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최완규 교수의) 마한 이야기

(최완규 교수의) 마한 이야기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최완규, 崔完奎, 1955-
서명 / 저자사항
(최완규 교수의) 마한 이야기 / 최완규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서경문화사,   2022  
형태사항
255 p. : 천연색삽화 ; 22 cm
ISBN
9788960622470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51-255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39949
005 20230127170831
007 ta
008 230126s2022 ulka b 000c kor
020 ▼a 9788960622470 ▼g 03910
035 ▼a (KERIS)BIB000016584357
040 ▼a 211029 ▼c 211029 ▼d 211009
082 0 4 ▼a 951.901 ▼2 23
085 ▼a 953.024 ▼2 DDCK
090 ▼a 953.024 ▼b 2022z2
100 1 ▼a 최완규, ▼g 崔完奎, ▼d 1955- ▼0 AUTH(211009)80367
245 2 0 ▼a (최완규 교수의) 마한 이야기 / ▼d 최완규 지음
246 1 4 ▼a 최완규 교수의 馬韓 이야기
260 ▼a 서울 : ▼b 서경문화사, ▼c 2022
300 ▼a 255 p. : ▼b 천연색삽화 ; ▼c 22 cm
504 ▼a 참고문헌: p. 251-255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24 2022z2 등록번호 1118750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기원전 3세기부터 700여 년 동안 경기·충청·전라지역을 무대로 삼한의 맹주로 자리잡고 있었던 마한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고 있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저자가 『전북일보』에 1년여 동안 연재해 왔던 '마한 이야기'를 1부에 담았다. 마한 연구의 새로운 계기가 되었던 연구나 발굴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주제별로 마한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하였다. 2부에는 마한의 성립과 발전과정, 그리고 백제 영역화 이후에도 지속되어 온 마한문화에 대한 논문을 통하여 마한사의 전체적인 맥락을 설명하고 있다.

기원전 3세기부터 700여 년 동안 경기·충청·전라지역을 무대로 삼한의 맹주로 자리잡고 있었던 마한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고 있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이번에 출간된 “최완규 교수의 馬韓 이야기”는 마한에 대한 갈증을 어느 정도 풀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책에는 저자가 『전북일보』에 1년여 동안 연재해 왔던 “마한 이야기”를 1부에 담았는데, 마한 연구의 새로운 계기가 되었던 연구나 발굴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주제별로 마한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하였다. 2부에는 마한의 성립과 발전과정, 그리고 백제 영역화 이후에도 지속되어 온 마한문화에 대한 논문을 통하여 마한사의 전체적인 맥락을 설명하고 있다.
저자는 1993년부터 원광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2021년 정년퇴임하였다. 익산 영등동 주구묘와 율촌리 분구묘, 고창 봉덕리 분구묘의 발굴조사를 주도하여 마한 분구묘 연구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한편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소장으로 재임하면서 익산의 백제 유적과 문헌 자료에 대한 심층 연구를 통하여 ‘익산 천도론’을 확립한 대표적인 연구자이기도 하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책머리에

제1부 마한 이야기
제2부 마한의 성립과 발전

관련분야 신착자료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2)
홍봉한 (2022)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HK+ 사업단 지역인문학센터 (2022)
서종원 (2022)
최보영 (2022)
김민수 (2022)
국학연구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