문화 등을 자연스레 엿볼 수 있다. 이 책에는 중국 초기 영화의 번역 흐름과 그 시대 자막의 모습, 번역 전략으로 보는 중국의 언어적, 문화적 특징 등이 모두 담겨 있다.

이 책의 집필 과정에서 20세기 상반기에 외국 영화가 중국 시장에서 번역되고 수용하는 과정도 연구자의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외국 영화의 번역자들도 대체로 중국 영화의 영어자막 번역자들이다. 저자는 향후 연구에서 이 영역을 언급할 것이고 이 시기의 양방향 영화 번역활동 간의 관계를 살펴볼 예정이다. 이 책은 한 세기에 이르는 중국 영화사로 보는 번역 문화 연구의 첫걸음이 되어줄 것이다.

“세계 영화에 융합하기 위한
중국 영화사 최초의 노력, 번역!”

중국의 초기 영화 번역으로 보는 역사적 평가와 해석!

무성영화 시대로 보는 자막의 모습,
영화 속에 섞여든 각색과 이중 번역!

1905 – 1949 중국영화의 해외진출
그 현상과 전략에 관한 모든 것!


영화 수출은 문화 수출의 가장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수단 중의 하나이다. 영화는 문화 이미지를 전파하는 매개이고 민족 이미지를 확립하는 중요한 사명을 맡고 있다. 중국 영화의 발전사는 지금까지 이미 한 세기에 이른다. 이에 따라 중국 영화에 대한 수출과 번역도 백 년에 가까운 역사를 지니고 있다. 초기 중국의 영화 번역은 조직적이고 대규모적인 문화 수출 행위로서 중국 문화 수출사에서 중요한 연구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결론부터 말하면 현재 중국 국내와 해외 학술계에서 중국 영화 번역에 대한 연구는 아직 걸음마 단계이고 초기 영화 번역을 연구하는 학자는 더욱 드물다.

저자는 우연히 1992년에 제작된 중국의 무성영화 <노동자의 사랑(勞工之愛情)>에 중영(中英) 이중 언어 자막카드가 달려 있고 중국어 세로쓰기, 영어 가로쓰기, 백화문과 문언문이 교차되어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다. 다양한 언어가 매 장의 자막카드에 교차해서 순식간에 나타나는 것을 보며 의아했던 저자는 동시대의 다른 중국 영화를 찾아보았고 중국 영화인들은 이미 오랜 시간 전부터 국제 관객, 국제 시장을 타겟 범주에 넣고 상당한 규모가 있는 외국어 번역 활동을 시작하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는 중국 영화가 해외진출할 수 있는 초기 형태이고 중국 영화가 세계 영화에 융합하기 위한 최초의 노력이었다.

이 책은 중국 영화 번역사에 대한 앞으로의 연구를 위해 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만들어졌다. 중국 역사에서 나타난 현장 해설, 자막 번역, 더빙 번역, 구술 영상 등 다양한 형식의 영화 번역 활동에 대해 고찰하고 이에 대한 역사적 평가와 해석을 통해 중국 영화 번역 활동의 생성 기제와 발전 규칙을 밝힌다. 이 책 한 권에 영화 번역 활동의 사회 역할과 역사 작용에 대한 총정리가 되있는 것이다.

“요컨대, 이 책은 처음으로 중국 초기 영화의 번역활동과 관련된
자료들을 전면적이고 심층적으로 고찰하고 발굴하며 연구하였고
영화 번역의 특성 및 번역 전략과 방법을 해독하며 관련 연구의
취약점을 보완하려 노력하였다.”

중국 초기 무성영화 시대 번역의 발전 궤적을 재현하다
영화 번역으로 보는 당시 중국의 문화와 역사!


중국 정부는 국내 영화의 해외진출과 해외 시장에서 중국 영화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번역을 조직적이고 대규모적으로 시행했다. 이렇게 초기 영화의 번역과 자막을 통해 당시 중국의 시대상과 문화 등을 자연스레 엿볼 수 있다. 이 책에는 중국 초기 영화의 번역 흐름과 그 시대 자막의 모습, 번역 전략으로 보는 중국의 언어적, 문화적 특징 등이 모두 담겨 있다.

이 책의 집필 과정에서 20세기 상반기에 외국 영화가 중국 시장에서 번역되고 수용하는 과정도 연구자의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외국 영화의 번역자들도 대체로 중국 영화의 영어자막 번역자들이다. 저자는 향후 연구에서 이 영역을 언급할 것이고 이 시기의 양방향 영화 번역활동 간의 관계를 살펴볼 예정이다. 이 책은 한 세기에 이르는 중국 영화사로 보는 번역 문화 연구의 첫걸음이 되어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찐하이나(지은이)

현 중국전매대학교 외국언어문화학원 교수 중국 베이징대학교 박사 영국 맨체스터대학교 박사 국제 간행물 &lt;Journal of Chinese Film Studies&gt;의 편집장 국제 A&HCI 간행물 &lt;Journal of Chinese Cinemas&gt;의 객원 편집장 국제 간행물 &lt;Journal of Audiovisual Translation&gt;의 학술위원회 위원 국제 학술회의 “Language & Media、Media for All”의 고문위원회 위원 Routledge 출판사의 원고 심사전문가 논저 : 「중국 무성영화의 번역 연구」, 「Film and Television Culture in China」(역), 「중외 영화와 드라마의 상호 번역 합작」(편) 중국 사회과학기금중대사업 청년부문 “중국영화번역통사(中國電影飜譯通史)”의 수석전문가이고 2018년에 중국전매대학의 제1기 청년걸출인재로 선정되었다. 주로 영화 번역, 영화사, 영화의 다문화 전파 관련 연구와 교학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lt;Babel&gt;, &lt;Perspectives&gt; 등 주요 간행물에 20여 편의 영화 번역과 전파와 관련된 학술 논문들을 발표했다. 주요 연구 성과로 『중국 무성영화의 번역연구(中國無聲電影飜譯硏究)』(2013), 『Film and Television Culture in China』(역서, 2018), 『중외 영화와 드라마의 상호 번역 합작(中外影視互譯合作)』 (편저, 2018) 등이 있다. 편찬한 조사연구 보고서는 문화와 관광부의 채택을 세 번이나 받았고 문화부에 의해 중국 문화계통의 훌륭한 조사연구보고서로 선정되었다. 그리고 중국 사회과학기금청년사업, 중국 사괴화학기금 중화학술외역(中華學術外譯) 등 과학연구사업을 주관하고 완성했다. 중국광파전시사회조직연합회(中國廣播電視社會組織聯合회)의 영화·드라마의 번역 제작과 전파 위원회의 부회장 겸 비서장을 겸임했고 중국 광파전시총국(廣播電視總局) 등 사업의 평가전문가를 담당했다. 중국 영화국의 중국 영화 “보천동영(普天同映)” 사업의 심사전문가, 중국 영화박물관의 “번역제작영화”의 대강을 수정하는 책임자, 문화와 관광부의 CCTSS 영화·드라마전문위원회(影視專委會)의 주요 책임자 등 직무를 담당했다.

쑨핑(옮긴이)

한국 부산대학교 한문학과 박사과정. 부산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겸임교수. 역서로 『20세기 중국사 강의』,『교류』(공역)와 『댜오위다오의 역사와 주권』, 『가계부로 보는 중국의 ‘서속’ 이야기』 , 『중국 영화사-초기 무성영화 시대의 번역과 발전』등의 완역서가 있다. 부산대학교 중국연구소 주최의 &lt;교류: 중국지식인&gt; 세미나 진행을 맡았다. 통번역대학원 출신으로 통번역 관련 강의를 진행해왔으며 중국 영화 자막 번역 및 각색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번에 번역한 『중국 영화사』가 한국 학술계의 중국 무성영화의 빈틈을 채우는 데 이바지하고, 중국 문화에 관심이 있는 이들에게 선물이 되기를 바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한국 출판 머리말
머리말 - 중국 영화사로 보는 무성영화의 번역 문화

1장 - 왜 중국 무성영화 번역인가?
1. 무성영화 번역의 연구 배경
2. 초기 영화의 기술적 번역 연구와 그 의미

2장 - 중국 초기 영화 번역은 왜 발전했는가?
1. 구미 영화, 중국 시장에 열풍을 몰고 오다
2. 민족주의의 영향 : 중국 문화 선전의 통로
3. 중국 영화를 세계로, 세계로!
4. 당시 중국 영화업계의 목표 : 관객과 시장

3장 - 중국 초기 영화 번역의 흐름 : 1905년부터 1949년까지
1. 민영 영화사의 비즈니스 번역
2. 정부와 기업의 합작 번역
3. 중국 정부 주도의 번역
4. 해외의 중국 영화 번역

4장 - 중국 무성영화 시대, 자막의 모습
1. 자막의 형식과 제작
2. 자막의 작용과 분류
3. 자막 언어의 특징
4. 자막 비평

5장 각색, 그리고 이중 번역과 자막 : 영화 속에서 섞여들다
1. 외국 문학의 번역과 각색
2. 영화 〈일전매〉
3. 영화 〈한 꿰미 진주〉

6장 동양적 정서가 담긴 번역과 각색, 특이 현상이 일어나다
1. 번역에서 드러난 동양적 정서
2. 영화 〈천륜〉으로 보는 번역과 각색

7장 중국 영화사의 번역 전략 : 영화 6편을 통하여
1. 중국 언어적, 문화적 특징의 유지
2. 영어권 문화의 보충
3. 압축과 생략
4. 각색과 추가
5. 금기어와 사회 갈등의 표현
6. 번역자 손유가 끼친 영향

맺음말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영화와의사소통연구회 (2022)
국가기록원. 서비스정책과 (2022)
Duras, Marguerite (2022)
四方田太彦 (2022)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2022)
Eaghll, Tenzan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