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한국 현대시 해석 : 시에 나타난 시대 인식과 세계관의 흐름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유섭
Title Statement
한국 현대시 해석 : 시에 나타난 시대 인식과 세계관의 흐름 / 김유섭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진주 :   BOOK속길,   2023  
Physical Medium
199 p. ; 23 cm
ISBN
9791197654626
주제명(개인명)
김소월,   金素月,   1902-1934  
백석,   白石,   1912-1996  
한용운,   韓龍雲,   1879-1944  
김수영,   金洙暎,   1921-1968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39855
005 20230126175618
007 ta
008 230125s2023 gnk 000a kor
020 ▼a 9791197654626 ▼g 038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895.71309 ▼2 23
085 ▼a 897.1509 ▼2 DDCK
090 ▼a 897.1509 ▼b 2023
100 1 ▼a 김유섭 ▼0 AUTH(211009)56385
245 1 0 ▼a 한국 현대시 해석 : ▼b 시에 나타난 시대 인식과 세계관의 흐름 / ▼d 김유섭 지음
260 ▼a 진주 : ▼b BOOK속길, ▼c 2023
300 ▼a 199 p. ; ▼c 23 cm
600 1 4 ▼a 김소월, ▼g 金素月, ▼d 1902-1934
600 1 4 ▼a 백석, ▼g 白石, ▼d 1912-1996
600 1 4 ▼a 한용운, ▼g 韓龍雲, ▼d 1879-1944
600 1 4 ▼a 김수영, ▼g 金洙暎, ▼d 1921-1968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97.1509 2023 Accession No. 11187496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한국 현대시를 대표하는 한용운, 김소월, 이상, 백석, 김수영 다섯 시인의 대표작에는 시인들이 살았던 시대에 대한 인식과 세계관이 나타나 있다. 출생한 시점이나, 지역, 삶의 이력과 관련 없이 다섯 시인은 공통적으로 자신이 살았던 시대의 불의에 대해 격렬한 저항으로 맞선다. 이러한 저항은 눈부신 문학적 재능으로 천재로 한국 현대문학사에 놀라운 시로 빛나는 강물이 되어 도도히 흐르고 있다. 시가 시대를 살아가는 시인의 삶이고 역사라고 소리치는 듯하다.

⸰김소월 「진달래꽃」은 친일파를 조롱하고 경고하는 시다. 「초혼」은 고종의 죽음과 주권 상실을 슬퍼하면서 다시 돌아오라고 울부짖는 시다.

⸰이상 「오감도」는 항일 1인 전쟁의 시다.

⸰백 석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는 제국주의 일본 식민지배를 한탄하며 민족애를 나타내는 시다.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은 북한 공산정권에 용서를 비는 자아비판서다.

⸰한용운 「님의 침묵」의 님은 조선의 왕 고종이다. 「복종」에서 강제 한일합방조약에 복종할 수 없다고 하며 친일파를 남이라고 한다.

⸰김수영 「풀」에 “바람”은 3선 개헌이고 “풀”은 민주주의다.


-시에 나타난 시대 인식과 세계관의 흐름

한국 현대시를 대표하는 한용운 김소월 이상 백석 김수영 다섯 시인의 대표작에는 시인들이 살았던 시대에 대한 인식과 세계관이 나타나 있다.

출생한 시점이나, 지역, 삶의 이력과 관련 없이 다섯 시인은 공통적으로 자신이 살았던 시대의 불의에 대해 격렬한 저항으로 맞선다.
이러한 저항은 눈부신 문학적 재능으로 천재로 한국 현대문학사에 놀라운 시로 빛나는 강물이 되어 도도히 흐르고 있다.
시가 시대를 살아가는 시인의 삶이고 역사라고 소리치는 듯하다.

한용운은 왕과 나라 잃은 망국의 시대에 대해 희생과 복종, 불사이군의 유교적 세계관과 그것을 넘어서는 민족애로 조선의 주권 회복의 열망을 시로 드러낸다.

김소월은 왕과 국가와 주권을 동일시하는 유교 정신을 바탕으로 애끓는 망국의 한과 민족애의 세계관으로 산산이 부서지고 허공중에 헤어지고 불러도 주인 없는 조선 민족의 주권을 목놓아 돌아오라고 울부짖는다.
특히 김소월의 시는 단숨에 독자의 가슴으로 스며드는 천재의 경지를 보여준다.

이상은 한국 현대문학사에 가장 빛나는 천재 시인이다. 그의 시는 상상을 초월하는 천재로 가득하다.
무력으로 조선을 강제 점령해서 폭압의 식민지배를 하는 제국주의 일본은 원숭이고 반동가리 왜놈이고 조선 민족이 반드시 쳐부수어서 멸망시켜야 한다. 이것이 이상의 시대 인식이다.
이상은 조선 민족의 해방과 독립을 위해 스스로 책임의사가 되어 목숨 바쳐 투쟁에 나서겠다는 격렬하고도 숭고한 민족정신의 세계관을 보여준다.

백석은 제국주의 일본 폭압의 식민지배에 저항하지만, 맞서 싸우지 못하고 도피를 선택한다. 패배한 자의 살아남으려는 도피의 세게관을 보여준다. 그러나 친일파로 변절하지 않고 해방될 때까지 확고한 민족정신을 지킨다.
해방 후 고향으로 돌아온 뒤, 스승 조만식의 비서로 활동한 탓에 북한 공산정권에 고초를 겪었는지 백석은 편지 형식의 시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이라는 자아 비판서를 쓰면서 북한 공산정권에 순응해서 살겠다고 선언한다.

김수영은 유고작인 시 「풀」에서 1968년 봄, 세상에 드러난 박정희 정권의 3선개헌을 불의로 규정하고 저항한다.
5⸱16쿠데타로 집권한 박정희 정권의 3선개헌 시도는 민주주의를 병들어 눕게 하고 민주주의의 뿌리마저 병들게 하는 불의라고 소리쳐 알리면서 저항하는 세계관을 보여준다.

한국 현대시를 대표하는 다섯 시인이 자신이 살았던 시대의 불의에 대해 보여준 격렬한 분노와 저항이 한국 현대시의 바탕이고 근본이면서 도도하게 흐르는 거대한 물줄기일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유섭(지은이)

경남 남해에서 태어나 2011년 『서정시학』 신인상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2013년 시흥문학상, 2014년 아르코문학창작기금 및 김만중 문학상을 수상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 시 해석
김소월 - 진달래꽃 8
초혼 17
왕십리 29
백 석 -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42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51
한용운 - 님의 침묵 68
알 수 없어요 75
나룻배와 행인 81
복종 87
김수영 - 풀 94
이 상 - 오감도 시제8호 해부 104
*(필자의 이상 오감도 해석 재수록)

◈ 시에 나타난 시대 인식과 세계관의 흐름
시작하는 글 135
한용운 137
김소월 145
이 상 153
〈1〉김해경의 필명 이상(李箱)은 독립투쟁 선언서다.
〈2〉일문시로 제국주의 일본과 고등계 형사들을 시험하다.
〈3〉한글시에 왜 띄어쓰기를 하지 않았나?
〈4〉오감도
〔참고〕「건축무한육면각체」에 대해

백 석 181
김수영 193
마무리하는 글 19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