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9857 | |
005 | 20230126170719 | |
007 | ta | |
008 | 230125s2023 ulk b 001a kor | |
020 | ▼a 9788964990674 ▼g 049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20.094 ▼2 23 |
085 | ▼a 320.094 ▼2 DDCK | |
090 | ▼a 320.094 ▼b 2023 | |
100 | 1 | ▼a 차하순, ▼g 車河淳, ▼d 1929- ▼0 AUTH(211009)58024 |
245 | 1 0 | ▼a 형평의 연구 : ▼b 17·18세기 유럽 정치사상을 중심으로 / ▼d 차하순 지음 |
246 | 0 | ▼i 한자표제: ▼a 衡平의 硏究 |
250 | ▼a 개정판 | |
260 | ▼a 서울 : ▼b 탐구당, ▼c 2023 | |
300 | ▼a 356 p. ; ▼c 23 cm | |
490 | 1 0 | ▼a 탐구히스토리 |
504 | ▼a 참고문헌(p. 337-348)과 색인수록 | |
830 | 0 | ▼a 탐구히스토리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0.094 2023 | 등록번호 11187497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형평 또는 형평성이란 용어는 우리 사회에서 거의 상식화되었으며 일반인에게도 회자하는 용어가 되었다. 그러나 올바른 이해보다는 잘못된 선입관의 영향을 받은 오해가 더 많아진 것도 사실이다. 그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것이 공정이나 공평 혹은 평등과 똑같은 개념 혹은 이에 부수된 개념이라 여기는 오해다.
형평 또는 형평성은 한마디로 말해 자유·평등·정의의 세 개념이 종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해 형평은 ‘정의의 원칙과 일치한 평등’이나 ‘자유로운 권리의 정당한 행사’를 말한다.
그러나 현실은 어떠한가? 사회적 지위 혹은 사태의 긴급성에 따라서는 만인의 동등한 평등은 추구되지 않으며 또 추구할 수도 없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공무 수행 중인 대통령은 교통신호를 무시하고 주행할 수 있지만, 일반인은 교통신호를 무시하면 법을 위반한 것이 된다. 이는 얼핏 당연한 것 같지만 만인이 자유롭고 평등하다고 하는 민주주의 원칙과는 상반되는 것이다.
또 다른 예가 있다. 동일 죄과에 대해서도 그것에 대한 처벌 수위는 다르다. 어떤 사람은 나라에 공훈을 세웠다는 이유로 감형되거나 사면되는 경우가 있다. 각자는 기능과 필요 또는 기여도에 따라 다른 사회적·법적 대우를 받는다.
그렇다면 이러한 평등에 기초한 불평등이나 혹은 불평등 속의 평등이라는 사회적 관계는 어떻게 합리화될 수 있는가? 여기에 형평 또는 형평성이 합리화되는 근거가 있다. 일찍이 18세기에 볼테르는 “추기경과 요리사는 같을 수 없다.”라고 갈파한 바 있다. 이는 ‘기계적 평준화’를 비판한 말이다. 형평은 이념이나 정치체제와 상관없이 사회의 기본 원리라 할 수 있다. 공산주의는 무너지고 민주주의가 수정되는 새로운 세기에서 정의로운 사회라면 형평이 정치·사회적 원리로 정책화되어야 한다고 확신하게 된다.
- 지은이 서문 중
정보제공 :

저자소개
차하순(지은이)
1956년 서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1959년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서양사 전공)를 받았다. 1969년 미국 브랜다이스 대학교 대학원에서 역사학 박사학위(사상사 전공)를 받았다. 1978~1979년 시카고 대학, 코넬 대학에서 풀브라이트 연구교수를 지냈고, 1989~1991년 서강대학교 부총장을 역임했다. 현재 대한민국 학술원의 회원이다. 1986년 제31회 대한민국 학술원상(인문과학 부문)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 『르네상스의 사회와 사상』, 『역사의 이해』, 『역사와 지성』, 『서양사총론』, 『형평의 연구』, 『역사의 본질과 인식』, 『현대의 역사사상』, 『서양근대사상 연구』 등이 있다.

목차
서문 ㆍ 3 다시 내면서 ㆍ 5 Ⅰ. 형평의 개념 1. 형평이란 무엇인가? ㆍ 11 2. 형평의 원칙 ㆍ 18 3. 평등의 문제 ㆍ 35 4. 호상정의의 특성 ㆍ 50 Ⅱ. 고전적 의미의 형평: 고대에서 16세기까지 1.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론 ㆍ 57 2. 키케로의 정의와 평등 ㆍ 75 3. 중세의 형평이론 ㆍ 85 4. 종교개혁 시대의 형평 개념 ㆍ 92 Ⅲ. 17세기의 형평이론 1. 17세기 사회사상의 특성 ㆍ 101 2. 그로티우스의 자유론 - 피해로부터의 자유 ㆍ 110 3. 양보적 자유와 전위 - 홉스의 형평론 ㆍ 123 4. 케임브리지 플라톤학파 - 사물의 본질론 ㆍ 147 5. 공동선과 형평 -컴벌랜드 ㆍ 165 6. 자연적 평등과 사회적 차등 - 푸펜도르프 ㆍ 178 7. 자치로서의 자유 - 로크 ㆍ 196 8. 적합성의 이론 - 클라크 ㆍ 211 9. 공공의식과 애타사상 - 샤프츠베리 ㆍ 223 10. 라이프니츠의 적극선 ㆍ 235 Ⅳ. 혁명 이념으로서의 형평 1. 18세기의 정치적 형평 ㆍ 249 2. 루소의 평등론 ㆍ 260 3. 공리적 형평 - 엘베시우스 ㆍ 266 4. 돌바크의 형평사회론 ㆍ 277 5. 백과전서파의 사회사상 ㆍ 313 Ⅴ. 결론 ㆍ 331 참고문헌 ㆍ 337 찾아보기 ㆍ 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